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생산 환경 및 조직과 기자의 정치적 성향, 업무 수행 자유도가 언론의 전문성,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Political Tendency and the Degree of Freedom during Performance on the Perception of Journalists on the Quality of the Pres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5, 2017년, pp.209 - 220  

홍주현 (국민대학교 언론정보학부) ,  최선영 (이화여대 에코크리에이티브 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언론인들이 기사를 생산함에 있어서 스스로 전문성, 공정성을 판단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슈메이커와 리즈의 계층 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뉴스생산 환경의 차이, 조직과 개인의 정치적 성향 일치도, 기자들의 업무 수행 자유도에 따라 언론인이 전문성과 공정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온라인 매체 종사자들이 오프라인 매체 종사자들보다 자신들의 보도 공정성을 높게 평가했다. 둘째, 오프라인과 온라인 매체 종사자 간에 조직의 정치 성향 일치도 판단에 있어서 차이가 났고, 이러한 인식이 언론 공정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업무 수행 자유도가 높을수록 언론의 공정성을 높게 평가했고, 언론 보도의 공정성을 높게 평가할수록 업무를 전문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소속 매체 특성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언론인 의식조사'의 설문 원시 자료를 활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통해 연구했다는 점이다. 특히 소속 매체에 따라 조직의 정치적 성향, 업무 수행 자유도 측면에서 뉴스 생산 환경에 대한 우리나라 언론인들의 인식이 어떠한지 분석했다는 점에서 저널리즘 측면의 의의가 있다. 언론의 공정성과 전문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국 기사의 질이라는 결과물로 나타나기 때문에 뉴스생산 환경의 정치적 자유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what ar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erception of press professionalism and fairness of journalist in the process of their news production.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difference between mainstream media and online media, the political tendency and the degree of freedom 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 언론사와 인터넷 언론사 기자들의 소속 매체 특성 및 조직과 기자의 정치 성향 일치도, 업무 수행 자유도를 중심으로 보도 및 기사의 질에 대한 조직과 기자 개인의 인식을 비교하되, 전문성과 공정성 인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는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조직의 뉴스생산 환경 차이가 기사작성자인 기자가 전문성과 공정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조직과 기자 개인의 정치 성향 일치도에 대한인식은 어떠한지 살펴볼 것이다. 보도의 질로 나타나는 최종 결과물과 생산과정에 대한 언론종사자들의 인식은 개인과 조직의 관행 및 이념적 성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 보도의 질로 나타나는 최종 결과물과 생산과정에 대한 언론종사자들의 인식은 개인과 조직의 관행 및 이념적 성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기자 스스로 업무 환경 자유도를 인식하는 정도에 따라 결과물로서 뉴스 콘텐츠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뉴스 제작 환경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제안을 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여러 차원 중에서 개인적 차원과 조직 차원에서의 기자의 자율성(autonomy)이 얼마나 있는지를 업무 수행 자유도로 개념화했다. 기자들이 정보를 선택하고, 이야기를 작성하는데 얼마나 자유가 있는지 개인적 차원에서 자유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 따라서 이 연구는 기존 언론사와 인터넷 언론사 기자들의 소속 매체 특성 및 조직과 기자의 정치 성향 일치도, 업무 수행 자유도를 중심으로 보도 및 기사의 질에 대한 조직과 기자 개인의 인식을 비교하되, 전문성과 공정성 인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는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조직의 뉴스생산 환경 차이가 기사작성자인 기자가 전문성과 공정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조직과 기자 개인의 정치 성향 일치도에 대한인식은 어떠한지 살펴볼 것이다.
  • 우리나라 신문법은 기본 요건만 갖추면 누구나 인터넷 매체를 개설할 수 있도록 허가하기 때문에 뉴스생산 환경은 더욱 차이가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진보적 성향의 인터넷 매체가 많을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기자 개인의 정치적 성향이 기사의 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을 갖고자 한다. 기자의 정치성 성향이 보수인지, 진보인지에 따라 정부 정책이나 정부 관련 이슈를 다룰 때 동일 사안이라도 다른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전혀 다른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이 연구는 기자들의 의식조사에 대한 원시자료 2차 분석을 통해 기사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16]하였으나 다음 몇 가지 한계를 스스로 지적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활용한 데이터는 2013년 데이터로 최근 모바일 플랫폼 환경으로 재편되고 있는 언론환경을 시의적으로 반영하지 못했다.
  • 기사를 쓸 때 얼마나 자유로운지는 개인차원으로, 상업적이거나 정치적인 제약으로부터의 자유는 미디어조직 차원으로, 모든 종류의 검열로부터 자유로운지를 의미하는 것은 제도 차원이라 할 수 있다[13]. 이 연구는 여러 차원 중에서 개인적 차원과 조직 차원에서의 기자의 자율성(autonomy)이 얼마나 있는지를 업무 수행 자유도로 개념화했다. 기자들이 정보를 선택하고, 이야기를 작성하는데 얼마나 자유가 있는지 개인적 차원에서 자유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가설 설정

