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 기업가정신, 프로젝트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oject Manager's Creative Thinking, Entrepreneurship, and Project Performance원문보기
본 연구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 기업가정신, 프로젝트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표본을 수집하여 실증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는 직접적으로는 프로젝트 만족도를 향상시키지 못하지만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의 매개효과를 통해 프로젝트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반면 프로젝트의 인지된 성과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이 과정에 있어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은 매개효과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젝트 추진에 있어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로서의 전문지식, 사고기술, 동기부여가 높다고 하더라도 당해 개인적 관점에서의 고객의 만족을 이끌어 내는데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 기업가정신, 프로젝트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표본을 수집하여 실증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는 직접적으로는 프로젝트 만족도를 향상시키지 못하지만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의 매개효과를 통해 프로젝트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반면 프로젝트의 인지된 성과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이 과정에 있어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은 매개효과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젝트 추진에 있어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로서의 전문지식, 사고기술, 동기부여가 높다고 하더라도 당해 개인적 관점에서의 고객의 만족을 이끌어 내는데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oject manager's creative thinking, entrepreneurship, and project performance. To achieve this,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to carry out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an empirical sample surve...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oject manager's creative thinking, entrepreneurship, and project performance. To achieve this,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to carry out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an empirical sample survey. The findings showed that project manager's creative thinking didn't improve project satisfaction directly, but it improved project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project manager's entrepreneurship. While it had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project performance, project manager's entrepreneurship was not mediated in this process. This suggests that even if project managers have a high expertise, thinking skill and motivation as creative thinking in working on the project, they have the limitation in leading to customer satisfaction from a personal perspective.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oject manager's creative thinking, entrepreneurship, and project performance. To achieve this,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to carry out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an empirical sample survey. The findings showed that project manager's creative thinking didn't improve project satisfaction directly, but it improved project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project manager's entrepreneurship. While it had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project performance, project manager's entrepreneurship was not mediated in this process. This suggests that even if project managers have a high expertise, thinking skill and motivation as creative thinking in working on the project, they have the limitation in leading to customer satisfaction from a personal perspectiv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자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 기업가 정신, 프로젝트성과 간의 기존 연구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통합적 구조 연구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에 착안하여 통합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 기업가정신, 프로젝트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표본을 수집하여 실증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 2002) 창의적 사고에 대한 연구는 개인 수준의 창의적 사고에 대한 연구부터 시작하여 그룹수준의 창의적 사고, 조직 수준에서의 창의적 사고에 대한 연구로 확장되어 왔다(Karlsen & Gottschalk, 2003). 이렇게 창의적 사고에 대한 분석 수준이 개인차원에서 팀 혹은 조직 차원으로 확대됨에 따라 연구의 접근방법도 달라져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담당자 개인수준의 창의성을 반영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와 기업가 정신 및 프로젝트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프로젝트의 성공여부에 있어서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는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작용되며, 그중에서도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와 기업가 정신은 프로젝트의 성과와 밀접한 연관구조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손권일, 2014).
조사대상자들이 연구에 적합한 대상인지 확인하기 위해 프로젝트와 관련된 전반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에 대하여 빈도분석 결과, 아래의 <표 3>와 같이 확인되어 조사대상자들이 모두 프로젝트 리더 경험을 가진 연구에 적합한 표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대다수 프로젝트 추진이 개인차원의 업무촉진이 아닌 공통 조직단위나 팀 단위의 협업을 통해 이루어지는 점에서 인지된 긍정적인 사고에 기인한 제한된 성과를 일정부분 올릴 수 있지만 만족에까지 이르지 못하는 제한을 가짐을 실증해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젝트 담당자의 위기관리와 혁신적 사고에 기인한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반영한 프로젝트 조직 단위의 구성원에 창의적 사고를 결합시켜 적용함으로써 높은 프로젝트 만족과 성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음에 본 연구에 대한 산업적,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가설 설정
H1 :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는 기업가 정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은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는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4 :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은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와 프로젝트 성과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4-1 :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은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와 프로젝트 만족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4-2 :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은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와 인지된 성과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제안 방법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접근은 Byrd & Turner(2001)가 제시한 창의적 사고 4요소인 기술관리, 업무대응, 대인관계, 전문성을 본 연구 프로젝트 대상기업이 IT 기반 부서와 대상인 점을 고려하여 Byrd & Turner(2001)의 요인 4개 중 전문적 기술은 전문지식으로 기술 관리는 사고 기술로 업무 대응과 대인관계를 동기부여로 묶어 전문성으로서의 전문지식과 창의적 사고 능력으로서의 사고기술과 동기부여의 세 가지 요인을 반영하여 측정한다.
