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시설원예단지의 경관 개선을 위한 이미지평가
A Study on the Image Evalu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Landscape of Horticultural Complex in Rural Area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6 no.2, 2017년, pp.78 - 86  

공민재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이시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강동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박민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윤성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신지훈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손진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설원예단지의 경관개선점을 찾아보고 친환경적 조성방법과 생태계 서비스 기능이 최소화로 저감될 수 있는 방안제시를 목표로 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평가요소에서 네덜란드, 일본 경관은 긍정적인 결과였으나 우리나라 경관은 다소 부정적으로 분석되어 비닐하우스는 일본을 유리온실은 네덜란드 경관으로 개선방향을 설정 할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미래세대에 지속가능한 농업경관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태계서비스 기능 중 경관창출을 고려한 친환경 온실단지 조성을 제안을 제안하였으며, 앞으로 추진될 대규모 간척지 개발 사업에도 본 연구가 활용되길 기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umans are provided with a wide range of public benefits from ecosystems and agricultural ecosystems, but the establishment of the horticulture complex could be a space that hampers the public function of the agricultural ecosystem. In this study, we sought to focus the function of landscape cre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시설원예단지 조성 시 고려기능 총 19개 항목을 선정한 바 있고, 그 중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 한 고려대상이 2순위 이면서 전체 19개 기능 중 8번째 중요도로 평가 된 경관창출 기능을 중점적으로 알아보고 시설원예단지의 경관개선점을 찾아보고 농업경관에서 시설원예단지의 친환경적 조성방법과 생태계 서비스 기능이 최소화로 저감될 수 있는 방안제시를 목표로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계 서비스란 무엇인가? 농업·농촌 경관은 작물생산 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원적 기능 혹은 생태계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평가되고 있다. 생태계 서비스라 함은 자연과 인간의 연관성, 경제적 혜택 등으로 정의되기도 한다(Odum, 1959;Vihervaara et al., 2010; Lee, 2013).
시설원예를 통한 고소득 창출이 많은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 배경은 무엇인가? 한편, 우리 농업농촌은 각종 FTA와 가격불안정, 노령화 등 많은 위기에 처해있다. 이에 시설원예를 통한 고소득 창출이 많은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고 이러한 소득창출은 농업의 백색혁명이라 불릴 정도로 전국적으로 다양하게 조성되고 있다.
농업생태계가 원래의 기능 이외에 제공하는 서비스는 무엇인가? , 2015). 그 중 논의 경우 2008년 창원 람사르 총회에서 습지로서 인정되어 논습지의 지속가능한 이용이 필요한 실정이며, 이와 같이 농업생태계(Agricultural Ecosystem)는 원래의 기능인 식량생산 외에도 수질 및 대기정화, 각종 생물의 서식처, 토양 및 지하수 보전, 경관창출 및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이 된다. 따라서 인간에 공익적 기능을 제공하는 농업생태계에 대한 환경, 생태적 보전전략과 개선연구는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lison G.P. 2010. Ecosystem services and agriculture: tradeoffs and synergies. Phil. Trans. R. Soc. B 2959-2971. 

  2. Costanza, R., D'Arge, R., Groot, R. S., Farber, S., Grasso, M., Hannon, B., Limburg, K., Naeem, S., O'Neill, R. V., Paruelo, J., Raskin, R. G., Sutton, P., and van den Belt, M.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253-260. 

  3. Daily, G.C. 1997. What are ecosystem services. Nature's services: societal dependence on natural ecosystems. Island Press, Washington, DC. 

  4. De Groot, R. S., Alkemade, R., Braat, L., Hein. L., and Willemen, L. 2010. Challenges in integrating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and values in landscape planning, management and decision making, Ecological Complexity 7:260-272. 

  5. Gyeongnam Development Institute(GDI). 2009. Gyeongnam horticulture development of era of low carbon green growth (in Korean). 

  6. Joo, S.H. and S.H. Lee. 2012.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am Landscape by landscape adjectives-Focused on the cheonggyecheon and Yangjaecheo. Korea Planning Assocication 47(4):49-63 (in Korean). 

  7. Kang, B.H., S.J. Cho, J.K. Son, and J.H. Shin. 2012. The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Image of Passenger at Section Seven, in Olle-gil. Journal of Korea rural planning 18(3):13-24 (in Korean). 

  8. Kang, S. H. 1995. The horticultural facilities complexes in Korea of statu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995 Special Lecture (in Korean). 

  9. Kim, C.I., I..H., Kim. 2010. Evaluation of the City Residents' Images on the Landscape Elements of the Rural Traditional Theme Vill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pplication 13(4):227-233 (in Korean). 

