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5, 2017년, pp.617 - 625  

강혜승 (구미대학교 간호학과) ,  김윤영 (구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D 시와 K 도에 소재한 간호대학 3곳에 재학 중인 3, 4학년의 간호대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11월 9일부터 11월 27일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 20.0 program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평균 3.73점, 비판적 사고성향은 평균 3.73점, 셀프리더십은 평균 3.73점으로 나타났으며, 셀프리더십은 자기효능감(r=.520, p<.001)과 비판적 사고성향(r=.691,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셀프리더십에 대해 자기효능감(${\beta}=.277$, p<.008), 비판적 사고성향(${\beta}=.274$, p=.006), 학년(${\beta}=.273$, p<.001), 종교(${\beta}=.163$, p=.023), 전공지원동기(${\beta}=-.155$, p=.033)는 총 45.6%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중에서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비판적 사고성향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예측 요인을 다양하게 파악하고,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the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114 nursing students in D city and K province. The data werecollected from November 9 to November 27, 2015, and analyzed by an independent t-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과 셀프리더십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셀프리더십에 대한 설명력 정도를 파악한 후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리더십이 간호사에게 필요한 이유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간호사는 다양하고 복잡한 간호 상황에서 스스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주도성과 독립성을 지닌 전문인의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3]. 이에 간호사는 대상자에게 즉각적인 대처능력과 간호 상황에 따라 리더십을 발휘하게 될 기회가 많으므로 간호사 개개인이 셀프리더십을 지녀야 한다[4]. 따라서 간호사에게 셀프리더십이 기본 자질로 필요하듯 예비 간호사인 간호대학생에게 셀프리더십은 전문적인 자질 함량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5].
간호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간호교육의 목표는 졸업 후 간호대학생이 임상현장에서 핵심 역량을 갖추고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간호사로 성장하는 데 있다[11]. 이에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더십은 전문직 간호사로서 역할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간호교육과정에서 성취해야 할 기본 자질이라 볼 수 있다[12].
자기효능감이 낮은 간호대학생은 간호사가 되면 어떤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가? 자기효능감이 낮은 간호대학생은 학업에 대한 자신감이 저하되고, 학과 적응을 어렵게 한다. 또한, 졸업 후 간호사로 취업해서도 대상자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없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셀프리더십을 발휘하여 간호 수행을 할 수 없게 된다[2]. 이러한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으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셀프리더십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 W. Park, C. J. Kim, Y. S. Kim, M. S. Yoo, H. R. Yoo, S. M. Chae, "Impa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leadership on crit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 24, no. 3, pp. 223-231, 2012. DOI: https://doi.org/10.3946/kjme.2012.24.3.223 

  2. Y. S. Lee, S. H. Park, J. K. Kim,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6, pp. 229-240, 2014. DOI: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229 

  3. H. J. Park, "Correlation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21, no. 2, pp. 227-236, 2015.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2.227 

  4. Y. S. Kang, Y. J. Choi, D. L. Park, I. J. Kim,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6, no. 2, pp. 143-151, 2010.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2.143 

  5. J. Y. Lee, M. H. Cho, "Correlations Between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a Diploma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llege Education, vol. 13, no. 3, pp. 241-253, 2012. 

  6. S. A. Ya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6, no. 4, pp. 389-398, 2012.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4.389 

  7. I. S. Kim, Y. K. Jang, S. H. Park, S. H. S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3, pp. 339-347, 2011.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3.337 

  8. H. S. Park, J. Y. Han,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vol. 26, no. 3, pp. 695-706, 2015. DOI: https://doi.org/10.7465/jkdi.2015.26.3.695 

  9. G, A, Seomun, "The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Perceived Outcome i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1, no. 1, pp. 45-48, 2005. 

  10. Y. H. Choi, C. S. Jung,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Self-efficacy and Impower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604-4613, 2015. DOI: http://doi.org/10.5762/KAIS.2015.16.7.4604 

  11. M. O. Lee, M. Y. Lee, S. Y. Kim, "A Study on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and Their Perception of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3, pp. 417-425, 2015.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3.417 

  12. M. S. Kwon, "Th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3, pp. 389-396, 2011.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3.387 

  13.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and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 vol. 41, no. 4, pp. 1149-1160, 2009. DOI: https://doi.org/10.3758/BRM.41.4.1149 

  14. Sherer, M., Maddux, J. E., Meracndante, B., Prentice-Dunn, S., Jacops, B., Rogers, R. 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 51, pp. 663-671. 1982. DOI: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15. H. Y. Hong, "The Relationships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995. 

  16. J. Yoon,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2004. 

  17. Houghton, J. D, Neck, C. P,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 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17, no. 7, pp. 672-691. 2002. DOI: https://doi.org/10.1108/02683940210450484 

  18. W. G. Kim, "Effects of Korean Enneagram Program on the Ego-ident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ledership of Nursing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3. 

  19. S. K. Chung, "Effects of Nursing Stud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2, pp. 160-169, 2014. 

  20. D. J. Kim,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Department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13. 

  21. S. J. Han,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6, no. 1, pp. 132-146, 2000. 

  22. K. M. Chang,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academic self-efficiency on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vol. 6, no. 10, pp. 185-196, 2005. 

  23. J. A. Lee, "Medicating effect of outcome expectations in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self-efficacy to major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3, no. 5, pp. 2329-2344, 2012. DOI: https://doi.org/10.15703/kjc.13.5.201210.2329 

  24. J. Y. Lee, Y. M. Lee, S. Y. Pak, M. J. Lee, Y. H. Jung,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tres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4, pp. 606-616, 2013.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606 

  25. K. H. Kim, G. D.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Efficacy of Colleg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3, no. 2, pp. 229-236, 2007. 

  26. J. C. Lee, A. J. Hong,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up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edic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26, no. 1, pp. 69-92, 2013. 

  27. N. Y. Yang, S. Y. Moon,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2, pp. 216-225, 2011.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2.216 

  28. Y. S. Kang, Y. J. Choi, D. L. Park, I. J. Kim, "A study on nue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6, no. 2, pp. 143-151, 2010.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2.143 

  29. S. H. Kim, N. H. Kim, "The effect of rehabilitation hospital nurse; professional autonomy and self efficacy on professional self concep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 pp. 165-174, 2016. DOI: http://doi.org/10.5762/KAIS.2016.17.1.165 

  30. J. Yoon,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 Focusing on a school applying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cademic society Administration, vol. 14, no. 2, pp. 159-166,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