또한 Muller & Tuner(2007)의 지적 능력에 적합한 프로젝트 관리자의기업가 정신에 관한 연구와 Geoghegan & Dulewicz(2008)의 프로젝트 담당자의 책임역량과 프로젝트 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 Dulewicz & Higgs(2005)가 주창한 지적능력 (IQ), 관리능력 (MQ), 대인관계 능력 (EQ)등 3가지 차원의 요소를 독립변수로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프로젝트 성과를 이설빈·김상영(2016) 이 제시한 프로젝트 결과물이 인도된 이후 단계에서의 프로젝트 성과에 대해 반드시 인지된 성과와 인지된 성과결과에 대한 프로젝트만족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바, 이를 반영하여 측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yrd & Turner(2001)의 조직구성원의 우수한 성과를 가져오는 프로젝트 담당자에게 요구되는 창의적 사고로 업무에 필요한 전문지식, 사고기술, 동기부여를 선정하고 기업가 정신으로 안재성(2015)이 제시한 위기관리와 의사소통능력, 혁신성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하여 Byrd & Turner(2001)가 제시한 문항 중에서 창의적 행동을 측정하는 창의적 사고를 프로젝트 수행 상황에서의 담당자의 전문지식, 사고기술, 동기부여로 구분하여 전문지식은 특정 분야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정보, 사고기술은 특성 신체적 또는 정신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동기부여는 프로젝트 담당자가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할 때 나타나는 행동과 태도로 정의하고, Spencer & Spencer(2008)와 Geoghegan & Dulewicz(2008)의 척도를 국내 반영한 민승기(2014)와 손권 일(2014)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이에 Van de Ven & Ferry(1980)와 Weill & Olson(1989)의 척도를 국내 반영한 이설빈·김상영(2016)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관리적 역할을 제한된 예산, 한정된 일정, 특정한 목적을 가진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으로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의 담당자의 위기관리, 의사소통관리, 혁신성으로 정의하며, 손권일(2014)과 이병열·이선규(2015)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지역 소재 IT기업의 프로젝트 담당자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16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총 30일간 실시하였으며,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각 기업 프로젝트 관리 책임자의 도움을 받아 프로젝트 참여자에 직접 양해를 구하고 연구의 목적 및 설문방법을 안내 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 중 불성실 응답자와 결측치를 제외한 후 최종 342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4.4 설문구성
설문지의 각 항목들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과 이론을 근거로 총 5개 영영의 총 4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 먼저 참여 건수, 참여인원, 참여기간, 규모 (금액), 수행역할의 프로젝트 특성 7문항과 성별, 연령대, 최종학력, 산업분야 (업종), 근속 년수, 월수입의 일반적 특성 7문항은 명목척도로 구성하였고, 프로젝트 담당자의 개인역량 12문항과 관리적 역할 12문항, 프로젝트 성과의 요인 8문항은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각 항목들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과 이론을 근거로 총 5개 영영의 총 4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참여 건수, 참여인원, 참여기간, 규모 (금액), 수행역할의 프로젝트 특성 7문항과 성별, 연령대, 최종학력, 산업분야 (업종), 근속 년수, 월수입의 일반적 특성 7문항은 명목척도로 구성하였고, 프로젝트 담당자의 개인역량 12문항과 관리적 역할 12문항, 프로젝트 성과의 요인 8문항은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매우 그렇다’5점, ‘그렇다’4점, ‘보통’3점, ‘그렇지 않다’2점, ‘전혀 그렇지 않다’1점으로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각 문항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가설을 검정하기에 앞서 연구에 활용된 측정도구의 구성이 연구 개념을 측정하기에 적합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정하였다. 타당성 검정은 측정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 개념을 명확히 측정하였는지를 말하며 검정방법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항들에 대해서 구조방정식모델을 적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구성개념인 요인 간 상관을 고려하여 전체 모델의 적합수준을 파악하고, 또한 개별 요인에 대한 관측 변수 신뢰도를 검정한 후 최종문항의 전체 모델에서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전체모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항들에 대해서 구조방정식모델을 적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구성개념인 요인 간 상관을 고려하여 전체 모델의 적합수준을 파악하고, 또한 개별 요인에 대한 관측 변수 신뢰도를 검정한 후 최종문항의 전체 모델에서의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전체모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부트스트랩핑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부트스트랩핑 방법은 모집단의 분포를 모르는 상태에서 표본 데이터를 바탕으로 모수의 분포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간접효과의 95% 신뢰구간(CI)에 0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여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지역 