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응일치분석을 이용한 SNS 이용 행태 조사 연구
A Study on SNS Usage Behavior using Correspondence Analysi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6, 2016년, pp.395 - 403  

김민정 (숙명여자대학교 소비자경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SNS 이용환경의 변화 및 사용자 증가에 따라 SN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용 행태를 조사하였다. 사회인구변인에 따른 사용자의 SNS 이용 동기, 선호하는 SNS 유형, 주로 이용하는 SNS 서비스에 대해서 교차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고 SNS 사용자의 특성과 주로 이용하는 SNS 서비스에 대하여 대응일치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SNS 사용자들의 이용 동기는 관계형이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했으며 선호하는 SNS 유형은 폐쇄형 SNS이고 주로 이용하는 SNS는 카카오스토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별, 직업별로 SNS 이용 동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 연령별로 선호하는 SNS 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NS 사용자 특성별 주로 이용하는 SNS에 대한 이미지 맵을 시각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대응일치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별, 직업별, 선호하는 SNS 유형별로 주로 이용하는 SNS 서비스에는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대응일치분석 결과 SNS 서비스간의 경쟁관계가 어떠한 구도로 형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SNS usage behaviors of SNS users with a change of SNS use environment and an increase of users.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 of use motivation, preferred type, and main use SN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 of SNS users using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al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변인에 따른 사용자의 SNS 이용 동기와 SNS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SNS 사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SNS 서비스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여러 변인들과 SNS 서비스에 따른 대응일치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 SNS 사용자들의 이용 행태 및 SNS 서비스들이 개성 속성을 기반으로 어떻게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SNS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이용 동기, 선호하는 SNS 유형, 주로 이용하는 SNS를 살펴보고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크게 두 가지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목적에 접근하였다.
  • 또한 SNS 사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SNS 서비스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여러 변인들과 SNS 서비스에 따른 대응일치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 SNS 사용자들의 이용 행태 및 SNS 서비스들이 개성 속성을 기반으로 어떻게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SNS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이용 동기, 선호하는 SNS 유형, 주로 이용하는 SNS를 살펴보고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그 특징과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변인에 따른 사용자의 SNS 이용 동기와 SNS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SNS 사용자가 주로 이용하는 SNS 서비스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여러 변인들과 SNS 서비스에 따른 대응일치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크게 두 가지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목적에 접근하였다. 첫째, SNS 사용자의 특성별로 교차분석을 통해 SNS 이용 행태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SNS 서비스들이 사용자의 특성을 기반으로 어떻게 자리매김 되어있는지 대응일치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SNS 서비스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문제 2: 사회인구학적으로 선호하는 SNS 유형은 차이가 있는가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NS란?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인터넷상에서 자기표현, 정보공유 등을 통하여 타인들과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이며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서비스로[1,2] 스마트폰의 보급 확산에 따라 스마트폰 기반의 SNS 서비스들이 많이 출시되면서 SNS 사용자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 예로 ‘2015 인터넷이용 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만6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의 64.
SNS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이유는? 4%로 증가하였으며[3] 이는 미국의 65세 이상 성인 중 35%가 소셜미디어를 사용한다는 Pew Research Center의 조사결과[4]와도 일맥상통한다. 이와 같이 SNS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는 SNS가 매우 쉽게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5].
모든 직업에서 가장 높은 SNS 이용 동기를 보이는 유형은? 20대는 오락형, 30대와 40대는 기록형, 50대는 정보형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연령별로 SNS를 이용하는 동기가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직업별 역시 모든 직업에서 가장 높은 이용 동기를 보이는 것은 관계형이며 그중 공무원은 관계형과 정보형 모두에서 높은 이용 동기를 보였다. 다음 순으로 직장인, 전업주부, 전문직은 기록형을 이용 동기로 선택하였으며 대학(원)생, 자영업, 자유직/무직은 정보형을 선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Y. K. Cho,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on the Intention to Use of SNS in the Digital Convergence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5, pp. 139-150, 2015. 

