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응일치분석을 이용한 4년제 대학졸업자들의 취업훈련기관별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Determinants of Labor Market Outcomes in Four-year graduates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orrespondence Analysis By training institu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4, 2017년, pp.235 - 241  

채희원 (경기대학교 대학원 직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 KEEP)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4년제 대학 졸업자들을 대상으로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성과 요인을 고찰하고, 훈련기관에 따라 노동시장 성과가 어느 정도의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탐색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첫 일자리 이행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노동시장 성과요인을 분석하였다. 노동시장 성과를 각각 (1) 첫 일자리 이행기간 (2) 고용형태 (3) 임금수준으로 명명하였다. 응답자가 취업을 위하여 훈련받은 기관의 특징가진 명목변수와 대응일치분석(correspondenc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양자 간의 연관성을 가시적인 방법으로 나타내기 위함이다. 그 결과 첫째, 첫 일자리 이행기간이 가장 짧은 훈련기관은 공공기관으로 사설학원, 대학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고용형태 별로는 공공기관은 사설학원과 대학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일용직의 비율이 높았다. 셋째, 임금수준 별로는 공공기관의 경우 임금수준 1범위에서 3범위까지의 분포를 보였고, 사설학원의 경우는 임금수준 2범위에서 4범위까지 높은 분포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청년층의 사회진출 시 훈련기관별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를 분석해 볼 수 있어, 훈련기관별 청년층 구직자의 특성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고용과 교육 고용복지를 포괄하는 정책이 확충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factors for entry into the labor market of 4 - year college graduates using KEEP data and to determine how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is related to the training institutions.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is termed as 1) labor market entry time, 2) employ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훈련기관이 첫 일자리 이행 기간의 단축을 목적으로 하기 보다는 양질의 취업지원활동을 통해서 장기적으로 일할 수 있는‘좋은 일자리’로의 사회 진출을 도모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후속 연구를 통해서 훈련기관별 교육내용 특성에 대한 차별화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는 필요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를 훈련기관별로 파악함으로써 청년층의 일자리 창출 정책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는 중간과정의 결과임을 밝힌다.
  •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KEEP)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4년제 대학 졸업자들의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성과 요인을 고찰하였다.
  • 구직자들이 조기에 진로 목표를 설정 가능 할 수 있도록 취업이 목적이 아닌 ‘잘할 수 있는 일’ 그리고 ‘하고 싶은 일’을 설정 할 수 있는 조기 취업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훈련기관에 따라 노동시장 성과가 어느 정도의 연관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탐색하여 청년구직자들의 노동시장 성과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의 현상파악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또한 실업률과 고학력화로 인하여 우리나라 청년층의 노동시장 상황이 치열하게 과열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일자리 탐색기간과 준비시간을 갖는 것은 중요 하다.
  • 본 연구에서는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요인을 첫 일자리 이행기간, 고용형태, 임금수준으로 선정하여 훈련기관별로 차이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각 변수를 기준으로 하여, 응답자가 취업을 위하여 훈련받은 훈련기관의 특징을 나타내는 명목변수와 대응일치분석을 통하여 명목변수 간의 연관성을 가시적으로 제시하였다.
  • 또한 같은 자료를 활용한 황여정은 대졸자의 노동시장성과요인으로 취업 및 대기업 취업 여부에 여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공, 학점, 취업관련 대학지원활동, 대학소재지에 대한 만족도, 어학연수 지출비용, 졸업하기 전 취업목표를 설정하였는지에 대한 여부, 취업관련 훈련 등이 공통적으로 여향을 미친다고 나타냈으며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가 단순히 개인의 능력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귀속적 요인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침을 규명 하였다[9].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귀속적 요인 효과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직업 및 취업훈련 기관이 노동시장수요에 부합하는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기관별 노동시장 성과를 첫 일자리 이행기간, 고용 형태, 임금수준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확인하기 어려웠던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를 훈련기관별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귀속적 요인 효과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직업 및 취업훈련 기관이 노동시장수요에 부합하는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기관별 노동시장 성과를 첫 일자리 이행기간, 고용 형태, 임금수준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확인하기 어려웠던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를 훈련기관별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 직업훈련에 관한 다른 연구들에서도 장기적으로 임금상승의 효과를 추정한다[13]. 직업 및 취업훈련의 효과성을 교육지원 기관별로 노동시장성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각 기관별 향후 취업교육서비스의 질을 높은 방안으로 활용하고자 연구 설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년층이 불안정한 세대로 여겨지는 이유는?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질 높은 생활수준과 복지정책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청년층의 불안한 사회 진출로 ‘불안정한 세대’로 여겨지고 있다. 통계청 <고용동향>에 따르면 만 15~29세가 대상이 되는 청년실업률이 2013년 8.
2013년 청년실업률은?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질 높은 생활수준과 복지정책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청년층의 불안한 사회 진출로 ‘불안정한 세대’로 여겨지고 있다. 통계청 <고용동향>에 따르면 만 15~29세가 대상이 되는 청년실업률이 2013년 8.5%로 3.0%의 전체 실업률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차이가 났으며[1], 2016년에는 9.
첫 일자리 이행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노동시장 성과요인을 분석 결과는?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 KEEP)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4년제 대학 졸업자들을 대상으로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성과 요인을 고찰하고, 훈련기관에 따라 노동시장 성과가 어느 정도의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탐색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첫 일자리 이행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노동시장 성과요인을 분석하였다. 노동시장 성과를 각각 (1) 첫 일자리 이행기간 (2) 고용형태 (3) 임금수준으로 명명하였다. 응답자가 취업을 위하여 훈련받은 기관의 특징가진 명목변수와 대응일치분석(correspondenc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양자 간의 연관성을 가시적인 방법으로 나타내기 위함이다. 그 결과 첫째, 첫 일자리 이행기간이 가장 짧은 훈련기관은 공공기관으로 사설학원, 대학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고용형태 별로는 공공기관은 사설학원과 대학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일용직의 비율이 높았다. 셋째, 임금수준 별로는 공공기관의 경우 임금수준 1범위에서 3범위까지의 분포를 보였고, 사설학원의 경우는 임금수준 2범위에서 4범위까지 높은 분포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청년층의 사회진출 시 훈련기관별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를 분석해 볼 수 있어, 훈련기관별 청년층 구직자의 특성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고용과 교육 고용복지를 포괄하는 정책이 확충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Geumsun Byun, "The Determinants of Labor Market Outcomes in Young Adulthood",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vol. 18, no. 1, pp. 129-161, 2015. 