소재 IT기업의 프로젝트 담당자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16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총 30일간 실시하였으며,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각 기업 프로젝트 관리 책임자의 도움을 받아 프로젝트 참여자에 직접 양해를 구하고 연구의 목적 및 설문방법을 안내 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16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총 30일간 실시하였으며,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각 기업 프로젝트 관리 책임자의 도움을 받아 프로젝트 참여자에 직접 양해를 구하고 연구의 목적 및 설문방법을 안내 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 중 불성실 응답자와 결측치를 제외한 후 최종 342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데이터처리
본 연구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 기업가정신, 프로젝트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표본을 수집하여 실증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총 351명의 유효한 표본 데이터를 얻었으며, 코딩 및 클리닝 작업을 거처 통계패키지 SPSS 21.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정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CFA)과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으며, 영향력 검정에 앞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개념 변수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정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CFA)과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으며, 영향력 검정에 앞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개념 변수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연구가설의 검정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SEM)을 실시하였고, 모수 추정 방법은 최대우도법 (ML)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정 방법으로 부트스트랩핑 (Bootstrapping)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 표본으로 선정된 342명의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은 남성이 96.
본 연구에 활용되는 주요 구성개념들의 인과관계를 검정하기 위한 사전 절차로서 상관관계 분석을 실행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이란 변수 간의 관계의 밀접한 정도, 즉 말 그래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 상관계수 값이 1혹은 –1에 가까울수록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0에 가까울수록 관계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표본을 수집하여 실증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총 351명의 유효한 표본 데이터를 얻었으며, 코딩 및 클리닝 작업을 거처 통계패키지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론/모형
연구 가설의 검정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분석 (SEM)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2=108.
성능/효과
둘째, 관리 기술 (Managerial Competency, MQ)에는 프로젝트 자원관리 기술, 원활한 의사소통 기술, 구성원에게 적정하게 권한을 위임하는 기술, 팀을 육성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 등 5가지 역량이 여기에 해당한다. 셋째, 감성적 능력 (Emotional Competency, EQ)에는 자기인식, 감성관리, 직관력, 대인관계 능력, 영향력, 동기부여 능력, 말과 행동이 일치하는 언행일치 등 7가지 역량이 책임 범위에 해당된다고 하였다.
안재성(2015)은 프로젝트 담당자가 갖추어야 할 기업가정신을 위기관리능력, 혁신적 기술 능력, 의사소통능력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위기관리역량은 프로젝트 범위, 일정, 원가, 품질, 위험, 구매 관리 등 프로젝트 실행을 책임감을 가지고 관리하는 능력이다. 둘째, 혁신적 기술역량은 해당 프로젝트의 업종 및 업무에 관한 기술적 지식으로 프로젝트의 최종 산출물을 도출하기 위한 세부 활동을 지시하는 책임능력이다.
첫째, 위기관리역량은 프로젝트 범위, 일정, 원가, 품질, 위험, 구매 관리 등 프로젝트 실행을 책임감을 가지고 관리하는 능력이다. 둘째, 혁신적 기술역량은 해당 프로젝트의 업종 및 업무에 관한 기술적 지식으로 프로젝트의 최종 산출물을 도출하기 위한 세부 활동을 지시하는 책임능력이다.
셋째, 의사소통역량은 프로젝트에 관련한 인적자원 관리, 의사소통 등을 의미한다. 또한 한연옥(2008)은 프로젝트 담당자에 필요한 관리와 책임역량을 관리역량, 개인역량, 팀 관리역량 으로 구분했다.
즉, 프로젝트 담당자에게 요구되는 기업가정신으로 첫째, 프로젝트 관리에 대해 숙지하고 있는 전문지식과 관련된 책임, 둘째, 프로젝트 관리 지식을 적용하여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위기관리능력, 셋째, 프로젝트 관리활동을 실행할 때의 행동양식인 개인의 혁신적 사고능력 그리고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프로젝트 제약사항들 간의 균형을 조절하면서 프로젝트 팀을 이끄는 의사소통 능력으로서의 자기관리 통찰과 감성능력에 대한 정신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이설빈 외(2016)는 프로젝트의 성과를 프로젝트 실행관리 성과와 프로젝트 완료 성과로 구분하였으며, 프로젝트 실행관리 성과는 비용준수, 일정준수, 목표품질 달성 등 프로젝트 수행 절차가 적절하게 수행되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프로젝트 완료 성과는 프로젝트의 산출물인 정보시스템 구축효과로서, 현업의 사용자들이 정보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로 보았다.
