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사정팔경도(永思亭八景圖)>와 팔영시로 본 영사정팔경의 경관구조와 의미
A Study on the Landscape Structure and Meaning of Eight Scenic Views of Yeongsa-jeong Pavilion through the Painting and Poem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5 no.2, 2017년, pp.58 - 68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손희경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토목공학과) ,  김홍균 (전주기전대학 허브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문헌조사 및 시화(詩畵) 분석 및 해석 그리고 현장조사를 통해 <영사정팔경도>와 청계 양대박의 영사정팔영시에 드러난 영사정팔경의 경관구조와 의미를 분석 해석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영사정과 그 일원은 조영자 안전이 선친의 음택을 향해 망배를 올리던 '영사'의 공간으로, 영사정팔경은 남원 형승의 거점이자 요체인 지리산과 순자강 그리고 요천, 금석교, 청계동 등 영사정을 중심으로 한 남원 승경을 관망대상으로 하고 있다. 영사정팔경은 일반적인 정자팔경과는 달리 다시점 구도와 시점 그리고 장소의 전이를 보이는 가운데 영사정은 물론 순자강과 요천 일대의 산수경관을 조망하는 파노라믹한 부감적 구도를 보인다. 영사정팔영은 중국 소상팔경과의 시각적 결속의 흔적이 다수 엿보이는 가운데 남원지역의 토속적인 경관과의 어울림을 추구한 조선중기 과도기적 특성을 지닌 제영 집경으로 판단된다. 팔영시와 팔경도 각 1 2영[경]에 등장하는 '창송취죽(蒼松翠竹)'은 영사정의 조영자인 안전 또는 팔영시의 저자인 양대박의 현신이자 경관 향유주체로 상정하고 있다. 표제에 등장하는 시어 및 화소의 음양론적 특성을 해석한 결과, 팔영시에서는 대부분 음적인 시어들로 충만해 있고 팔경도 또한 이에 조응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사정팔영에서 묘사된 행위와 <영사정팔경도>에 표현된 행위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 제3경 순강모우를 제외하고는 두 매체 간에는 일치된 특성이나 공통성이 거의 발견되지 않음은 볼 때, 매체간의 형식적 유사성은 인정되지만 영사정팔영과 팔경도는 언어예술과 공간예술의 본질적 속성에 충실한 다른 결과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fter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landscape structure and meaning of Yeongsajeongpalkyung (永思亭八景) that appears in Yeongsajeongpalyeongsi(永思亭八詠詩) of Cheonggye(靑溪) Yang, Dae-b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사정의 조영배경과 팔경시의 주체인 청계(靑溪) 양대박(梁大樸, 1544~1592: 이후 청계)의 영사정팔영시(Figure 1)와 작자 미상의 의 상호 비교분석을 통해 영사정팔영(永思亭八詠)의 경관구도와 경관특성 그리고 경관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 본연구에서는 영사정팔영에서 묘사된 행위와 에 표현된 행위를 상호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사정팔경은 어떤 구도를 보이는가 ? 영사정과 그 일원은 조영자 안전이 선친의 음택을 향해 망배를 올리던 '영사'의 공간으로, 영사정팔경은 남원 형승의 거점이자 요체인 지리산과 순자강 그리고 요천, 금석교, 청계동 등 영사정을 중심으로 한 남원 승경을 관망대상으로 하고 있다. 영사정팔경은 일반적인 정자팔경과는 달리 다시점 구도와 시점 그리고 장소의 전이를 보이는 가운데 영사정은 물론 순자강과 요천 일대의 산수경관을 조망하는 파노라믹한 부감적 구도를 보인다. 영사정팔영은 중국 소상팔경과의 시각적 결속의 흔적이 다수 엿보이는 가운데 남원지역의 토속적인 경관과의 어울림을 추구한 조선중기 과도기적 특성을 지닌 제영 집경으로 판단된다. 팔영시와 팔경도 각 1 2영[경]에 등장하는 '창송취죽(蒼松翠竹)'은 영사정의 조영자인 안전 또는 팔영시의 저자인 양대박의 현신이자 경관 향유주체로 상정하고 있다.
영사정팔경의 경관구조와 의미를 분석·해석한 본 연구의 결론에서 소표제에 등장한 언어를 해석한 결과는 ? 4. 영사정팔영의 소표제에 등장하는 시어 및 화소의 음양론적 특성을 해석한 결과, 시화의 내재된 음과 양은 단순히 이원론적 경관구성으로 파악이 가능하다. 팔영시에서는 대부분 음적인 요소들로 충만해 있고 팔경도 또한 이에 조응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음양이원의 작용을 바탕으로 하며 단지 양기와 음기는 항시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화의 과정이라는 점에서 해석될 여지는 충분히 열려있다.
소상팔경은 어떤 모본이 되었는가 ? 중국에서 전래된 소상팔경(瀟湘八景)은 국내에서 계절과 기후를 반영하며 특정 장소와 풍경의 고유하고 아름다운 경관 집 경의 모본(模本)이 되었다. 고려시대 후반 한반도에 이입된 팔경문화는 팔경시와 함께 팔경도를 장첩(粧帖)하는 관행이 일반화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eong, E. J.(2016). The Cultural Implications and Pictorial Characters of Eight Scenic Views of Yeongsa-jeong Pavilion(永思亭八景圖).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Korean Studies Quarterly 39(3): 139-174. 

