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연구: 창업교육 만족도를 매개효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Entrepreneurial Education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2 no.2, 2017년, pp.95 - 103  

조영준 (금오공과대학교 창업교육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창업 교육서비스 품질이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대학창업 교육현장에 창업관련 전문가들을 통해 실전창업교육이 활성화 되고 있어, 이를 통한 대학의 창업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창업 교육서비스품질을 유형성, 공감성, 차별성 등으로 3개요소를 설정하였다. 첫째, 설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창업 교육서비스 품질(유형성, 공감성, 차별성)이 창업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둘째, 창업교육 만족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셋째, 대학창업 교육서비스품질이 창업의지 영향에 창업교육 만족도가 매개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형성, 공감성, 차별성이 창업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교육 만족도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성, 차별성이 창업의지 영향에 창업교육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고 유형성은 창업의지 영향에 창업교육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창업교육을 위한 편의시설과 좋은 환경구축 보다는 수강생들에 대한 관심과 서비스, 창업에 대한 교육목표 등 창업관련 전문가들의 실전교육이 대학 창업활성화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창업교육 만족도에 대한 요인이 창업의지에 공감성과 차별성이 확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위하여 K공과대학교의 창업 강좌 수강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explored how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affects Satisfac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Real-Tim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being Promoted through Professional Entrepreneur i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전 창업교육을 받은 학생을 대상으로 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창업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교육 만족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또한, 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업교육 만족도가 매개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대학의 창업교육은 단순한 이론교육이 아니라, 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을 통한 예비창업자 및 미래의 성공 창업자 배출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 문헌 연구를 통해 사회경험과 창업경험이 부족한 대학생들에게 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창업교육 만족과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 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창업관련 외부 전문가 활용을 통한 창업교육 만족도가 창업교육 서비스품질과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과 창업교육 서비스품질, 창업교육 외부전문가 활용을 통한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의지 간의 영향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전 창업교육을 받은 학생을 대상으로 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창업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교육 만족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또한, 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업교육 만족도가 매개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창업교육 서비스품질(유형성, 공감성, 차별성)이 창업교육 만족도의 관계적 요인과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공감성, 차별성은 창업의지에 창업교육 만족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형성은 창업의지 영향에 창업교육 만족도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3-1: 유형성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창업교육 만족도는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 3-2: 공감성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창업교육 만족도는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 가설 1 대학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창업교육 만족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창업만족도는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창업교육 만족도는 대학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비스품질의 결정요인의 10가지는 무엇인가? Parasuraman, et al.(1985)는 서비스품질을 고객의 기대와 실제 고객이 경험한 성과 간의 차이로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서비스품질의 결정요인을 10가지로 접근, 커뮤니케이션, 역량, 친절, 믿음, 신뢰성, 반응성, 안전, 이해, 유형성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여러 연구자들의 실증연구를 통해 10가지를 결합하고 조정하여 5개의 차원을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으로 축소 정리하였다.
Parasuraman, et al.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정의는 무엇인가? Parasuraman, et al.(1985)는 서비스품질을 고객의 기대와 실제 고객이 경험한 성과 간의 차이로 정의하였으며,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서비스품질의 결정요인을 10가지로 접근, 커뮤니케이션, 역량, 친절, 믿음, 신뢰성, 반응성, 안전, 이해, 유형성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여러 연구자들의 실증연구를 통해 10가지를 결합하고 조정하여 5개의 차원을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으로 축소 정리하였다.
대학의 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창업교육 만족도의 관계적 요인과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창업교육 서비스품질(유형성, 공감성, 차별성)이 창업교육 만족도의 관계적 요인과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공감성, 차별성은 창업의지에 창업교육 만족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형성은 창업의지 영향에 창업교육 만족도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에 적합한 시설, 편의시설이 편하다, 적합한 도구, 편안하고 안락하다와 같은 유형성은 만족도에 만족하고, 유형성에 대한 창업교육 만족도가 창업의지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창업교육을 위한 편의시설과 좋은 환경 등 단순한 하드웨어 구축보다는 편의시설과 안락한 환경을 통해 창업교육 수강생들에게 창업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제공 등의 소프트웨어적인 서비스 만족과 연계 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bari, A. A. F., Yarmohammadian, M. H., & Esteki, M.(2011), Assessment of quality of education a non-goveremental university via SERVQUAL model.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5, 2299-2304 

  2.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2 

  3. Bird, B(1988), Implementing entrepreneurial ideas: The case for inten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3), 442-453. 

