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in Elementary Class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7 no.2, 2017년, pp.313 - 328  

최지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40명의 현직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참여 교사들은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이론을 습득하고, 실제 교실수업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교수 학습 과정 안을 개발하고 적용하며 그 결과를 분석한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이 보고서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초등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모델링의 특징으로 '비구조화된 상황'과 '다양한 문제해결'을 도출할 수 있었으나 수학적 모델링 관점은 다소 차이가 있어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어려움은 크게 과제, 학생의 인지적 활동, 교사의 중재, 모든 학생의 참여, 교실 문화 범주로 구체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in elementary class. For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teacher analysed the previous case studies about mathematical modeling in elementary class, developed a hypo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델링에 대한 수학교육연구를 크게 세 가지 관점으로 범주화하면? 박진형과 이경화(2014)에 따르면, 모델링에 대한 수학교육연구는 크게 세 가지 관점으로 범주화될 수 있다. 첫째는 수학을 응용하여 실세계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수학의 응용을 강조하는 관점이다. 둘째는 비구조화된 문제에 대한 문제해결로 모델링을 다루는 관점이다. 셋째는 현실적 수학교육을 구현하는 방안으로 고려하는 관점이다. 이 세 가지 관점을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수학적 모델링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이 순조롭지 못할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는? 수학적 모델링을 강조하는 새로운 수학과 교육과정은 2017년 초등학교 1~2학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하지만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황혜정, 2007; 박진형, 이경화, 2014), 현직 교사들이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수학적 모델링을 학교교육에 적용하기가 순조로울 것 같지 않다. 2009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지역 교사 중 92% 정도(582명 중 541명)는 수학적 모델링 개념을 들어본 적 없거나 들어는 봤으나 모른다고 답했다(김민경, 민선희, 강선미, 2009).
수학적 모델링이란 무엇인가? 신약이 개발하거나 생태계 속의 동식물의 비밀스러운 특징을 발견하는데 수학적 모델링이 사용되기도 한다. 수학적 모델링은 실세계의 복잡한 문제를 수학적으로 구조화하여 수학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실세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과정을 일컫는 것으로, 과학기술이 고도화되는 현대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서 수학적 모델링을 학교에서 가르쳐야 한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학교 교육 과정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74호 [별책 8호]. 교육부. 

  2. 김구연 (2009). 수학 수업에 표현된 수학 교사의 신념과 지식.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11(3), 335-349. 

  3. 김민경, 민선희, 강선미 (2009). 초등교사들의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4), 411-431. 

  4. 김민경, 홍지연, 김은경 (2009). 수학적 모델링 사례 분석을 통한 초등 수학에서의 지도 방안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48(4), 365-385. 

  5. 김선희 (2005). 문제 중심 학습의 방법으로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7(3), 303-318. 

  6. 박진형 (2015). 다면적 모델링에 기반한 수학 교수 학습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7. 박진형, 이경화 (2014). 수학교육에서 모델의 활용에 대한 국외 문헌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24(3), 285-310. 

  8. 방정숙 (2006). 학생중심 초등수학 교실문화의 구현과 난제.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45(4), 459-479. 

  9. 신은주, 권오남 (2001). 탐구지향 수학적 모델링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11(1), 157-177. 

  10. 오영열 (2013). 초등수학에서 수학적 모델링 적용 필요성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3), 483-501. 

  11. 우정호 (2000).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2. 황혜정 (2007). 수학적 모델링의 이해 - 국내 연구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9(1), 65-97. 

  13. Blum, W. (2002). ICMI Study 14: Applications and Modelling in Mathematics Education-Discussion Document.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1(1/2), 149-171 

  14. Blum, W., & Ferri, R. B. (2009). Mathematical modelling: Can it be taught and learnt? Journal of Mathematical Modelling and Application, 1(1), 45-58. 

  15. Carlson, M. A., Wickstrom, M. H., Burroughs, E. A., & Fulton, E. W. (2016). A Case for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In C. R. Hirsch (Ed.), Mathematical Modeling and Modeling Mathematics, Annual Perspectives in Mathematics Education 2016. (pp. 121-29).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6.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2010). Common core state standards for mathematics. Retrieved from http://www.corestandards.org/assets/CCSSI_Math%20Standards.pdf 

  17. English, L. D. (2004). Mathematical modelling in the primary school. In I. Putt, R. Faragher, & M. McLean (Eds.),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third millennium: Towards 2010 (pp. 207-214). James Cook University: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18. English, L. D., & Watters, J. J. (2005).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early school year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6(3), 59-80. 

  19. English, L. D. (2006).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construction of a consumer guid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3, 303-323. 

  20. Gravemeijer, K. (2002). Emergent modeling as the basis for an instructional sequence on data analysis. Six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aching Statistics, 1-6. Kaapstad : Technische Universiteit Eindhoven. 

  21. Lesh, R., & Doerr, H. (2003). Foundations of a models and modelling perspective on mathematics teaching,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R. Lesh & H. M. Doerr (Eds.), Beyond constructivism: Models and modeling perspectives o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learning, and teaching (pp. 3-34).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2. Niss, M. (1992). Applications and modelling in school mathematics: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In I. Wirszup & R. Sterit (Eds.), Development in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round the world, Vol.3. (pp. 346-31).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3. Philipp, R. A. (2007).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and affect. In F.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257-315).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4. Pollak, H. O. (2012). What is mathematical modeling? In Columbia University Teachers Colleage (Ed.), Mathematical modeling handbook. (pp. vii-xi). Comap, Inc. Retrieved from http://www.comap.com 

  25. Polya, G. (1986). How to solve it, (우정호 역),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서울: 천재교육. 

  26.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27. Van Den Heuvel-Panhuizen, M. (2003). The didactical use of models in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An example from a longitudinal trajectory on percentag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54(1), 9-3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