이러한 프로젝트 성과는 프로젝트 담당자와 역량과도 관계가 있는데 김은홍·김화영(2006)의 국내 정보시스템 프로젝트 담당자 및 팀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33개의 샘플을 가지고 실증분석을 통해 프로젝트 담당자의 통합화 역량, 인간관계 역량, 전문성 역량 등이 기술사항, 일정계획, 자원계획, 목표달성 등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프로젝트 담당자의 전문성 및 인간관계 역량이 요구사항, 초기운영, 만족도 등 고객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Geoghegan & Dulewicz(2008) 는 영국 금융서비스 회사의 경영혁신 부서에 근무하는 프로젝트 담당자와 스폰서를 대상으로 프로젝트 담당자의 지적 능력, 관리 능력, 감성 능력을 LDQ (Leadership Dimensions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프로젝트 성과 여부를 PSQ (Project Success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프로젝트 담당자의 관리능력이 프로젝트 성과와 강한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은 남성이 96.5%, 여성이 3.5%로 나타나 남성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연령은 40대가 57.9%, 30대 38%, 50대 이상 2.9%, 20대 1.2% 순으로 나타나 30∼40대가 대부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에 활용되는 개념들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타당성을 검정한 결과 t값이 모두 ±1.96이상, 유의확률은 0.05이하로 나타나 구성개념을 잘 측정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05이하로 나타나 구성개념을 잘 측정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신뢰도 분석결과 크론바흐 알파 값이 하위개념, 상위개념 신뢰도 모두 0.7이상(김계수, 2006) 이면 신뢰성이 충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관관계 분석이란 변수 간의 관계의 밀접한 정도, 즉 말 그래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 상관계수 값이 1혹은 –1에 가까울수록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0에 가까울수록 관계가 없다고 볼 수 있다. 모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호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모든 변수들 간에 상호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2=108.684 (DF=72, χ2/df=1.510), NFI=.941, TLI=.973, CFI=.979, RMSEA=.055로 각각 나타나 측정변수들이 연구가설 검정에 무리가 없는 수용 가능한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가 프로젝트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β=0.180)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이 프로젝트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β=0.827)과 인지된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β=0.730)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가 기업가 정신에 미치는 영향력(β=0.96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에 따라 ‘가설3: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는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는 프로젝트 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반면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력 함양을 통해 인지된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검정결과,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가 기업가 정신을 통해 프로젝트 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비표준화(B)값이 0.580으로 95% 신뢰구간이 0.227 ∼ 1.809로 0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p<.05).
첫째,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가 기업가 정신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1: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는 기업가 정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은 채택되었다.
그러나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가 기업가 정신을 통해 인지된 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비표준화(B)값이 0.503으로 95% 신뢰구간이 -0.006 ∼ 1.219로 0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이 프로젝트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과 인지된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하위가설 2-1과 2-2가 모두 지지되어 ‘가설2: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은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셋째,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가 프로젝트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 3-1은 기각되었다. 그러나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가 인지된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가설3: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는 프로젝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부분 채택되었다.