  2. S. Y. Park, S. H. Cho,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 through SNS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 371-379, 2015. 

  3.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and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On Survey of Internet Access by 2015", 2015. 

  4. http://www.pewinternet.org/2015/10/08/social-networking-usage-2005-2015/ 

  5. Y. Y. Hwang, K. S. Lee, S. A. Choi,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Young and Old Generation of SNS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20, No. 1, pp. 63-77, 2015. 

  6. A. M. Rubin, "Ritualized Instrumental Television Viewing",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34, Issue 3, pp. 67-77, 1984. 

  7. K. Y. Nae, "Study on Use Motivation and Gratification of Mobile SNS Users-Centering on Twitter and Me2day", Master thesis, 2009. 

  8. H. J. Shim, Y. S. Hwang, "Micro-blogging on Uses and Gratification Perspectiv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Vol. 24, No. 2, pp. 192-234. 2010. 

  9. N. I. Kim, S. B. Lee, "The Effect of public lifestyle on motivation and behavior using social media", Korea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Vol. 13, No. 2, pp. 306-341, 2011. 

  10. H. S. Kim, "A Study on Use Motivation of SNS and Communication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2, pp. 548-553, 2012. 

  11. J. L. Han, C. S. Kim, "SNS Users Typologies on the Basis of Gratifications Sought: Q Methodological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6, No. 2, pp. 33-44, 2012. 

  12. S. K. Lim, I. C. Song, M. H. Kim, "A User Characteristics and Affinity Analysis Method for Social Networks based on User Behavior.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Proceeding of 2010 Korea Computer Congress, Vol. 37, No. 2, pp. 10-15, 2010. 

  13. S. S. Kim, J. A. Bae,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SNS Communicators: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Facebook and Twitter",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 31, No. 4, pp. 97-139, 2014. 

  14. J. H. Lee, "SNS(Social Network Service) Diffusion & Trend", Journal of Communications & Radio Spectrum, Vol. 44, pp. 54-59, 2011. 

  15. Y. H. Lee,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Issue of SNS in Korea", Internet & Security Focus, August, pp. 56-78, 2014. 

  16. H. S. Jung, "The Evolution of Korean Social Network Service forcusing on the Case of Kakao Talk",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10, pp. 147-154, 2012. 

  17. S. Shin, "Current Status of SNS(Social Network Service)", KISDI STAT Report, 13-04, pp. 11-15, 2013. 

  18. Y. H. Kim, "Use Trend and Use Behavior of SNS(Social Network Service)", KISDI STAT Report, 15-03, pp. 7-12, 2015. 

  19. J. H. Kim, H. E. Kim, Y. W. Shin, "Communicate with Non Customer of Dead Zone in the era of SNS", Dong-A Business Review, Vol. 74, 2011. 

  20. S. E. Cho, E. Y. Han, J. M. Seok, D. H. Kim, "A Study on Social Media Use and the Beneficial and Adverse Effects on the Society", KISDI, 2014. 

  21. H. Y. Lee, "Data Analysis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ChungRam, 2013. 

  22. M. H. Heo, K. S. Yang, "SPSS Multivariate Data Analysis", HanNaRae, 2007. 

  23. S. H. Koo, "A Study on Personification Image of Channel Brand: Focused on Congruity Theory",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18, No. 3, pp. 73-96, 2007. 

  24. S. H. Kim, M. H. Kim, "Analysis of Competing Composition and Preference of Coffee Shop Brand through Perception of Brand Personality",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 26, No. 3, pp. 21-41, 2011. 

  25. J. Y. Go, K. H. Lee, "SNS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in M2M Environment Threats and Countermeasur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5, No. 1, pp. 29-34, 2014. 

  26. J. Y. Chang, "Convergence of Education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6, No. 6, pp. 213-219,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