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격차와 삶의 대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세대별, 사회경제적지위, 도시-농촌 간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gital Divide and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Generation, SES, and an Urban-rural Comparis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5, 2017년, pp.633 - 641  

고흥석 (동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급속한 디지털 미디어 발달과 한국사회의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 현상에 주목하여,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디지털 격차와 삶의 만족도에 대해 세대별, 도시-농촌간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국 규모의 9,647개 샘플 데이터를 토대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디지털 격차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디지털 격차와 삶의 만족도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세대별로 구분하였을 경우, 2030연령대가 디지털 활용과 삶의 만족도 등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60대 이상 연령층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디지털 활용은 모든 계층에 있어서 도시거주자들이 높은 수치를 보였지만, 삶의 만족도는 하위계층과 중위 계층에서는 농촌지역이, 상위계층에서는 도시지역이 더 높이 나왔다. 이 연구는 초연결사회로 진행되어 가는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디지털 형평의 문제를 사회경제적지위와 도시-농촌 간 비교를 통해 재확인하면서 궁극적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how the digital divide caused by personal SES(Socio-Economic Status) eventually affect personal life satisfaction.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between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as well as the differences among generations, with respect to the digital divi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론, 자본주의 체제 속에서 개인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소득과 교육 수준에 근거한 사회경제적 지위(socio-economic status, SES) 변인을 전제한다. 나아가 높은 수준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실재하고 있는 도시-농촌 사이의 간극을 개인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 환경이 우리 사회에 가져온 다양한 사회경제적 관계 변화와 그러한 변화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동시에 뉴미디어에 대한 접근과 활용에 따라 부수되어 발생하는 디지털 격차 문제를 세대별, 사회경제적 지위별, 도시-농촌 간 비교연구를 통해 다루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이 연구의 목적은 뉴미디어환경과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궁극적으로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합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 이 연구는 인터넷 보급의 확산과 모바일 소셜 플랫폼의 증대에도 불구, 여전히 잔존하는 디지털 격차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사회의 모습에서 개인 간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가 개인이 느끼는 삶의 만족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 보고자 한다. 물론, 자본주의 체제 속에서 개인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소득과 교육 수준에 근거한 사회경제적 지위(socio-economic status, SES) 변인을 전제한다.
  • 따라서 우선적으로 디지털 미디어의 물리적 접근성을 포함한 활용의 정도에서 비롯되는 개인 간 디지털 격차의 문제와 삶의 만족도에 대한 변인을 활용하여 이들 각각의 변인들 간 관계가 어떻게 나나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문제 1>을 아래와 같이 설정하였다.
  • 이 연구는 개인을 비롯한 세대별, 도시-농촌별 수준에서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새로운 디지털 격차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네트워크 사회에서 개인이 느끼는 삶이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경로분석과 변량분석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 이 연구는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 환경이 우리 사회에 가져온 다양한 사회경제적 관계 변화와 그러한 변화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동시에 뉴미디어에 대한 접근과 활용에 따라 부수되어 발생하는 디지털 격차 문제를 세대별, 사회경제적 지위별, 도시-농촌 간 비교연구를 통해 다루고자 하였다.
  • 동시에 뉴미디어에 대한 접근과 활용에 따라 부수되어 발생하는 디지털 격차 문제를 세대별, 사회경제적 지위별, 도시-농촌 간 비교연구를 통해 다루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이 연구의 목적은 뉴미디어환경과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궁극적으로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합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판단 기준에는 어떤 요인이 있는가? 물론, 사회적 불평등은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지만, 현대의 새로운 기술문명의 시대에서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탐색하는 연구들은 개인들의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에 대한 접근의 문제를 가장 중요한 주제로 삼아야한다는 지적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판단 기준으로 소득과 교육수준의 차이와 더불어 뉴미디어의 사용 여부 또한 하나의 주요한 요인으로 다뤄져야 함을 보여준다[8]. 같은 맥락에서, 인터넷 사용의 폭(breadth)의 차이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경우에 상대적 불이익으로 다가올 수 있다[7].
지식격차(knowledge-gap) 가설을 제시한 인물들은 누구인가? 1960년대 새로운 개혁과 사고, 실천의 문제를 개혁채택률의 차이를 통해 개혁확산(diffusion ofinnovation)이론으로 설명한 이래 새로운 과학기술의 채택여부나 뉴미디어 수용 양태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개혁확산이론에 근거하여 수행되어왔다[1][2]. 특히 1970년대 들어서면서 티치너와 도너휴, 올리엔(Tichenor, Donohue, & Olien, 1970)은 매스 미디어를 통한 정보의 습득에 있어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계층이 그렇지 않은 계층보다 빠르게 정보를 습득하는 경향이 있음을 밝혀내면서 지식격차(knowledge-gap) 가설을 제시하였다[3]. 그리고 두 집단 간 지식격차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점 더 커진다고 보았다.
웹3.0 혹은 인터넷 3.0 세상에 사는 지금 우리는 행복한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대답하기 힘든 이유는? 0 세상에 사는 지금 우리는 과연 행복한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그렇다’라고 답하기 힘들다. 그 이유에는 다양한 내외적 요인들이 있겠지만, 디지털 문명 자체가 반드시 개인의 삶의 질을 높임으로써 삶에 대한 만족감을 충족시켜 줄 것이라는 필연적 인과관계에 대해서 회의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E. M.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s (3rd ed), Free Press, 1983. 

