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Resilience on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0, 2016년, pp.253 - 260  

이정숙 (중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5월 20일부터 6월 10일까지였고, 간호대학생 232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셀프리더십, 회복탄력성, 대학생활 적응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일반적 특성과 관련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는 학년(F=4.952, p=.002)과 전공만족(F=13.052, p<.00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셀프리더십, 회복탄력성, 대학생활 적응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 중 긍정성(${\beta}=0.494$, p<.001), 셀프리더십 중 행동중심적 전략(${\beta}=-0.247$, p<.001)과 자연적 보상전략(${\beta}=0.168$, p=.015)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전공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정기적인 상담 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대학생활의 적응을 높이기 위해 긍정성, 행동중심적 전략, 자연적 보상전략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이 효율적인 대학생활을 해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고, 나아가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resilience on the colleg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0 to June 10, 2016, by questionnaire from 232 nursing students.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self-leadership, resilience, and col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이유는? 현 사회와 같이 많은 능력을 요구하는 시점에서 대학생들은 정서적 독립과 더불어 지식함양은 물론 사회 진출을 위한 준비, 재정적 독립 등에 대해 고민할 시기이다[1]. 학업은 물론 확장된 대인관계로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며, 안정적이지 못한 경제 상황으로 부족한 일자리, 불투명한 미래, 치열한 경쟁 속에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는 더욱 가중된다. 특히 간호학 전공 학생들은 학업이나 임상실습, 국가고시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와 부담감이 더 클 수 있다.
적응이란 무엇인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변화를 수용하고 조정하면서 변화와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 적응이란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사회적 환경과 바람직한 관계를 유지하고, 이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사회적 환경에 적합하도록 변화 되는 것을 말한다. 대학 생활에 적응한다는 것은 인지적, 정서적, 기술적 측면의 다차원적인 영역에서 대학이라는 새로운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자신의 발전은 물론 사회를 위하여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E. J. Kim,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goal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of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4, no. 12, pp. 303-326, 2014. 

  2. E. H. Park,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Adaptation to College", Unpublished of doctoral dissertation, Kyungil University, pp. 13-63, 2014. 

  3. M. Crede, S. Niehorster, "Adjustment to College as Measured by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A Quantitative Review of its Structure and Relationships with Correlates and Consequence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vol. 24, no. 1, pp. 133-165, 2012. DOI: http://dx.doi.org/10.1007/s10648-011-9184-5 

  4. J. Y. Kim, "Relationships Between Freshman's Self-Leadership and Adjustment to College",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vol. 32, no. 6, pp. 43-56, 2013. 

  5. A. Bernier, S. Larose, M. Boivin, N. Soucy, "Attachment State of Mind: Implications for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vol. 19, no. 6, pp. 783-806, 2004. DOI: http://dx.doi.org/10.1177/0743558403260096 

  6. Y. K. Shin, M. S. Kim, Y. S. Han,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RSLQ)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 6, no. 3, pp. 313-340, 2009. 

  7. S. Y. Joung, J. Y. Kim, "Relationships Betwee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Problem-Solv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2, no. 3, pp. 457-477, 2012. 

  8. H. J. Won,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9, no. 1, pp. 123-131, 2015. DOI: http://dx.doi.org/10.12811/kshsm.2015.9.1.123 

  9. H. S. Song, E. S. Na, Y. H. Jeon, K. I. m Jung,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 23, no. 1, pp. 72-81, 2016. DOI: http://dx.doi.org/10.21086/ksles.2016.03.23.1.72 

  10. J. W. Kim, "Resilience", pp. 17-244, Wisdomhouse, 2011. 

  11. J. A. Kim, "The Effects of Resilience on Adjustment to College and Career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tudies",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vol. 25, no. 1, pp. 161-183, 2016. 

  12. S. H. Jang, M. Y. Le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elf-efficacy and Resilien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vol. 9, no. 2, pp. 255-265, 2015. DOI: http://dx.doi.org/10.21184/jkeia.2015.06.9.2.255 

  13. M. S. Ko,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Coping Strategies &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10, pp. 280-291, 2015.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5.15.10.280 

  14. J. D. Houghton, C. P. Neck,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17, no. 8, pp. 672-691, 2002. DOI: http://dx.doi.org/10.1108/02683940210450484 

  15. K. H. Kim, E. H. Hwang, "Influence of Ego-Resili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 Leadership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2, pp. 436-445,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2.436 

  16. K. Reivich, A. Shatte "The resilience factor: 7 essential skills for overcoming life's inevitable obstacles", New York: Broadway Books, 2002. 

  17. S. A. Kang, H. W. Kim, B. J. Park,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Relation between Job Seeking Stres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3, no. 1, pp. 77-98, 2016. DOI: http://dx.doi.org/10.21509/KJYS.2016.01.23.1.77 

  18. R. W. Baker, B. Siryk,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Questionnaire manual",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89. 

  19. J. C. Lee, A. J. Hong,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up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6, no. 1, pp. 69-92, 2013. 

  20. H. K. Kang, "The effect of some properties of volunteer activities o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resilience in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0, pp. 6688-6697,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0.6688 

  21. D. S. Son, Y. H. Moon,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the resilience of social welfare majors in colleg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vol. 16, pp. 48-69, 2011. 

  22. S. Y. Yun, S. H. Min,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piritual well-being on College adjustment in major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2, pp. 395-403, 2014.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4.12.12.395 

  23. A. S. Park, H. K. Kim, "The Effect of Motivation for Major Choice and Satisfaction in Major on the Adaption of university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2, pp. 511-519,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2.511 

  24. S. J Santos, E. T Reigadas, "Evaluation of a University Faculty Mentoring Program: Its Effect on Latino College Adjustment",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pp. 627-650, 2000. 

  25. D. Yalim, "First year college adjustment: The role of coping, ego-resiliency, optimism and gender", Middle East Technical University, pp. iv-68, 2007. 

  26. M. E. Pritchard, G. S Wilson, B. Yamnitz, "What Predicts Adjustment Among College Students? A Longitudinal Panel Study",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vol. 56, no. 1, pp. 15-22, 2007. DOI: http://dx.doi.org/10.3200/JACH.56.1.15-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