넷째, 간접효과에 대한 부트스트랩핑을 실시한 결과를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가 기업가 정신을 통해 프로젝트 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비표준화(B)값이 95% 신뢰구간 안에 0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가 기업가 정신을 통해 인지된 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비표준화(B)값의 95% 신뢰구간에 0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간접효과에 대한 부트스트랩핑을 실시한 결과를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가 기업가 정신을 통해 프로젝트 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비표준화(B)값이 95% 신뢰구간 안에 0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가 기업가 정신을 통해 인지된 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비표준화(B)값의 95% 신뢰구간에 0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나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설 4-1은 기각되었고 가설 4-2는 지지되어 결과적으로 ‘가설4: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은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와 프로젝트의 인지될 성과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는 직접적으로는 프로젝트 만족도를 향상시키지 못하지만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의 매개효과를 통해 프로젝트 만족도를 향상시키며, 반면 프로젝트의 인지된 성과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이 과정에 있어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은 매개효과를 갖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프로젝트 추진에 있어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로서의 전문지식, 사고기술, 동기부여가 높다고 하더라도 당해 개인적 관점에서의 고객의 만족을 이끌어 내기는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즉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는 기업가 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프로젝트 담당자의 기업가 정신 또한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만족과 인지된 성과를 높여주는 촉진 기제로서 긍정적인 변수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그리고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는 인지된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기업가 정신은 프로젝트 담당자의 창의적 사고와 인지된 성과를 높이는 매개적 효과로서 긍정적인 작용함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모델의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도를 정리하면, χ2=630.656 (DF=499, χ2/df=1.264), NFI= .825, TLI= .951, CFI= .957, RMSEA= .039으로 나타나 개념들 간의 상관을 고려한 확인적 요인분석 모델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후속연구
이상의 연구를 볼 때 효과적인 프로젝트 담당자에 의해서 실무 담당자에 요구되는 지식과 도구와 기법을 이행하고 적용하는 능력과 더불어 특정 프로젝트 실행을 위하여 필요한 해당 산업분야의 기술 역량과 일반적인 담당자의 다양한 기업가정신을 요구하고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적 사고에 대한 접근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이 같은 창의적 사고에 대한 접근은 크게 접근방식 측면에서 인지능력 특성과 성격 특성적 접근으로 설명하는 방식과 강조점의 측면에서 과정 중심, 결과중심 방식의 4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 번째 창의적 사고를 인지능력 특성으로 보려는 시도는 개인의 인지적 요인에 치중하여 창의성을 설명한다 (Baccarini, 1999).
기업가정신이란 무엇인가?
기업가정신 (Entrepreneurship)은 새로운 조직이나 기존 조직을 건전하게 경영하면서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극복하고, 창의성을 발휘 및 혁신함으로써 경제활동을 창조하고 발전시키는 정신을 말한다. 이 같은 기업가정신에 대해 Marchewka(2014)는 위험과 불확실성의 조건하에서 수익과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혁신적 경제조직의 창출이라고 하였으며, 위험부담과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전제로 하여 가치가 새롭게 창조되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창의적 (Creativity)사고와 기업가 정신이 매우 중요해진 것은 무엇을 의미하고 시사하는가?
오늘날과 같은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프로젝트담당자의 성과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창의적 (Creativity)사고와 기업가 정신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혁신적 사고와 신속한 의사결정 및 위험관리능력을 통해 프로젝트 구성원들의 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조직 구조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음(이건청 외, 2010)을 의미하고 이를 조율 관리하는 담당자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시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52)
Agarwal, N. & Rathod, U.(2006), Defining 'success' for software projects: An exploratory reve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4(4), 358-370.
Bae, Z. T. & Cha, M. S.(2005), Recent Trend in Entrepreneurship and Venture Management Research: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American Journals (1998-2004),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8(3), 141-177.
Bass, B. M., Avolio, B. J. & Pointon, J.(1990), The implications of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r individual, team,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Bassellier, G. & Blaize Horner Reich, I. B.(2001),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e of business managers: A definition and research model,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7(4), 159-182.
Boyatzis, R. E. & Ratti, F.(2009), Emotional, Social, and Cognitive Intelligence Competencies, Distinguishing Effective Italian Manager and Leaders in a Private Company and Cooperatives. Journal of Management Development, 28(9), 821-838.
Byrd, T. A. & Turner, D. E.(2001), An exploratory analysis of the value of the skills of IT personnel: Their relationship to IS infrastructure and competitive advantage, Decision Sciences, 32(1), 21-54.
Cheung, G. W. & Lau, R. S.(2007), Testing mediation and suppression effects of latent variables: Bootstrapping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Choi, S. S. & Kwon, Y. J.(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Creativity, Trust, and Group Cohesivenes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novation Action, Korean Academic Society of Tourism and Leisure, 24(7), 95-113.
Cohen, J., Chen, P., West, S. G. & Aiken, L. S.(1983),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for the behavioral science.
Cooke-Davies, T.(2002), The "real" success factors on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3), 185-190.
Covin, J. G. & Slevin, D. P.(2002). The Entrepreneurial Imperatives of Strategic Leadership, Strategic Entrepreneurship: Creating a New Mindset, 309-327.
DeLone, W. H., & McLean, E. R.(1992), Information system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 Research, 3(1), 60-95.
