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수면 관련 요인에 대한 융합 연구 : 스마트폰 의존을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the Sleep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Dependence of Smartphon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465 - 476  

한숙정 (삼육대학교 간호대학) ,  천지영 (삼육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Spielman의 3P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대학생의 수면과 그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한 융합 연구이다. 대상자는 시험을 1~2주 앞둔 대학생 및 대학원생 191명이며, 수면의 질과 관련 변수로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시험 불안, 스마트폰 의존 정도, 주간 졸림증을 고려하였다. 좋은 수면군과 나쁜 수면군으로 나누어 두 군간 수면의 질을 비교하기 위해 Chi-square test, t-test를 이용하였고, 수면의 질과 일반적 특성 및 자기통제력, 스트레스, 시험 불안, 스마트 의존 정도, 주간 졸음증과의 상관관계 파악을 위해 Pearson's coefficient correlation 분석을 사용하였다. 수면을 방해하는 촉발요인으로 스트레스와 시험불안, 그리고 수면 장애를 지속시키는 요인으로 스마트폰 의존, 수면 관련 요인인 주간 졸림증이 수면의 질과 관련요인으로 나타났고, 생물심리학적 영역인 유발요인으로써 자기통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대학생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인 스트레스 및 시험 불안, 그리고 수면장애를 지속시키는 스마트폰 의존과 같은 정신 건강의 개선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수면의 질이 향상될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vergence study to determine sleep and its factors in university students on the basis of Spielman's 3P model. The participants were 191 graduate and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scheduled to take the exam after 1~2 weeks. The related variables of quality of sleep were self-contr...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학생의 수면 관련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면장애의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함이며,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처럼 선행연구들에서 수면이 각각 스트레스 등의 정신건강, 스마트폰 의존과 자기통제력, 그리고 주간 졸림증 등과의 관련성을 설명하기는 하였으나 일부 관련요인 만을 단편적으로 살펴보았기에, 수면과 스마트폰 의존과 관련된 변수들을 통합하여 관련성을 살펴보지는 못하였다. 이에 수면장애 모델인 Spielman의 3P 모델을 바탕으로 수면 및 스마트폰 의존의 관련요인을 살펴보고, 대학생의 수면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본 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이란? 수면은 인간의 신체 기능과 정신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과정으로, 에너지 보충과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기에 사람이 최적의 상태에서 생활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사람은 수면을 통해 생리적 기능을 회복하고 스트레스 및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1,2], 학생들의 경우에 수면은 집중력, 기억력, 인지기능 향상 등 학업과 관련된다[3].
스마트폰에 과의존할 경우 나타나는 문제점은?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그 중 스마트폰은 중독과 연관되어 사회적 문제로 고려된다. 특히, 대학생들은 학업 스트레스와 불안 해소를 위해, 공간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고 이용하기 편리한 스마트폰을 과의존 하는데[4], 이는 삶에서 스마트폰을 가장 중요한 활동으로 고려하는 현저성(salience) 및 스마트폰 이용에 대한 조절능력이 떨어지는 조절실패(self-control failure),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문제적 결과와 관련되어[5], 금단현상과 수면부족까지 연결된다[6].
본 연구에서 여학생의 수면의 질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좋지 않은 결과가 나온 이유는? 본 연구에서는 여학생의 수면의 질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일부 선행연구[28]와 비슷한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이는 성별 간 수면의 차이가 없다고 하였던 Sung과 Jang(2007) 의 연구에서 대상자가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으로 한 달간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나[1],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가 도출된 선행연구는 모두 중간고사 1∼2주 전에 설문을 실시하여 학업 스트레스와 시험불안이 극대화 되어 있는 시점에 조사가 진행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스트레스에 취약하다는 선행연구에 미루어 볼 때[29],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시험불안이 남학생보다 더 크게 부담감으로 작용하여 수면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던 것이라 판단되는 부분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 J. Sung & K. J. Jang. (2007). Correlations among Life Stress, Sleep,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6(7), 840-848. DOI : 10.3746/jkfn.2007.36.7.840 

  2. Y. S. Kim. (2017).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Sleep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6), 473-483. 

  3. S. Banks & D. F. Dinges. (2007).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consequences of sleep restriction. In S. Banks (Ed.), (Vol. 3, pp. 519-528). 

  4. J. Y. Yoon et al. (2011). smartphone Addiction and Health problem in University Stud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3(2), 92-104. 

  5.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9). The Survey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Gyeonggi. NIA VI-RSE-C-18060. 