  • 1. 소속 매체에 따라, 직급에 따라 정치적 성향이 다를 것이다.
  • 2. 온라인 매체와 오프라인 매체 종사자 간에 언론 자유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기자 개인과 조직의 정치적 성향에 차이가 날 때 전문성과 공정성에 대한 인식도 차이가 날 것이다.
  • 4. 뉴스생산 환경의 차이, 기자와 조직의 정치 성향의 차이 성향의 차이, 업무수행 자유도가 언론의 질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셋째, 뉴스 콘텐츠는 조직적 생산을 통해 나온 산물이다. 그러나 게이트키핑과 같은 편집국의 통제는 뉴스생산 환경의 변화로 유동적으로 바뀌는 추세이다.
  • 만약 기자의 정치 성향과 조직 정치적 성향이 다르다면, 정부관련 이슈를 다루거나 여당, 야당, 선거 관련 이슈를 다룰 때 기자의 내적 갈등이 심할 수도 있다. 소속 매체의 뉴스 생산 환경이 어떠한 정치 성향을 가졌는지는 매체 속성에 따라 다를 것이다. 또 위계를 반영하는 직급에 따라 정치 성향의 차이가 날 것이다.
  • 1-1. 온라인 매체 기자의 정치적 성향 차이보다 오프라인 매체 기자의 정치적 성향 차이가 클 것이다.
  • 2-2. 온라인 매체와 오프라인 매체 종사자 간에 언론 활동 자유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1. 정치적 성향의 차이가 클수록 언론의 공정성을 낮게 평가할 것이다.
  • 첫 번째 연구가설을 토대로 뉴스생산 환경의 차이에 따라 직무를 수행하면서 자유롭다고 인식하는 업무 수행 자유도(Freedom to conduct a business)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 개념은 얼마나 자율적으로 일을 할 수 있는지, 업무를 수행하는데 제약을 가하는 관행이 있는지, 게이트 키핑 과정에서 기자의 의견이 얼마나 반영되는지 등 기사 취재 및 편집 과정에서 얼마나 독립적으로 일을 하는지를 의미한다[1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디어 관행이란 무엇인가? 둘째, 미디어 관행은 미디어 수행구조를 즉시적으로 구성하는 행위의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적 관행은 수행에 의해 구성되는데 명시되지 않은 규칙이나 의례화 규범을 의미한다.
영국 인디펜던트지가 2016년 3월 '디지털챕터'로의 전환을 결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30년의 전쟁'이라는 특집기사를 종이신문에 마지막으로 게재한 영국 인디펜던트지는 2016년 3월 '디지털챕터'(digital chapter) 로의 전환을 결정했다[1]. 신문구독자의 매체 접촉이 디지털 플랫폼으로 급속히 전환됨에 따라 전통적 방식의 신문 제작방식과 유통, 배급이 점점 설득력을 잃고 있기 때문이다.
조직과 개인의 정치적 성향 차이가 온라인 매체보다 오프라인 매체에서 크게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조직과 개인의 정치적 성향 차이가 오프라인 매체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온라인 매체의 경우 위계적인 조직 문화가 아니고, 정치적 성향이 다양한 매체가 존재하기에 기자들이 매체의 정치적 성향을 고려해서 들어갔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온라인 매체 기자들의 기사의 질에 대한 평가가 오프라인 매체 기자들의 평가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온라인 매체 기자들의 정치적 성향이 조직과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ttp://www.independent.co.uk/voices/theindependent-printed-edition-comes-to-an-endbut-the-dream-of-our-founders-shall-never-die-a6953006.html 

  2. Full highlights of World Press Trends 2016 survey http://www.wan-ifra.org/articles/2016/06/12/full-highlights-of-world-press-trends-2016-survey 

  3. http://stat.mcst.go.kr/mcst/resource/static/index/index03.html 

  4. 김위근, "인터넷신문 뉴스생태계의 현안과 개선방향," 한국언론학회 세미나, 인터넷뉴스 생태계의 현안과 개선방향, pp.13-30, 2010. 

  5. 이충재, 김정기, "종합일간지 편집국장의 편집권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6호, pp.165-186, 2015. 

  6. P. J. Shoemaker and S. D. Reese, Mediating the message :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 content, 2nd edtion, 1991. 김원용 역, 미디어 사회학, 서울: 나남출판, 1997. 

  7. 홍경수, "방송뉴스제작에 있어서 기자?PD 협업의 시너지효과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164-176, 2011. 

  8. S. D. Reese and P. J. Shoemaker, Media Sociology and the Hierarchy of Influences Model: A levels-of-analysis perspective on the networked public sphere,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Vol.19, No.4, pp.389-410, 2016. 

  9. M. Deuze, "The Web and its Journalism : Considering the Consequence of Different Types of News Media," Online. new media & society, Vol.5, No,2, pp.203-230, 2003. 

  10. 홍주현, "핵심 정보와 주변 정보의 확산 과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269-287, 2016. 

  11. M. Deuze, "What is multimedia journalism 1?," Journalism studies, Vol.5, No.2, pp.139-152, 2004. 

  12. Y. S. Praeli, New Media and Freedom of Press, Reuters Institute Fellowship Paper University of Oxford, 2010. 

  13. R. G. Picard, Journalists' Perceptions of the Future of Journalistic Work, Reuters Institute for the study of journalism Report(University of Oxford), 2015. 

  14. L. Ahva, "What is "public" in public journalism," Estudos em Comunicacao, Vol.9, pp.119-142, 2011. 

  15. 홍주현, 김경희, 한국 사회에서의 뉴미디어 확산과 사회적 의제, 한국연구재단 토대연구 보고서, 2016. 

  16. 홍주현, 최선영, "뉴스생산 환경 및 조직과 기자의 정치적 성향, 업무 수행 자유도가 언론의 전문성,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방송학회 언론진흥재단 후원 세미나 발표,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