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구과학 I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유형에 따른 고등학생의 시선 추적 분석
Eye Tracking Analysis f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Styles in the Process of Solving on Earth Science I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0 no.1, 2017년, pp.50 - 61  

안영균 (충북대학교) ,  김형범 (충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습유형이 대학수학능력시험 지구과학I 과목의 행동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문제해결 방식을 시선추적 기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충청북도 소재 E 고등학교 2학년 4개 학급 중 2개 학급, 총 50명의 학생들에게 학습유형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에서 최근 2년간 시행된 대학수학능력시험 지구과학I 기출문제를 접하지 않은 학생을 중심으로 학습유형 별 2명씩 무선 표집하여 최종 8명을 연구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산적 동화적 수렴적 조절적 학습자의 문항 정답률이 각각 지식영역, 적용영역, 지식-이해영역, 이해영역에서 높게 나타남으로써 네 가지 학습유형이 평가문항의 행동영역에 따라 성취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습유형별 학습자가 대학수학능력시험 지구과학I 과목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보인 관심영역(AOI) 별 시선점유율은 AOI 2 영역이 AOI 1, 3, 4 영역보다 높은 시선점유율을 나타내었다. 즉 네 가지 학습유형의 학습자들이 문제 해결의 단서 혹은 정보가 되는 AOI 2 영역, 즉 표 그림 그래프 영역에 더 주의 깊게 응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질적인 면에서 높은 수준의 문항개발을 위해서는 AOI 2 영역을 중점적으로 고려해야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선발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지구과학I 행동영역에서 전체적으로 고른 문항 수가 출제되어야 할 것이며, 문항개발 시 과학개념에 대한 지식, 이해, 적용, 탐구의 행동영역 별 문항이 표 그림 그래프와 높은 상관관계를 갖도록 문항을 제작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eye tracking f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styles in the process of solving in the behavioral domain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Earth Science I.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students from two classes out of 4 classes in E high sch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AOI 1(영역 1)은 제시문, AOI 2(영역 2)는 표, 그림, 그래프, AOI 3(영역 3)은 보기, AOI 4(영역 4)는 선택지가 분류·설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유형 별 연구 참여자의 문제풀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AOI에 대한 응시시간과 응시횟수가 요약된 수치자료와 시선운동 점유율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fixation map과 heat map 자료를 분석하였다. AOI 각 영역에 대한 수치자료와 fixation map, heat map 자료는 연구 참여자의 문제풀이 과정에 따른 학습유형 별 특성을 추론할 수 있게 하며, AOI 각 영역 중 시선운동 점유율이 높은 영역은 연구 참여자가 문항검사지의 문항을 해결하기 위해 그 영역에 많은 주의를 기울였음을 뜻한다.
  • 위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시선추적 기법은 학생의 시선 움직임을 통해 인지형태 및 인지과정을 추론해 볼 수 있는 기법으로 이와 같은 시선추적 기법을 문제해결 과정에 활용하면 학생들의 인지과정을 시선의 움직임을 통해 직접적으로 관찰·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유형이 서로 다른 학생들이 대학수학능력시험 지구과학Ⅰ 과목의 행동영역에 대한 문제해결과정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에 대해 시선추적 기법을 활용하여 확인 하고자 하였다.
  • 위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시선추적 기법은 학생의 시선 움직임을 통해 인지형태 및 인지과정을 추론해 볼 수 있는 기법으로 이와 같은 시선추적 기법을 문제해결 과정에 활용하면 학생들의 인지과정을 시선의 움직임을 통해 직접적으로 관찰·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유형이 서로 다른 학생들이 대학수학능력시험 지구과학Ⅰ 과목의 행동영역에 대한 문제해결과정에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에 대해 시선추적 기법을 활용하여 확인 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A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개 학급 5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최종 개발된 학습유형검사지의 학습유형 별 내적일관성신뢰도 검사 (Internal Consistency Alpha for the Scale Scores)를 실시하였다. SPSS 22의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한 결과 Cronbach \(\alpha\)값이 구체적 경험(CE)의 경우 \(\alpha\)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유형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 2004). 따라서 학습유형은 학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습관, 학습방법 및 학습요령 등 학습자의 행동 특성으로 정의되며, 학습의 맥락에서 반복적ㆍ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일정한 학습 선호경향성을 띠게 된다(Nulty & Barrett, 1996; Stice, 1987). 이에 대해 Kolb(1984)는 학습유형이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를 수집한 후 처리하여 학습을 수행하도록 학습 환경을 조성하고 조절할 수 있는 기초 자료라고 하였다.
시선 추적 기법에 의한 실험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3과 같다. 연구 참여자는 모니터로부터 60-70 cm의 거리에 앉아 편한 자세를 취한 상태로 화면을 응시하고 화면을 응시하고 있는 참여자의 시선은연구자의 operator PC화면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연구 참여자는 실험시작 전 시선 추적기와 학생의 초점을 일치시키는 조정과정(calibration)을 거치게 되며, 이 조정과정을 통해 연구 참여자의 시선추적의 정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조정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치게 되면,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에게 실험의 목적과 문제 풀이 방법을 자세하게 안내하고 실험이 시작된 후, 화면에 문항이 제시되면 연구 참여자는 한 문제 당 90초의 제한시간 안에 문제를 풀고 정답이라 생각하는 번호를 구두로 제시하고, 연구자는 Operator PC에 연구 참여자의 정답을 정확히 기록하게 된다.
학습 사이클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Fig. 1과 같이 Kolb(1985)의 학습 사이클은 구체적 경험(concrete experience, CE), 반성적 관찰(reflective observation, RO), 추상적 개념화(abstract conceptualization, AC), 능동적 실험(active experimentation, AE)의 4단계로 구성된다. Kolb(1985)의 학습 사이클의 각 단계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서진수, 한신, 김형범, 정진우(2012). 과학고 학생들의 비구조화된 문제 해결 과정 특성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5(1), 8-19. 