  2. Yuong-Ran, Yoon. "The study on the career recogni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 The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Research, vol. 13, no. 1, pp. 123-168, 2007. 

  3. Bong-whan, Kim.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Seoul University Ph. D., Thesis, 1997. 

  4. Byung Hee Lee, "A study on the substantiality of early experience of labor market",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vol. 2, no. 1, pp. 1-18, 2002. 

  5. ChangKyun Chae, TaeGi Kim, Determinants of Employment Status Of University(Bollege) Graduates You,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28, no. 2, pp. 89-107, 2000. 

  6. Yeo-jung Hwang, "Byoung-bu Baek, Determinants Status of University Graduates Youth",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vol. 11, no. 2, pp. 1-23, 2008. 

  7. Min-sun Kim, "A Study on the Employment and Wag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The Educational Research for Tomorrow, vol. 26, no. 1, pp. 21-42, 2013. 

  8. Kyung Jun You, Chang Hee Kang, "The Impacts of Vocational Training on Earnings in Korea", Evidence from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vol. 32, no. 2, pp. 27-53, 2010. 

  9. Young-min, Cheon, "The Actual Condition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First Job Performance of College Graduates", Employment and Career Research, vol. 6, no. 2, 2012. 

  10. Byoun, Su-youn, "An Exploratory Study on College experience of the Korean Graduates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orrespondence Analysis",The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 25, no. 1, pp. 1-27, 2013. 

  11. Min-gyu Kim, "The Influences of Job Environ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Vocational Counselors Working at Employment Centers : Mediating Effects of Professional Identity",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 17, no. 3, pp. 23-45, 2015 

  12. Yoon joong Kim,"A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employment goal setting to university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 11, 2015. DOI: http://doi.org/10.5762/KAIS.2015.16.11.729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