  2. An, J. L.(1997). A Study on the Korean Palgeongsi: Focused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A Doctoral Thesis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3. Cheonggye Work Collection(靑溪集) 

  4. Gallery Jook(1997). The Essence of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 

  5. https://www.hygn.go.kr 

  6. Yongsungji(龍城誌) 

  7. http://map.daum.net 

  8. Kim, D. W.(2012). A Study on Correspondence between Literature and Paintings of Goryeo Epoch through Poetry and Prose written on Paintings. The Study of Calligraphy. 21: 79-112. 

  9. Yun H. K.(2016). Aesthetics Aim of Literati Paintings for Windy Bamboo. The Korean Society of Eastern Art Studies 31: 115-160. 

  10. Gokseong Cultural Center(1991).Cheonggyedongsa(靑溪洞史) 

  11. Kang, J. H.(2011). Travel Journey of Mt. Duryu, a Reading of Mt. Jiri by Cheonggye Yang Dae-bak. Dongbanghanmunhak 47: 43-69. 

  12. Kim, J. G.(2006). Monthly Publication San. lecture of Namwon Culture College. 

  13. Shinjungdongkukjegish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14. Honamupji(湖南邑誌) 

  15. http://e-kyujanggak.snu.ac.kr 

  16. Rho, J. H.(2013). A Study on the Form and Meaning Structure of Xiaoxiang Bajing as a Stereotype of Traditional Landscape. Onjinonchong 34: 115-160. 

  17. http://terms.naver.com 

  18. Yeojidoseo(輿地圖書) 

  19. Lee, B. R.(2005). The Eight-view of Gwandong(關東八景圖) in the Choson Dynesty. Master's Thesis of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 National Culture Promotion Society(2009). Korean Historical Society Collection(19). Volume 53. Seoul. p546. 

  21. Kho, Y. H.(2007).Landscape of the Joseon Dynasty. Dolbegae. 

  22. Collected works Maedam(梅潭實紀) 

  23. Jukgye Sejeok(竹溪世蹟) 

  24. Jibong Work Collection(芝峯集) 

  25. Shinjung Namwonji(新增 南原誌) 

  26. Korean Cultural Heritage Survey(1996). Jiri Mt. Jarak(skirt). Dolbegae. 

  27. Namwonupji(南原邑誌) 

  28. Sasookjae Work Collection(私淑齋集)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