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기기 도입이 과학탐구 활동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교육대학원 초등과학 전공 교사의 인식 사례를 중심으로-
How does the introduction of smart technology change school science inquiry?: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2, 2017년, pp.359 - 370  

장진아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정용재 (공주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 도입이 '과학탐구' 활동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스마트 기기 도입이 탐구 활동에서 갖는 여러 가능성과 어려움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대학원의 초등과학교육 전공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 모둠 토의, 전체 토의, 참여자 면담 등의 다양한 출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스마트 기기를 통해 천체나 작은 생물과 같이 직접 관찰하기 어려운 현상에 대한 관찰 기회가 확대되어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새로운 장치에 대한 조작의 부담으로 인해 학생들이 탐구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초등학교 과학탐구 활동에서 디지털식 측정 방식을 도입하기도 했다. 디지털식 측정은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자료를 모을 수 있으며, 정확하고 정량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들에게 선호되었다. 하지만 새로운 측정 장치로 인해 추가 변인이 생기거나 탐구 활동의 본질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었으며, 교사들은 아날로그식 측정 방식과 디지털 측정 방식 사이에서 자신의 탐구에 대한 신념에 따라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방식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교사들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다양한 형식의 축적된 자료 수집하여 양질의 과학적 증거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양질의 과학적 증거들은 탐구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탐구 과정에 대한 의사소통에도 보탬이 된다고 보았다. 넷째, 교사들은 교육용 SNS를 활용하여 탐구 과정에서의 공유와 소통 기회를 확장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학생들의 진지한 참여와 상호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대화를 통해 적절한 규범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탐구와 스마트 기기의 의미 있는 통합을 위해 교사의 과학교육적 신념에 따른 디지털 기기 활용 방식, 과학탐구에서 요구되는 디지털 활용 역량의 유형과 특징,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탐구에서 형성되는 학급 규범의 특징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들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caused by using smart technology in school science inquiry. For this, we investigated 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by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group discussions, classroom discussions, and participant interviews. The result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 교육이란? 이러한 총체적인 변화에 따른 한 요구로서 근래 스마트 교육이 주목받고 있다(Hong, 2014). 스마트 교육이란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교육방법(pedagogy), 교육과정(Curriculum), 평가(Assesment), 교사(Teachers) 등 교육체제 전반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지능형 맞춤 교수학습 지원체제”를 말한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p. 6).
과학수업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했던 교사들이 직면했던 어려움과 제한점에는 어떤 것들이 보고되었는가? , 2015). 이러한 어려움으로서 스마트 기기를 실행하는 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내용지식(TPCK) 부족, 학교 현장의 ICT 환경 조성 부족, 스마트 기기나 장치를 배우기 위한 시간 확보 부족 등이 보고된 바 있다(Na & Jang, 2016). 또한 교사들은 학습 기회를 확장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심층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거나 자기주도 학습 요소를 지원하는 데에는 제한이 많았음이 지적되기도 했다(Yang et al.
과학 탐구는 무엇으로 강조되었는가? 그렇다면 다른 교과와 달리 과학수업에 상대적으로 더 특화된 요소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 특화된 요소 중 하나로 과학 탐구에 주목하고자 한다. 과학 탐구는 오래 전부터 과학에서 새로운 지식을 생성해 나갈 때 사용해온 과학적 방법으로 알려져 왔으며(Dewey, 1938; Schwab & Brandwein 1962; Peirce, 1899), 지난 수십 년 동안 국내외 과학교육과정과 과학수업에서 핵심적인 목표로 강조되어 왔고(Song, 2006), 최근에는 핵심역량이나 공동체적 접근과도 맥을 같이하면서 과학수업에서 강조되고 있다(Joung, 2014). 스마트 기기의 활용을 과학 교육적으로 의미 있게 통합하고자 했던 나지연과 송진웅(2014)의 연구에서도 과학 탐구는 과학 수업의 특화된 한 요인으로 서술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rdac, D., & Akaygun, S. (2004). Effectiveness of multimedia-based instruction that emphasizes molecular representation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chemical chan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17-337. 

  2. Boo, G., Gil, Y., Sohn, J., Kim, S. (2013). Sunspots observation using DSLR and measuring the differential rotation period. School Science Journal, 7(3), 182-192. 

  3. Brady, K. P., Holcomb, L. B., & Smith, B. V. (2010). The use of alternative social networking sites in higher educational settings: A case study of the e-learning benefits of Ning in education. Journal of Interactive Online Learning, 9(2), 151-170. 

  4. Brickhouse, N. W. (1994). Children's observation, ideas, and the development of classroom theories about ligh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6), 639-656. 