  10. Kim, N.G. and J.M. Ha. 1997.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Natural Landscape Components in Super-High Rise Apartment Exterio. Architectural Institude of Korea 13(3):59-66 (in Korean). 

  11. Kim, S.C. and J. Hub. 2007. A Study on the Image and Visual Preference for the Seongpanak Districtat at the Mt. Hallas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2):134-140 (in Korean). 

  12. Kim, S.S. and S.I. Oh. 2003. Valuation of The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J. of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6(2) (in Korean). 

  13. Kim, Y.M., H.S. Yu, H.M. Woo, J.I. Baek, and Y.U. Ban. 2009. Resident-Participatory Landscape Adjectives for Evaluation about Rural Landscape Status Quo-Focused on Sangye-ri, Okcheon-gun, Chungbuk-do.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645-653 (in Korean). 

  14. Kim. M. K. 1999. Environmental design for horticultural facilitie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2(1):29-44 (in Korean). 

  15. Kong, K.S., C.L. Lee, and M.H. Lee. 2013. Evaluating Multifunctionalaity of Rice-Farming as regards Cliamate Change. J. of Korean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40(2):352-380 (in Korean). 

  16.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07. Rural landscape indicators, rural landscape maps, and field applicability of the research landscape conservation the Convention (in Korean). 

  17. Kwon. S. Y. 1995. Structure and materials-Characteristics and usage of greenhouse by type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8(1):47-56(in Korean). 

  18. Lee, B.Y. 2004.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es for the Visual Analysis of Rural landscape. The University of Seoul. Master's Thesis (in Korean). 

  19. Lee, KB, C.H. Kim, J.G. Kim, D.B. Lee, S.B. Lee, and S.Y. Na. 2003. How Soi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Influence the Inflow of Sewage in a Tributary of the Mankyeong River. Published by the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cience 12:9-21 (in Korean). 

  20. Lee, M.S.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ssessment Model for Urban Green Ecosystem Services:Focusing on Urban Cemeteries in Seoul. Graduate School of Dongkook University. Doctorate thesis (in Korean). 

  21. Lee. S. K. 1999. Structural design for horticultural facilitie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2(1):45-54 (in Korean). 

  22. MAFRA(Ministry of Agricultural Food and Rural Affairs). 2014a. 2013 Greenhouse Status and Vegetable Production Performance (in Korean). 

  23. MAFRA(Ministry of Agricultural Food and Rural Affairs). 2014b. The Standards of Disaster Prevention for Horticulture and Specialized Crops. p. 2014-78 (in Korean). 

  24. Odum, E.P., 1959. Fundamentals of ecology, Philadelphia: W.B. Saunders Company p. 546. 

  25. Palmer, M.E., E. Bernhardt, S. Chornesky, A.P. Collins, C. Dobson, B.,Duke, R. Gold, S. Jacobson, R. Kingsland, M. Kranz, M.L. Mappin, F. Martinez, J. Micheli, M. Morse, M. Pace, S. Pascual, O.J. Palumbi, A. Reichman, A. Simons, Townsend, and M. Turner. 2004. Ecology for a crowded planet. Science 304 pp. 1251-1252. 

  26.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2014. Ramsar Convention Manual. 

  27. Shin, J.H. 2006. A Study on psychological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lighting in buildings of cultural properties. The University of Seoul, Master's Thesis (in Korean). 

  28. Son, J.K., J.H. Shin, P.G. Ann, and B.H. Kang. 2011. The study on the Image Evaluation of a Preserved Tree as Growth Environment-Focused on the Zelkova serrata in Yesangun. J. of Korea rural planning 117(2):33-41 (in Korean). 

  29. Son, J.K., M.J. Kong, D.H. Kang, and S.Y. Lee.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cosystem Service Function or the Protected Horticulture Complex in Agricultural Landscape. J.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1(4):45-53 (in Korean). 

  30. Vihervaara, P., M. Raunkiaer, and M. Walls. 2010. Trends in ecosystem service research:early steps and current drivers. Ambio 39(4):314-324. 

  31. Yoo, N.H., J.I. Baek, Y.M. Kim, H.S. Yu, and Y.U. Ban. 2009. Participatory Selecting Representative Landscape Adjectives Through Factor Analysis: Focused on Sangyehli; CheongSeong-Myun;Okcheon-Gun;Chungcheongbuk-do; Korea.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pp. 153-155 (in Korean). 

  32. Yoo, S.W., S.K. Moon, and S.Z. Kwon. 2000. A Study on the Visual Preference of User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Benches at Urban Community Park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3(2):95-10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