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HARM을 이용한 작업환경측정기관 분석실의 화학물질노출 위험성 평가 연구
Assessment of Risk of Exposure to Chemicals in the Analysis Centers of Organizations for measuring the Working Environment, using CHAR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4, 2017년, pp.660 - 668  

박현아 (인천대학교 기업재난안전관리학과) ,  최서연 (송원대학교 재활보건관리학과) ,  우인성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이동호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작업환경측정기관 분석실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유해화학물질에 대해 CHARM(Chemical Hazard Risk Management)을 이용한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위험성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의 위험성평가를 실시한 작업환경측정기관 6곳을 선정하였으며, 그 결과 화학물질 노출 위험성 물질은 29개 물질이 선택 되었다. 성상별로는 액체 16개, 고체 10개 물질이었고, 특별관리물질인(CMR) '발암성(Carcinogenic)' 1A - 11개, 1B - 1개, 2 - 8개, '생식세포변이 원성(Mutagenic)' 1A - 4개, 1B - 3개, 2 - 8개, '생식독성(Repro-toxic)' 1A는 해당물질이 없고, 1B - 1, 2 - 6개 물질이 포함되어 있었다. 위험성 추정 결과 '낮음'에 해당하는 물질은 30.4%, '보통' 66.1%, '높음' 3.6%로 평가 되었다. 또한 6개 기관의 각 물질별 위험성 추정 결과 2개 기관이 위험성 추정 결정 중 '높음'에 해당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화학물질 평가도구인 CHARM(Chemical Hazard Risk Management)을 이용한 위험성 평가를 시도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작업환경측정기관 분석실의 위험성과 관리 화학물질을 우선적으로 도출하여 안전성 평가 및 비상조치 계획 수립과 안전관리 매뉴얼 구축과 작업환경측정기관 분석실에 대한 사고 및 위험성 관리의 제도적 법적 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 assessment of the risks posed by the noxious chemicals often handled at the analysis centers of organizations involved in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WEM) using the Chemical Hazard Risk Management (CHARM) system. For this purpose, six organizations involved in WEM 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업환경측정기관 분석실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유해화학물질을 CHARM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위험성을 추정하여 분석실 안전관리 방안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환경측정은 어떤 과정인가? 작업환경측정은 근로자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인간공학적 유해 인자들을 인식하고, 측정, 분석하여 평가하는 과정으로[1] 병원 등의 의료기관과 대학을 비롯한 협회, 민간 기관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작업환경측정기관의 경우 작업환경측정을 통하여 작업 시 채취한 유해인자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분석실을 운영하고 있다.
분석사는 어떤 업무를 수행하는가? 작업환경측정기관 분석실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이하 분석사)는 AAS(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GC(Gas Chromatography), IC(Ion Chromatography) HPLC(High Perfomance Liquid Chromatography)등 분석 장비를 이용한 중금속, 유기화합물질, 산·알칼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분석 작업 시 탈착, 용해 등을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은 매우 다양하며 또한 인체에 발암성(Carcinogenic), 생식세포변이원성(Mutagenic), 생식독성(Repro-toxic)을 일으키는 CMR(특별관리물질)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분석사의 업무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에 대하여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의 인진 여부, 노출 기준 초과 여부, 위험성을 평가 및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CHARM을 이용한 위험성 측정에서 노출기준 이하 수준에선 어떻게 위험성을 평가하는가? CHARM(Chemical Hazard Risk Management)을 이용한 화학물질노출 위험성은 노출기준 대비 작업환경측 정결과의 비율이나 화학물질의 하루 취급량과 비산성․ 휘발성을 조합하여 등급을 분류하며, 유해성에 대한 평가는 노출기준이나 위험문구, 유해․위험문구 등에 따라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대상으로 한다. 유해요인 노출(정도, 빈도)기준 이하수준에서는 거의 모든 근로자에게 건강상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기준을 적용하며, 위험성평가 시 1일 작업시간동안의 시간가중평균노출기준(TWA)을 적용하여 평가한다[12][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W. H. Yang, C. N. Kim, T. H. Kim, Y. M. Roh, S. H. Sim, J. I. Won, C. K. Lee, K. H. Chung, J. Y. Jeong, K. H. Cho, Y. G. Phee, S. S. Kim,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of Workers Engaged in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s Compan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ol. 23, no. 2, pp. 114-122, june, 2013. 

  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Internet]. Korea (Sej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cited 2010 Jun 4],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0466&efYd2 0161028#0000, (accessed Dec., 17, 2016) 

  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Notice no. 2016-39 [Ienternet]. Korea (Sej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cited 2016 Aug 16], Available From: http://www.moel.go.kr/view.jsp?cate3&sec1&smenu4 &modeview&bbs_cd116&stateA&seq1471308238013,(accessed Dec., 17, 2016) 

  4. K. M. Yoo, Y. M. Roh, J. G. Han, J. I. Won, "A Survey and Recommendation on Safety and Health for Occupational Health Laborato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ol. 10, no. 2, pp. 150-164, Nov. 2000. 

  5. Y. K. Kim, "A study on Actual Status of Safety Management of Occupational Hygiene Laboratories and Evaluation of Level of Recognition of Laboratory Workers", Korea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pp. 2-3, 2010. 

  6. H. J. Byun, J.I. Park, "A Review on Chemical Exposure and Related Health Risks in Laboratory Workers", Korea journal of Enviromental Health, vol. 36, no. 6, p. 442, Dec. 2010. 

  7. S. H. Eom, "A Study on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for Chemical Laboratories Using Root Cause Anal ysis Map of Accide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ate Dissertation, pp. 1-2, 2011. 

  8. J. I. Kim, "A Study on th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Technique about Frequency and Severity of Occurrences through Accident Analysis in Laboratories", Incheon University Doctorate Dissertation, p. 2, 2008. 

  9. J. S. Yoon, "A study for In-Laboratory Chemical Hazard Risk Assesment with CHARM, Dep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Korea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pp. 1-4, 2014. 

  10. J. I. Park, "Chemical exposure assessment of laboratory workers. Occupational Safety & Health Research institute", OSH Research Brief, vol. 6, no. 5, pp. 14-19, October, 2012. 

  11. M. R. Ham, "Comparison of hazard grades evaluated by assessment methods in CHARM" Korea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p. 3, 2015. 

  12.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Korea Risk Assessment System [Ienternet]. Korea (Ulsan):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cited 2014], Available From: http://kras.kosha.or.kr/main.do, (accessed Dec., 17, 2016) 

  13. H. G. Baek, "Chemical Hazard Assessment Manual", Occupational Health Office Occupational Environment Team(InCheon), pp. 3-24,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