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저하 저수지 선정을 위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 적용성 연구
Study on Applicability of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 for Malfunctioning Reservoir Selection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9 no.3, 2017년, pp.11 - 19  

심현철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Civi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최경숙 (Department of Agricultural Civil Engineering,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cision-making process is the act of finding the best solution among various alternatives through comparison between various criteria based on objectives of the project, evaluation standard, and conditions. However, in practice it is not easy to simply decide the optimum decision, especially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의도에 대하여 충분한 공감을 가질 수 있는 설문대상자를 전문가 그룹으로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 저수지의 지형・환경적, 사회・경제적인 여러 가지 특성에 대하여 사전지식이 풍부한 한국농어촌공사 저수지 설계 및 관리경력이 10년 이상인 21인의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였다.
  • 1종 저수지의 경우 농업용수 공급면적이 큰 저수지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현실적으로 기능저하 저수지의 선정을 위한 연구대상 저수지로써 활용하기 부적합한 측면이 있다. 또한, AHP기법의 설문조사 시 다수의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문항을 구성하는 것이 설문응답자로 하여금 설문문항을 혼동할 가능성을 높여 우선순위를 이끌어 내는데 있어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기법의 적용에 적정한 개수의 연구 대상 저수지가 위치한 곳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조사 및 저수지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위와 같은 기준을 만족하는 연구대상 저수지군으로 한국농어촌공사 안동지사 관할 2종 보조수원 저수지 전체 11개소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능저하 저수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 기능저하 저수지의 합리적인 선정을 위한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또한, 현장여건 등을 고려한 다양한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전문가 그룹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능저하 저수지에 대한 우선순위 가중치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능저하 저수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 기능저하 저수지의 합리적인 선정을 위한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의 적용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기능저하 저수지 선정을 위해 AHP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현장여건 등을 고려한 다양한 평가기준을 개발하여 관련 분야 전문가 그룹의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기준과 대상 저수지에 대한 우선순위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 따라서, 향후 더욱 늘어날 기능저하 저수지에 대하여 다양한 여건을 고려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기능저하 저수지를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최적화 평가기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저하 저수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 기능저하 저수지의 합리적인 선정을 위한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또한, 현장여건 등을 고려한 다양한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전문가 그룹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능저하 저수지에 대한 우선순위 가중치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종 목표인 기능저하 저수지의 선정에 있어 AHP 기법을 적용하여 상호배반적인 대안들 간의 우선순위 및 가중치를 결정하여 일관성 측정 및 최종 대안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HP기법이란? AHP기법은 의사결정자가 선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안들을 체계적으로 계층화시키고 평가기준에 따른 대안들의 상대적인 중요도와 각 평가기준들 간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쌍대비교 (Pairwise Comparison)를 통하여 각각의 대안들에 대한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Saaty, 1977). Fig.
우리나라 수리답 면적의 현황은?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통계연보 (MAFRA, 2015)에 따르면, 우리나라 수리답 면적은 2005년 867천ha에서 2014년 753천ha로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로써 논 면적 감소와 함께 저수지 주변의 도시화 개발로 저수지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혜면적의 감소로 인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본래 기능인 농업용수 공급기능이 저하되거나 상실된 저수지를 기능저하 저수지라 하며,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수혜면적의 감소율이 당초 준공대비 50 % 이상인 저수지를 기능저하 저수지로 분류하고 있다.
저수지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연구들의 한계는? 그러나 저수지의 시설상태 및 주변 여건 등을 고려하여 기능저하 저수지를 판단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평가기법의 개발과 관련한 연구는 아직 수행된 바 없으며, 기능저하 저수지를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기능저하 저수지의 체계적인 관리가 현실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기능 저하 저수지의 용도폐지는 대부분 지형적 및 사회경제적 여건, 주변 여론 및 사회적 이해 등에 수동적으로 결정되어지고 있는 상황에 머물러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i, E. H., S. S. Bae, and H. K. Jee, 2013. Prioritization for Water Storage Increase of Agricultural Reservoir using FAHP Method.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2): 171-182 (in Korean). 

  2. Hwang, C. L. and K. S. Yoon, 1981. Multiple attribute decision making : Methods and Applications, Springer-Verlag, Berlin. 

  3. Kang, S. H., 2014. Use of untended reservoirs in flood control, Yonsei Univ. 

  4. Kim, W. Y., D. H. Kim, and Y. C. Choi, 2010. A Study on application limitation of AHP priority vector with Expert measur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Flight Operation 18(3): 92-98 (in Korean). 

  5. Kim, S. Y., 2013. Assessment of small dam and reservoir safety and repair and reinforcement plan.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13-19 (in Korean). 

  6. KRC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16. Utilization and processing plan of Malfunctioning Reservoir (in Korean). 

  7. Lee, C. H., 2002. Quantitative decision making, Silla University (in Korean). 

  8. Min, J. H., 1996. Measurement and evaluation using AHP. Journal of Sogang University Institute for Business Research 7(0): 63-93 (in Korean). 

  9.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Statistical Yearbook of Land and Water Development for Agriculture (in Korean). 

  10. Olson, D. L., 1996. Decision aids for selection problems, Springer-Verlag. NewYork. 

  11. Saaty, T. L., 1977. A scaling method for priorities in hierarchical structure.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15(3): 234-281. 

  12.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ow-Hill, New York. 

  13. Saaty, T. L., 1990. How to make a decision :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48(1): 9-26. 

  14. Saaty, T. L., 1995. Decision making for leader, AHP series, RWS Publication Vol. 2: 53-63. 

  15. Yoon, S. S., H. J. Kim, and J. S. Park, 2007. Investigation of Small Reservoir in Rural Area. KCID journal 14(2): 34-46 (in Korean). 

  16. Zeleny, M., 1982. An Essay into a Philosophy of MCDM : A Way of Thinking or Another Algorithm. Computers and Operations Research 19(7): 563-5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