  2. 채동현(2015). 대학 영재원 영재선발시험의 단계별 연관성에 관한 연구: 창의성의 일반 영역적 관점과 특수 영역적 관점에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8(3), 259-266. 

  3. 최현동, 신동훈(2012). 과학 교과서의 표를 해석하는 초등 교사들의 안구 운동 추적.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3), 358-371. 

  4.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5).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 학습방법안내.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Coffield, F., Moseley, D., Hall, E., and Ecclestone, K.(2004). Learning style and pedagogy in post-16 learning: A systematic and critical review. http://www.lsda.org.uk/pubs/dbaseout/download.asp?code1543 (October 11th 2016). 

  6. Holmqvist, K., Nystrom, M., Andersson, R., Dewhurst, R., Jarodzka, H., and Weijer, J.(2011). Eye tracking: A comprehensive guide to methods and measur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7. Kim, H.(2016). Effect of web-based science Journal writing on the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of sixth grade student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and Learning, 11(2-3), 147-155. 

  8. Kim, H., and Chae, D. H.(2016).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TEAM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2(7), 1925-1936. 

  9. Kolb, D. A.(1984). Experimental learning :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New Jersey: Prentice Hall. 

  10. Kolb, D. A.(1985). Learning Style Inventory (LSI). Boston, MA: Hay Resource Direct. 

  11. Kolb, D. A.(1999). Learning Style Inventory, Boston, version 3: Technical specifications. Boston, MA: Hay Resource Direct. 

  12. Kowler, E.(2011). Eye Movements: The Past 25 Years. Visual Research, 51(13), 1457-1483. 

  13. Liu, C. J., and Shen, M. H.(2011). The Influence of Different Representations on Solving Concentration Problems at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0(5), 621-629. 

  14. Nulty, D. D., and Barrett, M. A.(1996). Transitions in students' learning style.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21(3), 333-345. 

  15. Pask, G.(1976). Styles and strategies of learning.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46(2), 128-148. 

  16. Stice, J. E.(1987). Using Kolb's learning cycle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Engineering Education, 77(5), 291-296. 

  17. Tallmadge, G. K., and Shearer, J. W.(1969).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styles, instructional method and the nature of learning experi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0(3), 222-230. 

  18. Tsai, R., Loehr, J., and Brigham, F.(2006). An exploration of the use of Eye-Gaze Tracking to study problem-solving on standardized science assess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 Method in Education, 29(2), 185-208. 

  19. Stice, J. E.(1987). Using Kolb's learning cycle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Engineering Education, 77(5), 291-296. 

  20. Wheeler, R.(1980). An alternative to failure: Teaching reading according to students; perceptual strength. Kappa Delta Pi Record, 59-63. 

  21. Weinberg, F. H.(1983).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modality preference and mode of presentation on the instruction of arithmetic concepts to third grade underachiev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 John's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