  6. M. J. Park, S. Y. Ryu, J. Park & M. A. Han. (2015).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leeping Time and Sleep Deprivation among Som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0(1), 50-61. 

  7. N. Y. Lee, Y. J. Song, S. E. Jun & S. K. Lee. (2014). Relationships between the Adolescents' Usage Time of Smart Phone before Bedtime and Sleep Quality.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18(2), 1-14. 

  8. H. Y. Chun. (2015). Relations of smartphone Usage Level to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Time Diaries, and Variables Predicting the Usage Level Groups of Four Year Old Children.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11(6), 153-175. DOI : 10.14698/jkcce.2015.11.153 

  9. M. H. Kim. (2014). The Effects of Morningness-Eveningness, Depression, and Smart-phone Use on Sleep Quality of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0. J. H. Park. (2019). The Convergent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Sleeping Time and Sleep Deprivat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9), 311-320. 

  11. H. H. Han. (2019) The Relationship among Smartphone Addiction, Lack of Sleep and Sleeping Hour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0), 213-219. 

  12. N. H. Jo & J. H. Lee. (2019).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leep Quality,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1), 202-211. 

  13. R. Meldrum, J. Barnes & C. Hay. (2015). Sleep Deprivation, Low Self-Control, and Delinquency: A Test of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Publication, 44(2), 465-477. 

  14. C. K. Kim, S. H. Kim & M. K. Cho. (2016). The Influences of Self-Control and Resilience on the Experience of Bully of Middle Schoolers Depending on Sleep Duratio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corders, 32(4), 147-163. 

  15. S. I. Baek. (2017). The Effects of Adulthood Self-Esteem and Self-Control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16. S. Y. Ahn. (2007). The Relationship among Self-Control, Stress Perception and Coping style of the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Nonsan. 

  17. A. J. Spielman. (1986). Assessment of insomnia. Clinical Psychology Review, 6(1), 11-25. DOI : 10.1016/0272-7358(86)90015-2 

  18. A. J. Spielman, L. S. Caruso & P. B. Glovinsky. (1987). A behavioral perspective on insomnia treatment. Psychiatr Clin North Am, 10(4), 541-553. 

  19. P. B. Glovinsky, C. M. Yang, B. Dubrovsky & A. J. Spielman. (2008). Nonpharmacologic Strategies in the Management of Insomnia: Rationale and Implementation. Sleep Medicine Clinics, 3(2), 189-204. DOI : 10.1016/j.jsmc.2008.01.007 

  20. S. G. Nahm. (2015). Understanding Effect Sizes.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35, 40-43. 

  21. J. Cohen.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 L. Erlbaum Associates. 

  22. S. I. Sohn, D. H. Kim, M. Y. Lee & Y. W. Cho. (2012).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Breath, 16(3), 803-812. DOI : 10.1007/s11325-011-0579-9 

  23. G. Y. Lee. (2001). The study on internet addiction of adolescent. Unpublished doctoral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E. S. Lee et al. (2010). Development of the Stress Questionnaire for KNHANES, Inje University, Incheon. 

  25. Y. R. Cho.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Beliefs about the Uncontrollability and Danger of Worry and Test Anxiety: The Mediating Role of Experiential Avoidanc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7(4), 891-909. DOI : 10.7856/kjcls.2016.27.4.891 

  26. Y. W. Cho, J. H. Lee, H. K. Son, S. H. Lee, C. Shin & M. W. Johns. (2011).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pworth sleepiness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Science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 15(3), 377-384. DOI : 10.1007/s11325-010-0343-6 

  27. H. G. Lund, B. D. Reider, A. B. Whiting & J. R. Prichard. (2010). Sleep Patterns and Predictors of Disturbed Sleep in a Large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46(2), 124-132. 

  28. M. J. Park & M. Y. Chung. (2018). Quality of Sleep and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9), 187-195. 

  29. Stress in America. (2019). Stress and Gender. Stress in America, 1-5. [Online]. https://www.apa.org/news/press/releases/stress/2010/gender-stress.pdf. 

  30. H. Y. Yi. (2013). Sleep Quality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Adults.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27(1), 76-88. DOI : 10.5932/JKPHN.2013.27.1.76 

  31. S. H. Lee. (2001). Parents-Juveniles Attachment, Self-Controlling under Guiltiness, which is Attractiveness of Delinquency and the Environment, which Effects Delinquency.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32. D. H. Jeong. (2018). The Influence of Adolescent Sleep on Delinquency : The Mediating or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and Social Support.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