$\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형 일학습병행제 선행경험학습인정 도입과 고려사항
Implementation of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in Apprenticeship College and Key Considerations for Success 원문보기

JPEE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9 no.1, 2017년, pp.57 - 68  

임다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온라인평생교육원) ,  강기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코리아텍 사례를 바탕으로 대학형 일학습병행제에 선행경험학습인정을 도입하기 위한 실질적인 준비 과정과 그 결과물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경험학습인정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 연구 및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함으로써 국내 다른 교육기관들이 선행경험학습인정을 도입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사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많은 교육기관들의 성공적인 선행경험학습인정 정착을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 문화적 지원, 대학 내부의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preparation process and outcomes of applying RPL in University Dual System based on KOREATECH's case.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prior research and cases was described in this study to assist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who might b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코리아텍 일학습병행대학은 2015년 1학기부터 일학습병행대학 기전융합공학과를 시작으로 신입생을 모집하였다. 기전융합공학과 준비 단계에서부터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학습자들의 특수성을 고려한 RPL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 시작되었으며 이를 위한 내부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정표[7]의 연구에서 밝힌 바처럼, 선행학습인정제도는 평생에 걸쳐 습득한 학습이 교육기관에서 학점으로 인정되어야 하고, 성인학습자가 이미 획득한 학습에 대해 중복적으로 교육훈련을 시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인식에서 코리아텍 일학습병행대학에서 RPL을 시범 적용하는 것은 평생직업능력개발이라는 취지에 부합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코리아텍 일학습병행대학 기전융합공학과에 RPL을 도입하기 위해 거쳤던 실질적인 준비 과정과 그 결과물을 소개하고, 그에 기반이 된 선행 연구 및 국내외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함으로써, 국내 다른 교육기관들이RPL을 도입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RPL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지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학습병행제란? 일학습병행제는 독일, 스위스 도제제도를 한국 실정에 맞게 도입한 제도로, 기업이 학생 또는 구직자를 채용한 후 직무를 담당하게 하면서 교육훈련을 통해 기업에 필요한 인재로 기르는 제도이다. 한국형 일학습병행제는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현장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해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의 교육훈련프로그램에 따라 현장훈련과 현장 외 훈련으로 구분하여 진행되고 있다.
대학에서 RPL을 도입하기 위한 필수 요소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 정의에는 대학에서 RPL을 도입하기 위한 필수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첫째, 대학 차원에서 대학 구성원들이 공감하는 RPL에 대한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 둘째, RPL을 위한 공식적인 절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들이 스스로 선행경험학습의 결과를 증명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5,7,10].
한국형 일학습병행제는 어떻게 구분되어 진행되는가? 일학습병행제는 독일, 스위스 도제제도를 한국 실정에 맞게 도입한 제도로, 기업이 학생 또는 구직자를 채용한 후 직무를 담당하게 하면서 교육훈련을 통해 기업에 필요한 인재로 기르는 제도이다. 한국형 일학습병행제는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현장실무형 인재 양성을 위해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의 교육훈련프로그램에 따라 현장훈련과 현장 외 훈련으로 구분하여 진행되고 있다. 현장훈련(OJT)의 경우 기업현장 교사가 현장에서 실제 활용되는 기술, 지식을 담은 학습도구로 가르치며, 이론교육 부분은 학교나 공동훈련센터와 같은 교육훈련기관에서 현장 외 훈련(Off-JT)로 체계적으로 진행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 P. Lee, "Comparative study on recognition of prior work experience learning (RPL) in australia and scotland,"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vol. 24, no. 6, pp. 1-23, December, 2014. 

  2. H. R. Jung, "The management model for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and its implications in Korea,"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vol. 19, no. 3, pp. 1-24, September, 2013. 

  3.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Internet]. Available: http://www.law.go.kr/. 

  4. Learning in Enterprises [Internet]. Available: http://www.bizhrd.net/. 

  5. H. Y. Lee, J. P. Lee, H. S. Kim, J. G. Koo, Y. S. Ko, S. O. Park, and J. H.Cho, "Development of operational manual for establishing the basis of applying RPL,"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Technical Report, CR2011-1, 2011. 

  6. S. H. Kim, "A view of prior learning assessment as an educational reform in United State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21, no. 1, pp. 183-196, June, 2002. 

  7. J. P. Lee, E. H. Jhoo, H. K. Lim, and G. S. Le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tasks of prior learning assessment and recognition in vocational college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26, no. 3, pp. 45-69, December, 2007. 

  8. N. Evans, Experiential Learning for All, London: Cassell, 1994. 

  9. U. Whitaker, Assessing Learning: Standards, Principles and Procedures, Philadelphia: The Council for Adult and Experiential Learning, 1989. 

  10. H. R. Jung, J. P. Lee, M. H. Kim, and H. Y. Lee, "A study on the operation of RPL for activation of college lifelong education - a case study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Technical Report, 12-05, 2012. 

  11. H. J. Jeon, "Lifelong learning system and field in France," Oct. 16, 2013 [Online]. Available: http://www.makehope.org/%ED%94%84%EB%9E%91%EC%8A%A4-%ED%8F%89%EC%83%9D%ED%95%99%EC%8A%B5-%EC%A0%9C%EB%8F%84%EC%99%80-%ED%98%84%EC%9E%A5-1-%EA%B2%BD%ED%97%99%ED%95%99%EC%8A%B5%EC%9D%B8%EC%A0%95%EC%A0%9C/ 

  12. K. H. Lee, "Technical University of France and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Vocational & Technical Education, vol. 78, pp. 104-112, 1996. 

  13. K. Y. Kim, "A study of the educational support systems for adult learners in Korean higher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U.S.'s prior learning assess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7, no. 1, pp. 171-197, April, 2009. 

  14. University of Phoenix. Prior Learning Assessment [Internet]. Available: http://www.phoenix.edu/admissions/prior_learning_assessment.html/. 

  15. D. Conrad, "Achieving flexible learning through recognition of prior learning practice: a case-study lament of the Canadian academy," Open Learning, vol. 25, no. 2, pp. 153-161, May, 2010. 

  16. H. Pokorny, "Assessing prior experiential learning: issues of authority, authorship and identity,"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vol. 24, no. 2, pp. 119-132, 2012. 

  17. K. A. Kim, "New Approach to recognition of informal and non-formal learning,"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vol. 17, no. 2, pp. 133-156, June, 2007. 

  18. Scottish Credit and Qualifications Framework [Internet]. Available: http://scqf.org.uk/. 

  19. H. Gibson and R. Whiiater, "Quality Assurance and RPL; Developing a National RPL Framework for Higher Education in Scotland," Jul., 2012 [Online]. Available: http://www.qaa.ac.uk/en/Publications/Documents/streamliningrpl-guidelines.pdf/. 

  20. J. P. Lee, E. S. Back, K. S. Lee, K. H. Ahn, S. Y. Kim, D. I. Lee, and K. B. Lim, "Development of Korean skills standards and construction of qualification system (2008) : An plan for recognition of precedent learning as qualification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echnical Report, 2008-40-8,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