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ollege Adap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3 no.2, 2017년, pp.184 - 193  

김명숙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adaptation to college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325 nursing students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one way ANO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대학생활 적응정도를 파악하고,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고 바람직한 대학생활 적응을 돕는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 설계는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대학생활 적응정도를 파악하고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한 전략마련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대학생활 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의 근거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친 주요요인은 전공만족도, 셀프리더십에서 행위중심전략, 그리고 리더십 보유수준, 학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리더십의 전통적인 리더십과의 차이점과 그 효과는 무엇인가? 셀프리더십은 ‘자기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자기를 통제하는 자율성이 강조되는 자기관리와 내적동기부여’로서 지시, 명령, 통제 등에 의해 발휘되는 전통적인 리더십과는 달리 스스로 목표설정을 하고 창의성과 자발적인 능력 발휘를 통해 개인의 성장과 조직성과를 높여준다(Watson, 2004). 간호대학생 역시 대학에서 스스로 목표설정을 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변화시켜 스스로에게 영향력을 발휘하는 셀프리더십을 갖추어 대학생활 적응 및 미래의 간호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셀프리더십이란 무엇인가? 셀프리더십은 ‘자기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자기를 통제하는 자율성이 강조되는 자기관리와 내적동기부여’로서 지시, 명령, 통제 등에 의해 발휘되는 전통적인 리더십과는 달리 스스로 목표설정을 하고 창의성과 자발적인 능력 발휘를 통해 개인의 성장과 조직성과를 높여준다(Watson, 2004). 간호대학생 역시 대학에서 스스로 목표설정을 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과 생각을 변화시켜 스스로에게 영향력을 발휘하는 셀프리더십을 갖추어 대학생활 적응 및 미래의 간호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들이 느끼는 어려움들은 무엇이 있는가? 간호대학생들은 대학생활 동안 바람직한 가치관 형성, 발달과업의 성취, 그리고 자신이 선택한 전공에 적응하여 졸업 후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전문직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이들은 전공에 대한 학업스트레스, 학우들과의 새로운 대인관계, 임상실습 스트레스, 국가고시 준비 및 미래의 간호사 역할에 대한 부담 등으로 대학생활 적응에서 신체적 건강문제, 불안, 조절 및 우울 등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Kim & Jang, 2012; Lee, Park, & Kim, 2014; Won, 2015). 그러므로 간호대학생들은 재학기간동안 대학생활 적응문제뿐만 아니라 취업 후 끊임없이 변화하는 임상실무에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나가기 위해서도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아내어 이를 조절해주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ker, R. W., & Siryk, B. (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2), 179-189. 

  2. Choi, Y. H., & Jung, C. S. (2015).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elf-efficacy and empower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7), 4604-4613. 

  3. Houghton, J. D., & Neck, C. P. (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7-8), 672-691. 

  4. Joung, S. Y., & Kim, J. Y. (2012).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problem-solv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3), 457-477. 

  5. Jung, T. H. (2005). Effects of self leadership education o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2(1), 223-248. 

  6. Kelly, M., & Sharon, A. D. (2008). Nurse educators-still challenged by critical thinking. Teaching and Learning in Nursing, 3(3), 94-99. 

  7. Kim, E. A., & Jang, K. S. (2012).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regarding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312-322. 

  8. Kim, K. H., & Kim, G. D.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2), 229-236. 

  9. Kim, J. Y. (2013). Relationships between freshmans' self-leadership and adjustment to college.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2(6), 43-56. 

  10. Kwon, K. N. (2014). Clinical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in a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1. Lee, J. S. (2016).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resilience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0), 253-260. 

  12. Lee, S. J. (2011). The effects of flow on learning and self-efficacy on colleg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undergraduat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5(2), 235-253. 

  13. Lee, S. H., & Chung, S. E. (2014). Influencing factor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steem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2), 340-349. 

  14. Lee, Y. S., Park, S. H., & Kim, J. K. (2014).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6), 229-240. 

  15. Lenz, A. S. (2014).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mentors on college adjustment. Journal of College Counseling, 17(3), 195-207. 

  16. Park, H. J. (2015). Correlation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2), 227-236. 

  17. Park, H. S., & Han, J. Y. (2015).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6(3), 695-706. 

  18. Park, A. N., Chung, K. H., & Kim, W. G. (2016).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1), 1-10. 

  19. Park, H. S., & Jeong, K. S. (2013).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549-557. 

  20. Park, J. A., & Kim, B. J. (2009).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6), 840-850. 

  21. Park, S. M., & Kwon, I. G. (2007). Factors influencing nurses' clinical decision making-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6), 863-871. 

  22. Shin, Y. K., Kim, M, S., & Han, Y. S. (2009).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RSLQ)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3), 313-340. 

  23. Son, Y. J. (2003). How participation in clubs or recreational activities impact on the college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24. Sung, K. S. (2010). The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Idea, 24(4), 155-172. 

  25. Watson, L. (2004). Self-leadership: Becoming an exceptional leader. Radiology Technology, 75(6), 457-467. 

  26. Watson, J. C. (2009). Native American racial identity development and college adjustment at two-year institutions. Journal of College Counseling, 12(2), 125-136. 

  27. Won, H. J. (2015).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9(1), 123-131. 

  28. Yoon, H. S., Hwang, Y. M., Kim, D. B., & Jang, S. H. (2011). The effects self-differentiation stress coping methods and mental health on life adjustment in university.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10(2), 1-25. 

  29. Yoon, J. (200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30. Yoon, J. (2008).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a school applying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2), 159-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