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박피한 '대보' 밤을 천연 추출물(녹차, 당귀, 황기, 감초 : 각각 1% 추출물)에 침지 처리한 후 $5{\mu}m$ 두께의 PE+ Nylon재질의 7-layer 필름으로 진공포장하여 $4^{\circ}C$에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동안 박피밤의 갈변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갈변도는 무처리구보다 천연 추출물 처리구에서 다소 적게 갈변되었고, 특히 황기와 감초 추출물 처리가 갈변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35일 후 박피밤의 색차(${\Delta}E$)는 무처리구에서 5.6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인 반면, 황기 추출물 처리구에서는 3.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저장기간 동안 천연 추출물 처리는 박피밤의 중량 및 수분감소율과 경도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저장 35일 후 부패율은 무처리구에서 9.0%, 녹차 추출물 처리구에서 9.0%, 당귀 추출물 처리구에서 9.0%, 황기 추출물 처리구에서 21.0%, 감초 추출물 처리구에서 7.0%로 나타났다. 종합적 관능평가에서는 황기 추출물 처리가 향 때문에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감초 추출물 처리구가 저장기간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박피밤의 천연 추출물 처리는 갈변을 억제시킴으로써 박피밤의 관능적 품질유지에 효과적이였고, 특히 감초 추출물 처리 후 진공포장하는 것이 박피밤의 품질유지와 갈변억제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tudied the effects of dip treatments of natural extracts (Camellia sinensis, Angelica gigas, Astragalus membranaceus, Glycyrrhiza uralensis: 1% extract) on the quality of peeled 'Daebo' chestnut. After dipping treatment peeled chestnuts were vacuum packaged with $75{\mu}m$ PE+Nylon 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갈변억제 방법 중 천연물인 녹차, 당귀, 황기 그리고 감초의 1% 추출액 처리가 박피밤의 갈변 및 저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박피밤의 품질 유지 및 활용도를 증진시키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밤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국내 밤은 품질이 우수하나 유럽이나 중국밤에 비하여 외피가 두껍고 내피의 과육부착 정도가 심하여 소비 시 이용에 불편한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점은 최근 각종 과일 및 채소류에 응용되고 있는 신선편이 제품의 응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게 되었는데(Oh and Kim, 2014), 밤 과실을 박피하여 세척 후 진공 포장하여 판매하는 것이 그 예이다.
국내 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국내 밤은 품질이 우수하나 유럽이나 중국밤에 비하여 외피가 두껍고 내피의 과육부착 정도가 심하여 소비 시 이용에 불편한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단점은 최근 각종 과일 및 채소류에 응용되고 있는 신선편이 제품의 응용을 통해 해결할 수 있게 되었는데(Oh and Kim, 2014), 밤 과실을 박피하여 세척 후 진공 포장하여 판매하는 것이 그 예이다. 최근 경제발전에 따른 1인 및 2인 가족의 증가는 단체급식의 급증, 패스트푸드의 소비량 증가와 함께 편리성과 간편성을 갖춘 최소 가공처리 된 신선편이 제품의 수요를 증가시켰다(Rageart et al.
밤나무란 무엇인가? 밤나무는 참나무과(Fagaceae) 밤나무속(Castanea)의 낙엽활엽성 교목으로 원산지는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및 북아프리카 등 4개 대륙에 걸쳐 있으며, 북반구의 온대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주요 재배 수종으로는 일본밤나무(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중국밤나무(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raaksma, A., D.J. Schaap, and C.M.A. Schipper. 1999. Time of harvest determines the postharvest quality of the comm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16: 195-198. 

  2. Chang, M.S., M.J. Park, J.G. Kim, and G.H. Kim. 2012. Effects of various packaging materials on the quality of heat treated lotus roots during storage.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9: 807-812. 

  3. Chung, H.S., J.B. Lee, and K.D. Moon. 2012. Effects of medicinal herb extracts and heat and coating treatments on the browning degree of fresh-cut apple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9: 813-817. 

  4. Fallik, E. 2004. Prestorage hot water treatments (immersion, rinsing and brushing).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32: 125-134. 

  5. Hwang, J.Y. 2011.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eled chestnuts with storage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4: 71-78. 

  6. Hwang, T.Y., K.H. Shon, J.H. Lim, and K.D. Moon. 2010. Antibrowning effect of licorice (Glycyrrhiza glabra) extracts on chopped galic.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7: 160-164. 

  7. Kim, M.J., S.C. Kim, and U. Lee. 2006. Chestnut cultivars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7-16. 

  8. Kim, J.G., S.T. Choi, and D.H. Pae. 2009.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dipping solution combination on the quality of peeled potato 'Jopung'.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7: 256-262. 

  9. Kim, J.K., W.S. Cha, J.H. Park, S.L. Oh, Y.J. Cho, S.S. Chun, and C. Choi. 1997. Inhibition effect against tyrosinase of condensed tannins from Korean green tea.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8: 173-177. 

  10. Kim, H.B., H.S. Chung, and K.D. Moon. 2014. Browning inhibition of fresh-cut lotus roots by blanching in Glycyrrhiza glabra L. and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extracts.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21: 151-156. 

  11. Kim, J.H., J.W. Jeong, and K.H. Kweon. 2007. Quality effects of various pretreatment methods on the properties of peeled chestnut during storage.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4: 462-468. 

  12. Martinez, M.V. and J.R. Whitaker. 1995. The biochemistry and control of enzymatic browning.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6: 195-200. 

  13. Oh, S.I. and M.J. Kim. 2014.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eled chestnut 'Tsukuba'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and peeling method.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7: 72-79. 

  14. Oh, S.I. and M.J. Kim. 2015. Effects of mild heat and organic acid treatments on the quality of 'Daebo' peeled chestnut during storag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4: 84-89. 

  15. Rageart, P., W. Verbeke, F. Devlieghere, and J. Debevere. 2004. Consumer perception and choice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and packaged fruits. Food Quality Preference 15: 259-270. 

  16. Sapers, G.M., R.L. Miller, F.C. Miller, P.H. Cooke, and S.W. Chio. 1994. Enzymatic browning control in minimally processed mushrooms. Journal of Food Science 59: 1042-1047. 

  17. Seo, D.J., M.J. Chung, D.J. Kim, J.K. You, and M. Choe. 2009. Nutritional constituent analysis of Korean chestnu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 166-176. 

  18. Song, H.J., O.Y. Kwon, B.H. Kang, S.S. Hur, D.S. Lee, S.H. Lee, I.K. Kang, and J.M. Lee. 2013. Change in quality attributes of fresh-cut potatoes with heat and browning inhibitor treatment during storage.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20: 386-393. 

  19. Tomas-Barberan, F.A. and J.C. Espin. 2001. Phenolic compounds and related enzymes as determinants of quality in fruits and vegetables.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81: 853-8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