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록물의 검색 향상을 위한 패싯 개발에 관한 연구 - 대통령기록물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Facets for Improvement in Searching Records: Focusing on Presidential Record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7 no.2, 2017년, pp.165 - 188  

성효주 ((협)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 ,  이해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이용자 중심 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검색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검색도구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검색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차세대 검색도구에서 패싯의 중요성을 감안하고, 특히 대통령중심제인 우리나라에서 대통령 기록의 중요성 측면에서 검색도구의 고도화가 필수 불가결하다는 판단 하에, 대통령기록을 사례로 다양한 정보원을 분석하여, 대통령기록의 검색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패싯 요소들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영국, 호주의 국가 기록관(National Archives)과 국가별 개별 대통령(수상) 기록관의 웹사이트를 살펴보고, 그 검색 옵션을 분석하였으며, 대통령기록 건명의 형태소 분석 결과와, 대통령기록관 이용자의 검색용어 및 정보공개청구 용어, 대통령기록관 포털의 검색 옵션 및 기록 기술과 메타데이터 등의 요소를 종합 분석하고 매핑하여 대통령기록의 특성에 기반한 패싯 요소를 도출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의의는 대통령기록을 사례로 검색도구의 주요 요소로서의 다양한 패싯의 개발에 관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user-oriented services is increasing, there has been a heightened attention for finding aids that coul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searching. This study tried to draw various facet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idential records retrieval system u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회의’의 경우, ‘행사’의 일부로 넣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인물’, ‘직책/직업’의 경우에는 대통령 참모를 중심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 대통령기록을 중심으로 검색도구의 하나인 패싯 분류체계의 개발방법에 대한 연구를 위해 세 가지 측면에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기술의 발전과 정보화에 의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기록물 사이에서 원하는 기록을 더 잘 찾기 위한 검색도구에 대한 개념에 대한 연구, 일반적인 기록관의 검색도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의 시소러스, 패싯의 개념 및 개발방법론에 대한 연구, 그리고 대통령기록을 대상으로 진행한 주제분류 개발 및 시소러스 개발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검색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차세대 검색도구에서 패싯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대통령기록을 사례로 다양한 정보원을 분석하여, 대통령기록의 검색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패싯 요소들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즉, 이러한 패싯을 개발하고 제안하는 데에 있어, 기록의 기술 및 메타데이터 요소 외에 관련 기관의 검색 옵션 및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기록의 기록명과 이용자의 검색 로그 및 정보공개청구 용어 등의 다양한 정보원을 분석하여 활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대통령기록의 특징에 기반한 패싯을 도출하기 위하여 관련 기관들의 검색옵션 및 대통령기록의 건명, 이용자 용어, 정보공개청구 용어 및 대통령기록관 포털의 검색 옵션을 분석하여 유의미한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선진적이라고 평가될 수 있는 미국의 NARA, 영국의 TNA, 호주의 NAA를 중심으로 검색도구 및 검색옵션을 살펴보고, 각 국가별 대통령(수상)기록관에서 검색옵션으로 제공되고 있는 요소들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각 옵션 및 요소들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대통령기록을 대상으로 패싯으로 구성할 수 있는 요소들을 산출하였다. 산출한 패싯요소들을 재구성하여 대통령기록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한 패싯 구성(안)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 먼저 국외의 국가 아카이브(National Archives) 및 개별 대통령(수상) 기록관의 검색 옵션을 통해 국가 아카이브에서 정보제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검색의 옵션들을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개별 대통령(수상)기록관에서 기록물을 제공하는 데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대통령기록관의 검색에서의 패싯 구성에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 대통령기록의 기록명,이용자검색용어, 정보공개청구용어의 형태소 및 기술요소․메타데이터요소를 분석하고, 대통령기록관 포털의 검색옵션들을 분석하여 패싯으로 구성 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다만, 대통령기록의 기록명, 이용자검색용어, 정보공개청구용어의 형태소 분석은 기존에 대통령기록관에서 연구를 진행한 『대통령기록물 주제 시소러스 구축 연구용역』의 연구자료 및 최종보고서를 참고하여 진행하였다.
  • 우리나라 대통령기록관의 자료 및 옵션 분석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2014년도에 대통령기록관에서 진행하였던 뺷대통령기록물 주제 시소러스 구축 연구용역 최종보고서뺸(이해영 외, 2014)를 차용하여, 대통령기록의 건명 분석, 이용자 사용용어 분석, 정보공개 청구 용어 분석 결과를 활용하였다. 이와 함께 현재의 대통령기록관 포털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검색옵션을 살펴보는 작업을 병행하여 우리나라 대통령기록의 특징을 반영한 패싯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자 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검색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차세대 검색도구에서 패싯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대통령기록을 사례로 다양한 정보원을 분석하여, 대통령기록의 검색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패싯 요소들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즉, 이러한 패싯을 개발하고 제안하는 데에 있어, 기록의 기술 및 메타데이터 요소 외에 관련 기관의 검색 옵션 및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기록의 기록명과 이용자의 검색 로그 및 정보공개청구 용어 등의 다양한 정보원을 분석하여 활용하는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2008년 6월 개설된 대통령기록관 포털은 역대 대통령의 기록과 그에 대한 콘텐츠를 구성하여 이용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접근 포인트를 패싯의 한 영역으로 포함하면 이용자 요구를 검색도구에 포함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대통령기록관 포털에서 이용자들이 어떠한 검색어(질의어)를 입력하여 기록에 접근하는지 분석한 내용(이해영 외, 2014)을 참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10년 1월~11월 및 2011년 1월~2013년 5월까지의 이용자 검색 용어 약 660만 건 중 많이 사용된 용어들을 취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가장 많이 입력된 용어는‘대통령임기(2,601회)’였고, ‘대통령기록(2,364)’,‘대통령선물(2,232)’, ‘대통령연설(1,946)’, ‘대통령(1,867)’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검색어 일부를 정리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 즉 패싯을 적용하려는 기관의 특성에 따라 제시하는 패싯 요소는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예를 들어 무역 분야의 기록검색도구를 위한 패싯을 구성한다면 지리나 법률적인 측면이 중요할 것이며, 문학 분야 기록검색도구의 패싯을 구성한다면 문학의 형식이나 시대적인 측면이 중요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록관 검색도구의 개발은 어떻게 고려되어야하나? 기록관 검색도구의 개발은 기록에 대한 정리원칙을 반영함과 동시에 이용자 친화적인 검색도 고려해야 한다. 최근에 정보서비스 관련 기술이 이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검색이 가능한 의미기반의 시멘틱 웹으로 발전해감에 따라, 기록관에서도 앞으로 이용자들의 의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옵션들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기록관 검색도구의 개발을 위해 앞으로 어떻게 이용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하는가 ? 기록관 검색도구의 개발은 기록에 대한 정리원칙을 반영함과 동시에 이용자 친화적인 검색도 고려해야 한다. 최근에 정보서비스 관련 기술이 이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검색이 가능한 의미기반의 시멘틱 웹으로 발전해감에 따라, 기록관에서도 앞으로 이용자들의 의도를 반영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옵션들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기록의 검색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 기록의 검색은 일반 이용자들에게 어렵다는 인식이 높은데, 이는 인터넷을 통한 정보검색에 친숙한 이용자들이 평소 사용하는 자유로운 자연어 검색이나 주제 검색과는 다른 기록 검색도구의 한계 때문이다. 즉 아키비스트 중심의 수직형 검색도구의 복잡한 구조, 이용자가 원하는 검색도구의 부재 혹은 이용자의 요구보다 기관 운영 및 기록의 출처와 맥락을 우선시하는 기술작성의 구조, ‘특정 기관의 소장기록’에 국한한 검색 대상의 협소성, 검색 결과의 구체성의 부족으로 기록에 담긴 내용의 유추가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설문원,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국가기록원 (2011). 영구기록물 기술규칙. NAK/S 14:2011(v2.0).. 성남: 국가기록원.(National Archives Korea (2011). Archival Description Rules: NAK/S 14:2011(v2.0). Sungnam: National Archives Korea.) 

