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요인 및 정서요인이 스마트폰중독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tress, Self Factor and Emotional Factor on Smartphone Addict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5, 2017년, pp.326 - 336  

이현숙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배상윤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요인 및 정서요인과 스마트폰중독정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스마트폰중독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J시 2개 대학에서 선정된 26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6년 12월 16일부터 12월 23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스마트폰중독정도에 52%의 설명력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체활동변화, 수면장애, 자아요인의 자기통제력, 정서요인의 충동으로 나타났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스트레스, 자아요인 및 정서요인과 스마트폰중독정도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볼 때,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정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자아요인 및 정서요인을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중독정도를 낮추는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에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구조모형 조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evance of stress, self factor and emotional factor, and the influence on Smartphone Addict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61 college students in J city from December 16th to 23rd, 2016. The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arie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사회학적 및 스마트폰사용 특성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자아요인 및 정서요인에 따른 스마트폰중독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인과 스마트폰중독정도의 상호관계와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정도를 낮추는 보건교육의 내용 개발 및 시행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요인, 정서요인과 스마트폰중독정도의 관련성을 검토하고자 시도하였다. 2016년 12월 16일부터 2016년 12월 23일까지 J시 소재 2개 대학에서 임의 추출된 대학생 261명에 대한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결과가 분석되었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요소를 측정하는 척도를 활용하여 모형을 수립하였고 이들의 상호작용 및 스마트폰중독 정도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대학생의 스트레스,자아요인 및 정서요인의 수준을 관리함으로써 스마트폰중독정도를 낮출 수 있음이 파악되었고 특히, 정서요인을 관리함으로써 스마트폰중독정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요인, 정서 요인 및 스마트폰중독정도의 상호관계와 요인간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공격성은 타인의 정신 및 신체에 위해를 가하여 고통을 주는 정서적인 문제로 스마트폰중독과의 간련성조사가 필요하다[14]. 이와 같이 상호 관련성을 정리하여 보면, 스트레스는 자아요인 및 정서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요인은 정서요인과 관련되어 있으며, 스트레스, 자아요인 및 정서요인은 스마트폰중독정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연구모형을 가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중독이 사용자에게 끼치는 악영향은 무엇인가? 스마트폰은 대부분의 대학생이 보유하고 있으며 통신, 의사소통, 정보검색, 여가, 결재 및 은행업무 등에 활용하는 필수품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필요이상으로 사용함으로써 중독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스마트폰중독은 습관적 사용, 학습방해, 성적저하, 가족이나 친구보다 선호함, 사용 중지 시 견디기 힘들거나 공황상태,초조함, 불안감, 주변의 지적, 스스로 통제 불능 등의 자아 및 정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2]. 스마트폰을 지나치게 사용함으로써 손과 팔의 통증, 눈의 피로감, 거북목 등의 신체적인 증상뿐 만아니라 폭력성 증대, 이상 습관형성 등의 자아 및 정서적인 문제와 보행시 안전사고 위험 등의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중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정서 요인은 스마트폰 중독과 어떤 연관이 있는가?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의 개념으로 자신을 수용하고 존중하며 스스로를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대학생의 정서요인과 관련되어 있다[7]. 정서 요인의 우울은 개인이 이루고자 하는 희망과 현실적인 괴리가 초래하는 정서적인 문제로 근심, 침울, 상실감,무력감 및 무가치감 등의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의미하는 것으로[8]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불안은 긴장이 발생시키는 두려움으로 정서적인 문제로[8] 스마트폰중독에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스마트폰중독을 개선해주는 요인들은 무엇이 있겠는가? 스마트폰중독정도와 스트레스, 자아요인의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 정서요인의 우울, 불안,충동 및 공격성들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스마트폰중독 정도는 자아요인의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은 음의 상관관계를, 스트레스, 정서요인의 우울,불안, 충동 및 공격성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능력[10][11], 자신을 존중하고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는 자아요인[12-14][29],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두려움과 행동을 조절하고 타인에 위해를 주는 행동을 통제하는 능력[15][18][30] 등이 스마트폰의 건전한 사용과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통계청, 2016년도 청소년통계, p.32, 2016. 

  2.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pp.14-15, 2013. 

  3. 미래창조과학부, 2015년도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추진계획, pp.1-25, 2015. 

  4. S. Cohen, T. Kamarck, and R. Mermelstein,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4, pp.385-396, 1983. 

  5. 최정은, 서은지, 이은희, 유문숙,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정서지능,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가정간호학회지, 제21권, 제1호, pp.44-51, 2014. 

  6. 심미영, 이둘녀, 김은희,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관계:우울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227-236, 2016. 

  7. 김승희, 배상윤, "보건계열학과 일부 여대생들의 우울과 관련된 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10호, pp.367-375, 2015. 

  8. 배상윤, 김승희, "보건계열 여대생의 긍정정서, 부정정서 및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인 영향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3호, pp.269-278, 2016. 

  9. 김동일, 안현희, "NEO 청소년 성격 검사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4권, 제1호, pp.77-91, 2006. 

  10. 임영숙, 이영주, 한숙정, "GIA모델에 근거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56-66, 2016. 

  11. 전원희, 조명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739-747, 2016. 

  12. 정구철,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655-665, 2016. 

  13. 김정현, 정인경,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지각된 아버지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7권, 제1호, pp.111-126, 2015. 

  14. 이후연, 조영채, "농촌지역 중학생들의 사회?심리적 요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4711-4722, 2015. 

  15. 양경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7권, 제1호, pp.113-123, 2016. 

  16.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365-375, 2012. 

  17. 조규영, 김윤희,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1632-1640, 2014. 

  18. 박혜선, 김형모,"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부모의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3호, pp.498-512, 2016. 

  19. F. Faul and E. Erdfelder, A.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20. M. R. Gottfredson and T. Hirschi, A general theory of crim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0. 

  21. 김현숙, 청소년의 건강행위와 비행의 영향요인에 관한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22. 남현미,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및 친구특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23. 김아영, 차정은, "자기효능감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51-64, 1996. 

  24.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 변인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권, 제2호, pp.1-19, 1997. 

  25.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pp.46-68, 1965. 

  26. 전병제, "Self-esteem: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제11권, pp.107-129, 1974. 

  27. 김동일, 홍성두, 인효연, "Big Five성격 요인에 기초한 청소년 성격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열린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289-305, 2006. 

  28. 단현주, 배노영, 구종모, 오향화, 김미영,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신체증상 및 정신건강:인터넷 윤리의식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77-286, 2015. 

  29. 이숙정, "스마트폰 중독방지 앱의 자기결정적 동기화 속성에 관한 내용분석: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12-22, 2016. 

  30. 강혜자, "스마트폰 사용과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간의 관계-스마트폰 사용장의 태도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3호, pp.483-488, 2016. 

  31. 이현숙,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7권, 제4호, pp.163-172,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