  5. Byeon, J-H., Lee, J-K., Kwon, Y-J. (2009). An analysis of meanings and processes about scientific observation in the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5), 531-540. 

  6. Dewey, J. (1938), Logic: The theory of inquiry. New York: Henry Holt and Company, Reprinted as pp. 1-527 in John Dewey, The Later Works, 1925-1953, Volume 12: 1938, Jo Ann Boydston (Ed.), Kathleen Poulos (text. ed.), Ernest Nagel (intro.),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Carbondale and Edwardsville, IL, 1986. 

  7.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8. Duschl, R. A., & Osborne, J. (2002). Supporting and promoting argumentation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8, 39-72. 

  9. Gillet, D., De Jong, T., Sotirou, S., & Salzmann, C. (2013). Personalized learning spaces and federated online labs for stem education at school. In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Conference (EDUCON), 2013 IEEE (pp. 769-773). IEEE. 

  10. Glaser, B. G., & Strauss, A. L. (2009).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Transaction publishers. 

  11. Harris, D. N., & Sass, T. R. (2011). Teacher training, teacher quality and student achievement. Journal of public economics, 95(7), 798-812. 

  12. Hwang, G. J. (2014). Definition, framework and research issues of smart learning environments-a context-aware ubiquitous learning perspective. Smart Learning Environments, 1(1), 1. 

  13. Hong, E. S. (2014). Smart learning strategies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second Langu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49(1), 123-145. 

  14. Jhun, Y. S., Lee, S. A., Shin, Y. J. Kang, S. J., Cha, H. Y., & Song, Y. W. (2009).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age of web supplement for th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3), 313-320. 

  15. Johnson, L., Adams Becker, S., Cummins, M., Estrada, V., Freeman, A., & Ludgate, H. (2013). NMC Horizon Report: 2013 Higher Education Edition. The New Media Consortium. 

  16. Joung, Y. J. (2014).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Implications of ''Community of Inquiry'' for Science Education: Toward 'Community of Inquiry in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3), 303-319. 

  17. Kim, H. S., & Park, H. J. (2008). The level of education informatization and their implications in Korea through OECD PISA 2006.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in-Sung publisher: Seoul. 

  18. Lee, B-H. (2014). Facebook, how to use for an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2), 247-273. 

  19. Lee, B. W., & Kim, H. K. (2004). Characteristics of online discussion system for physics investigation through the students' perceptio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6), 1206-1215. 

  20. Lim, B. R. (2012).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on digital textbooks and its implications on the policy mak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2), 317-346. 

  21.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2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2011). Road to powerful nation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Action strategies of smart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23. Na, J., & Jang, B-G. (2016).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the Science Class utilizing Smart Technologies in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5(1), 98-110. 

  24. Na, J., & Song, J. (2014). An analysis of trends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on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CK). Teacher Education Research, 53(3), 511-524. 

  25. Noh, T., Cha, J., Kim, C., & Choi, Y. (1998). The effect of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using molecular-level anim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8(2), 161-171. 

  26. Park, S. K. (2013). An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SMART learning-based science instru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7), 727-737. 

  27. Park, S-Y., Park, J-K., & Yeo, S-I. (2006). The effects of MBL program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aboratory instructio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4), 4. 

  28. Peirce, C. S. (1899). The scientific attitude and fallibilism. In J. Buchler (Ed.). Philosophical writings of Peirce (pp. 42-59). NY: Dover Publication, 1940. 

  29. Rice, J. K. (2003). Teacher quality: Understanding the effectiveness of teacher attributes. Economic Policy Institute, 1660 L Street, NW, Suite 1200, Washington, DC 20035. 

  30. Schwab, J. J., & Brandwein, P. F. (1962). The teaching of science: The teaching of science as enquiry (Vol. 253). Harvard University Press. 

  31. Seol, M., & Son, C. (2012).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current state of using smart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6(3), 309-318. 

  32. Shin, Y., & Ha, J. (2016). Analysis of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flippe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0(2), 152-167. 

  33. Song, J. (2006). J. J. Schwab's life and ideas of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7), 856-869. 

  34. Yang, C., Jo, M., & Noh, T. (2015). Investigation of teaching practices using smart technologies and science teachers' opinion on their application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5), 829-840. 

  35. Yeo, S-I., Lee, S-M., & Shin, M-K. (2008). A study of changes of elementary students' competence in scientific inquiry through MBL science class. Journal of the Society for the International Gifted in Science, 2(2), 165-173. 

  36. Yun, J., Ahn, I., & Noh, T. (2015).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learning adapted to students' conceptions using smart devices in science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2), 325-3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