Dimitratos, P., Lioukas, S. & Carter, S.(2004). The relationship betwen entrepreneurship and international performance: the importance of domestic environment, International Busines Review, 13(1), 19-41.
Han, Y. O.(2008), The Effects of Project Managers' Competency on Project Performance,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Commerce at Soongsil University
Hong, S. H.(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Judgev, K. & Muller, R.(2005), A retrospective look at our evolving understanding of project success,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Jun, N. H.(2012), An Empr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Model of Project Management for Analysis and Evaluation, Doctoral Thesis, Graduate School at Soongsil University
Karlsen, J. T. & Gottschalk, P.(2003), An empirical evaluation of knowledge transfer mechanisms IT project,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44(1), 112-119.
Katz, R. L.(2009), Skills of an effective administrator,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Kim, E. H & Kim, H. Y.(2006), The Effects of the Project Managers' Competency and Leadership Style on the Performance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SI Projects,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31(4), 157-179.
Kim, H. J.(2003), A Exploratory Study on Risk Factors by Failure Type in Information System Project Management.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Kim, K. S.(2006), Analysis of AMOS structure equation model, Hanaree.
Kim, M. J.(2010), The Effects of Team Diversity and Team Sharedness on Team Effectiveness, Doctoral Thesis, Graduate School at Ewha Womans University
Kokot, S. J. & Colman, J.(1997), The creative mode of being.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1(3), 212-226.
Krasner, H.(1994), The Payoff for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SPI): What it is and how to get it, Software Process Newsletter, 1, 3-8.
Lampel, J.(2001), The core competencies of effective project execution: the challenge of diver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19(8), 471-483.
Lee, B. Y. & Lee, S. G.(2015),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the impact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IT project,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13(1), 127-138.
Lee, C. C., Park, J. Y. & Choi, J. H.(2012), The effect of the project managers' IT competency and managerial competency on the success of SI project: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roject siz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1(4), 31-54.
Lee, C. W.(2004), A Model of business venture's firm resources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the strategic assets of business ventures, Journal of Strategic Management, 7(1), 33-69.
Lee, G. C., Choi, D. Y. & Seo, Y. W.(2010), Longitudinal analysis Results from Investigating Team Creativity Patterns Based on Knowledge Diversity and Network Structures,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39(6), 1539-1557.
Lee, K. H., Choi, Y. H. & Hwang, S. U.(2011), Develop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program based on team project,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11(2), 141-160.
Lee, S. B., Boo, J. M. & Kim, S. C.(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project managers' leadership on participants' individual competency and project performance, Korean Society of Business Venturing, 11(5), 175-188.
Lee, S. B. & Kim, S. Y.(2016), A study on the effects of project coordinators' personal competency on project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managerial role, Korean Society of Management Consulting, 16(1), 137-146.
Lee, S. B., Roh, D. H. & Jung, W. H.(2016),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oject Leader's Core Competencies and Project Success Factors, Korean Society of Business Venturing, 11(2), 197-205.
Lee, S. J.(2011), Develop 18 Leadership's key Competencies, Seoul, Kim&Kim Publishing, Inc.
Lehder, W. E., Smith, D. P. & Weider, D. Y.(1988). Software estimation technology, AT&T Technical Journal, 67(4), 10-18.
Lientz, B. P. & Rea, K. P.(2001), Breakthrough technology project management.
Marchewka, J. T.(2014), Information technology project management, John Wiley & Sons.
Min, S. G.(2014), A Study on Project Management Competence Assessment Model and Improvement for Plant Engineering Organization, Doctoral Thesis,, Graduate School at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Muller, R. & Tuner, J. R.(2007), Matching the project manager's leadership style to project typ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5(1), 21-32.
Rai, A., Lang, S. S. & Welker, R. B.(2002), Assessing the validity of IS success models: An empirical test and theoretical analysi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3(1), 50-69.
Son, G. I.(2014), A study on the impact of personal competency on project performance : with a focus on local government officials, Doctoral Thesis,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Spencer, L. M. & Spencer, P. S. M.(2008). Competency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John Wiley & Sons.
Van de Ven, A. H. & Ferry, D. L.(1980),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s, John Wiley & Sons.
Wateridge, J.(1998), How can IS/IT projects be measured for suc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16(1), 59-63.
Weill, P. & Olson, M. H.(1989) An assessment of the contingency theor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6(1), 59-8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