  2. 남영준 외 (2012). 대통령기록물 주제별 분류 연구 최종보고서.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Nam, Young-Joon et al. (2012). Final Reports for the Research Project on the Presidential Suject Classification Scheme. Sungnam: National Archives Korea.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3. 대통령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2010. [법률 제10009호, 2010.2.4., 일부개정](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Law (2010).) 

  4. 박옥남, 오삼균, 김세영 (2009). 문화예술교육 패싯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197-219.(Park, Ok-Nam, Oh, Sam-Gyun, & Kim, Se-Young (2009). A Study of Facet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ment fo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3), 197-219.) 

  5. 박지영 (2010). 시소러스를 연계한 문학류 패싯 분류체계 개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3), 77-89.(Park, Ziyoung (2010). Developing a Faceted Classification Scheme Integrated with a Thesaurus for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3), 77-89.) 

  6. 박지영 (2012). KDC 조기표를 이용한 국내서의 패싯 내비게이션 기능 개선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 47-63.(Park, Ziyoung (2012). Improving Faceted Navigation Using the KDC Tables for the Korean Bibli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1), 47-63.) 

  7. 박희진, 이명호, 김성훈, 오삼균 (2015). 온톨로지 모델링에서 패싯 분석 활용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2), 257-287.(Park, Heejin, Yi, Myongho, Kim, Seonghun, & Oh, Sam Gyun (2015). A Study on the Use of Facet Analysis for Ontology Modeling.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2), 257-287.) 

  8. 설문원 (2010). 기록 검색도구의 발전과 전망. 기록학연구, 23, 3-43.(Seol, Moon-Won (2010). A Study on Development and Prospects of Archival Finding Aid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3, 3-43.) 

  9. 신동희 (2003). The Concept of Finding Aid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3(1), 93-110.(Sinn, Dong-Hee (2003). The Concept of Finding Aids.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3(1), 93-110.) 

  10. 심지영 (2014). 패싯분석 기법을 적용한 방송자료의 내용 구조화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3), 313-329.(Shim, Jiyoung (2014). A Faceted Classification Analysis of TV content: Using News and Current Affairs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3), 313-329.) 