  4. Boulding, W. A. K, & R. Staeln & V. A. Zeithaml(1993),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 From Expectation to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0, 7-27 

  5. Chang, D. S., Chae, G. J., & Kim, M. S(2009), A Study of Service Encounter Type between Business Education Service and Students' Satisfaction and Loyalty in Korean Universitie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3(2) 

  6. Choi, S. C., & Kown, Y. J(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Small Business Start-up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Learner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20(4), 86-99. 

  7. Elliott, K. M., & Healy, M. A.(2001), Key factors influencing student satisfaction related to recruitment and retention, Journal of Marketing for Higher Education, 10(4), 1-11. 

  8. Gatfield, T., & Barker, M(1992), Measuring student quality variables and the implications for management practic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 perspectiv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Policy and Management 21(2), 239-252. 

  9. Ha, K. S, & Yeo, K. U.(2016), A Study on the Improving Training Program for Entrepreneurship Educator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3), 221-231. 

  10. Jain, R, Sinha, G. G., & De, S. K(2010), Service quality in higher education: an exploratory study, Asian Journal of Marketing 4(3), 144-154. 

  11. Jain, R., Sinha, G., & Sahney, S.(2011), Conceptualizing service quality in higher education. Asian Journal on Quality, 12(3), 296-314. 

  12. Kim, J. I., & Lee, I. H(2014),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in Entrepreneurial education on the Self-efficacy, the Achievement need and the Satisfaction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Focusing on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of Internet Shopping Mall,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5), 21-31. 

  13. Krueger, N. F., Reilly, M. D., & Carsrud, A. L.(2000). Competing model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5(5), 411-432. 

  14. Kwak, D. S., Jung, H. Y., & Kim, M. S(2016), The Effect of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Education Satisfacti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4), 37-48. 

  15. Leazar, E. P.(2002), Entrepreneurship, NBER working paper 

  16. Lee, I. H., Hahn, J. H., & Kim, J. M(2009),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in entrepreneurial education on satisfaction and word to mouth,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tion Research 28(3). 

  17. Lee, W. J., Kim, J. S., & Kim, Y. T.(2013),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Quality and Satisfaction to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28(3), 105-131. 

  18. Na, S. G.(2016), A Study on the Structural Causality Relationship among the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Reliability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Education for Start-ups of Small Enterprises,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31(5), 123-143. 

  19. Oldfield, B., M & Baronm, S(2000), Student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in a UK university business and manament faculty, Quality Assurance in Eduction 8(2), 85-95. 

  20. Parasuraman, A., Zeithaml, V. A., & Berry, L. L.(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4), 41-50. 

  21. Park, J. H., & Kim, Y. T.(2009), An Empirical Study of Effect and Improve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2(2), 959-977. 

  22. Park, J. S., Kim, J. H., & Shin, Y. S.(2002), The Effects of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Quality Factors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Intention of Continuing Studies, and Word-of-Mouth, The journal of Korean Marketing 4(4), 51-74. 

  23. Shapero, A.(1984). The entrepreneurial event, in C. A. Kent, Environment for Entrepreneurship, Lexington, MA: D. C. Health, 21-40. 

  24. Sljkin, B. Bartkowiak, P., & Skuza, A(2012), Determinants of higher education choices and student satisfaction: The case of poland, Higher Education, 63(5), 565-5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