  2. M. Taylor and D. C. Perry, "Diffusion of traditional and new media tactics in crisis communication," Public Relations Review, Vol.31, No.2, pp.209-217, 2005. 

  3. P. J. Tichenor, G. A. Donohue, and C. N. Olien, "Mass Media Flow and Differential Growth in Knowledg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4, No.2, pp.159-170, 1970. 

  4. van Dijk and K. Hacker, "The digital divide as a complex and dynamic phenomenon," The Information Society, Vol.19, No.4, pp.315-326, 2003. 

  5. P. Norris, Digital Divide: Civic engagement, information poverty, and the Internet worldw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6. N. Zillien and E. Hargittai, "Digital Distinction: Status-Specific Types of Internet Usage," Social Science Quarterly, Vol.90, No.2, pp.274-291, 2009. 

  7. S. Livingston and F. Helsper, "Gradations in digital inclusion: children, young people and the digital divide," New media & society, Vol.9, No.4, pp.671-696, 2007. 

  8. J. Y. Jung, J. L. Qiu, and Y. C. Kim, "Internet Connectedness and Inequality: Beyond the 'Divide'," Communication Research, Vol.28, No.4, pp.507-525, 2001. 

  9. M. D. Chinn and R. W. Fairlie, "The determinants of the global digital divide: A cross-country analysis of computer and internet penetration," Oxford Economic Papers, Vol.59, No.1, pp.16-44, 2007. 

  10. G. Campbell and N. Kwak, "Mobile communication and civic life: Linking patterns of use to civic and political engagement," J of Communication Vol.60, pp.536-555, 2011. 

  11. 김은정, 이신영, "농촌 노인의 비공식적 사회관계망과의 사회적 지원과 우울성향 : 도시 노인과의 비,"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2호, pp.149-176, 2012. 

  12. 전종덕, 류소연, 한미아, 박종, "도시와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 비교," 농촌의학.지역보건, 제38권, 제3호, pp.182-194, 2013. 

  13. 박명숙, 송사리, "다문화가정 아동의 비행경험과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비교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3권, pp.155-183, 2010. 

  14. 정예리, 이숙희, "거주 지역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와 일반가정 유아의 언어발달 및 사회적 힘의 비교: 도시와 농촌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제63권, pp.79-108, 2010. 

  15. 임형백, "한국의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다문화사화의 차이와 정책 차별화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1권, 제1호, pp.51-74, 2009. 

  16. 안종철, 임왕규,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189-210, 2014. 

  17. 김미숙, 신어진, "도시와 농산어촌 아동청소년의 복지와 여가수준 비교연구," 농촌의학.지역보건, 제34권, 제2호, pp.188-201, 2009. 

  18. 심재권, "저출산.고령화의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농촌과 도시지역의 산업구조변화 비교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2권, 제2호, pp.125-146, 2008. 

  19. D. F. Johnson, "Toward a Comprehensive Quality of Life Index,"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20, pp.473-496, 1988. 

  20. G. E. Engle,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Biopsychosocial Model,"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3, pp.535-545, 1980. 

  21. R. D. Putnam,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Simon & Schuster Paperbacks, 2000. 

  22.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pp.310-357, 1985. 

  23. D. M. boyd and Ellison,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3, No.1, pp.210-230, 2008. 

  24. N. Ellison, C. Steinfield, and C. Lampe,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2, No.4, pp.1143-1168, 2007. 

  25. 금희조, "소셜 미디어 시대, 우리는 행복한가?:소셜 미디어 이용이 사회자본과 정서적 웰빙에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5호, pp.7-78, 2011. 

  26. 임은의, 구본진, 임세현, "농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2호, pp.567-590, 2014. 

  27. 김윤화, "N스크린 이용행태 및 추이," KISDI STAT Report, 2014-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