  11. 유영준 (2004). 패싯 분석을 이용한 웹 자원의 조직.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1), 23-41.(Yoo, Yeong-Jun (2004). A Study on Organizing the Web Using Face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5(1), 23-41.) 

  12. 유영준 (2008). 신학 용어 분류를 위한 패싯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259-279.(Yoo, Yeong-Jun (2008). Establishing Facet for Classifying Theological Term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3), 259-279.) 

  13. 유영준 (2011). 차세대 도서관 목록에서의 패싯 내비게이션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3), 13-30.(Yoo, Yeong-Jun (2011). A Study on Faceted Navigation in Next-Generation Library Catalo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3), 13-30.) 

  14. 이승민 (2010). 시소러스 통합을 위한 개념기반 패싯 프레임워크 구축.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3), 269-290.(Lee, Seungmin (2010). Construction of the Concept-Based Faceted Framework for Thesaurus Integr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3), 269-290.) 

  15. 이원경, 서은경 (2016). 공연예술 콘텐츠 검색을 위한 패싯 내비게이션 인터페이스 구현. 정보관리학회지, 33(2), 77-102.(Lee, Won-Kyung, & Seo, Eun-Gyoung (2016). Implementing the Faceted Navigation Interface for Searching Performing Arts Cont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2), 77-102.) 

  16. 이유빈, 이해영 (2017). 온톨로지 기반의 기록물 검색 시스템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1), 217-244.(Lee, Yu-Been, & Rieh, Hae-Young (2017). A suggestion of interface for ontology-based record retrieval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7(1), 217-244.) 

  17. 이해영 외 (2013). 대통령 주제분류체계 고도화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명지대학교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Rieh, Hae-young et al. (2013). Final Reports for the Research Project on Advancement of Presidential Suject Classification Scheme. Myongji University, Digital Archiving Research Center. Sungnam: National Archives Korea.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18. 이해영 외 (2014). 대통령기록물 주제 시소러스 구축 연구용역. 명지대학교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Rieh, Hae-young et al. (2014). Final Reports for the Research Project on Establishing Presidential Records Suject Thesaurus. Myongji University, Digital Archiving Research Center. Sungnam: National Archives Korea.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19. 정광훈, 남영준 (2013). 우리나라 대통령기록물의 분류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1), 419-448.(Jung, Kwang-Hun, & Nam, Young-Joon (2013). Study on the Classification Guideline for the Korean Presidential Record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1), 419-448.) 

  20. 정연경 (2013). 한식 정보 조직을 위한 패싯 구조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1), 15-37.(Chung, Yeon-Kyoung (2013). A Study on Structure of a Faceted Classification for Organizing Korean Food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1), 15-37.) 

  21. 최윤경, 정연경 (2015). 한국 주제명 표목의 패싯 유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4), 179-201.(Choi, Yoon Kyung, & Chung, Yeon-Kyoung (2015). A Study on Developing Facets for Subject Heading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4), 179-201.) 

  22. 황순희, 정한민, 성원경 (2006). 패싯(facet)을 이용한 과학기술분야 시소러스 구축과 활용방안. 정보관리연구, 37(3), 6-84.(Hwang, Soon-Hee, Jung, Han-Min, & Sung, Won-Kyung (2006). Building Thesaurus for Science & Technology Domain Using Facets and Its Application to Inference Service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7(3), 6-84.) 

  23. U.S.C.A. Title 44, Chapter 22, Presidential Records, 2201. Definitions. Retrieved April 16, 2017, from http://www.law.cornell.edu/uscode/text/44/2201 

  24. Krause, M. G. & Yakel, E. (2007). Interaction in Virtual Archives: The Polar Bear Expedition Digital Collections Next Generation Finding Aid. The American Archivist, 70(2), 282-314. 

  25. Losee, Robert M. (2007). Decisions in thesaurus construction and use.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43(4), 1-17. 

  26. The National Archives (2013). Operational Selection Policy OSP12: Records of the central direction and oversight of government policy and programmes, 1970-2000. Retrieved May 12, 2017, from http://www.nationalarchives.gov.uk/documents/information-management/osp12.pdf 

  27. Yakel, E., Shaw, S., & Reynolds, P. (2007). Creating the next generation of archival finding aids. D-Lib Magazine, 13(5/6). Retrieved April 20, 2017, from http://www.dlib.org/dlib/may07/yakel/05yakel.html 

  28. 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 http://www.pa.go.kr/ 

  29. Churchill Archives, http://www.churchillarchive.com/index 

  30. Harry S. Truman Library and Museum, http://www.trumanlibrary.org/ 

  31. Herbert Hoover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http://www.hoover.archives.gov/ 

  32. John Curtin Prime Ministerial Library, http://john.curtin.edu.au/ 

  33.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http://www.naa.gov.au/ 

  34. The Churchill Archives Centre, https://www.chu.cam.ac.uk/archives/ 

  35. The National Archives, http://www.nationalarchives.gov.uk/ 

  36.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http://www.archives.gov/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