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재 기둥과 하이브리드 강재 보-RC 보 접합부의 반복 휨 거동 평가
Evaluation on Cyclic Flexural Behavior of HSRC (Hybrid H-steel-reinforced Concrete) Beams Connected with Steel Columns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9 no.3, 2017년, pp.291 - 298  

권혁진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  양근혁 (경기대학교 플랜트.건축공학과) ,  홍승현 ((주)한주에스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강재 기둥과 접합된 하이브리드 H-보-철근 콘크리트 보(HSRC)의 반복 휨 거동을 평가하였다. 실험 변수는 HSRC 보의 연결절점에 배근되는 장부철근의 유무이다. HSRC 보의 소성힌지는 RC 보보다는 기둥 접합부 부근의 H-보에서 형성되도록 유도하였다. 모든 실험체는 하중의 급격한 감소 없이 연성적인 거동을 보였으며, 비록 예상치 못한 H-기둥과 H-보 용접 접합부의 파괴가 발생하였지만, 결과적으로 4.6 이상의 변위연성비를 나타내었다. HSRC 보 시스템에서 RC 보의 균열진전, 휨 강도 및 연성에 대한 장부철근의 영향은 매우 미미하였다. HSRC 보 시스템의 휨 강도는 단면의 완전소성으로 가정하여 산정한 H-보의 최대 휨 내력에 비해 안전 측에서 평가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valuate the cyclic flexural behavior of a hybrid H-steel-reinforced concrete (HSRC) beam at the connection with a H-steel column. The test parameter investigated was the configuration of dowel bars at the joint region of the HSRC beam. The HSRC beam was de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강재 기둥과의 접합부 영역에서 HSRC보의 반복 내력 및 휨 거동을 평가하는 것이다. 실험변수는 강재 보와 RC 보의 일체화에 영향을 주는 연결절점의 상세로써, 장부철근의 배근유무, 배근방법 및 L-형 연결재의 상세이다.

가설 설정

  • Table 4에는 실험된 HSRC 보의 휨 모멘트 실험값과 예측값의 비교를 나타내었다. 강재 보의 항복에 의해 결정되는HSRC 보의 최대 휨 내력은 H-보의 완전 소성상태를 가정하여 산정하였다. A 실험체에서 부모멘트 방향의 최대 휨 내력은 정모멘트 방향의 값에 비해 약 7%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정모멘트 방향 가력 시에 발생한 용접부의 선행파괴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재 보와 RC 보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보 시스템에서 두 시스템의 연결절점은 어떻게 시공되는가? 강재 보와 RC 보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하이브리드 보 시스템4,5)에서 두 시스템의 연결절점은 주로 RC 보에 매립된 보강철물과 강재 보와의 볼트 체결을 통한 접합으로 시공된다. 이러한 볼트 체결방식은 볼트 구멍을 맞추는 것에 있어서 시공성이 불리하며 크레인 양중 시간의 증가로 인한 공기증가의 문제점이 있다.
장경간 건축물들에 하이브리드 보 시스템의 적용이 활성화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산업사회의 발달과 함께 공장건물, 집회시설 및 주차장과 같은 장경간 건축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1)장경간 건축물들에서는 기존의 단독구조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구조 시스템을 조합하는 하이브리드 보 시스템의 적용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하이브리드보 시스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구조 시스템은 강재 보와 철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 보 시스템인데, 이러한 하이브리드 보에서 합성은 단순한 재료적 합성이 아닌 서로다른 두 시스템간의 연결절점을 갖는 구조적인 합성이다.
하이브리드 보 시스템을 볼트 체결방식으로 시공할 경우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강재 보와 RC 보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하이브리드 보 시스템4,5)에서 두 시스템의 연결절점은 주로 RC 보에 매립된 보강철물과 강재 보와의 볼트 체결을 통한 접합으로 시공된다. 이러한 볼트 체결방식은 볼트 구멍을 맞추는 것에 있어서 시공성이 불리하며 크레인 양중 시간의 증가로 인한 공기증가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복가력 하에서는 RC 보에 매립된 강재와 콘크리트의 강성 차이로 인한 역사인장 균열 및 연결절점 파괴의 위험성이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Lee, D. S., Kim, S. Y., and Kim, T. K., "Development of Hybrid OCB Beam for the Long-span Building Structures",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 6, No. 3, 2015, pp. 129-138. 

  2. Ahn, H. J., Jung, I. Y., Kim, Y. J., and Hwang, J. S., "Shear Resistance of BESTOBEAM She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Lengt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ol. 27, No. 5, 2015, pp. 483-491. 

  3. An, J. H., and Park, C. S., "A Proposal for Estimating Method of Shear Strength on the Beam-column Joints of Composite Structure with Transverse Beam",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8, No. 1, 2016, pp. 225-232. 

  4. Lee, H. C., Shim, N. J., and Lee, J. I., "Performed Project and Development of ECO-prestressed PC Beam for the Improvement of Connection",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ol. 24, No. 2, 2011, pp. 15-22. 

  5. Lee, H. G., "Study on Self-Weight Red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Beam Capable of Connecting with Steel Structure", MS. Thesis, Korea University, Korea, 2012. 

  6. Seo, E. A.,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Hybrid System Composed of Steel-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 Rigid Joint",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Korea, 2015, p. 28. 

  7. Kim, Y. J., Bae, J. H., Ahn, T. S., Kim, J. W., and Ryu, H. S., "Cyclic Loading Test on Connection of SRC Column-Composite Beam Consisting of H-Section and U-Section Memb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ol. 26, No. 4, 2014, pp. 263-275. 

  8. Yang, K. H., Seo, E. A., and Hong, S. H., "Cyclic Flexural Tests of Hybrid Steel-Precast Concrete Beams with Simple Connection Elements", Engineering Structures, Vol. 118, 2016, pp. 344-356. 

  9. Lee, D. S., Kim, T. K., and Chae, G. B., "The Experimental Study of Full-scale Optimized Composite Beam (OCB) Reinforced with Open Strand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7, No. 5, 2015, pp. 471-480. 

  10. Seo, E. A., Yang, K. H. and Hong, S. H., " Evaluation on Flexural Behavior of Hybrid Beams with Rigid Joint Connecting Steel and Precast Concrete Element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8, No. 1, 2016, pp. 13-21. 

  11. KS F 2405, Method of Test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0. 

  12. KS B 0802, Method of Tensile Test for Metallic Materials,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3. 

  13. P. Paultre, and F. Legeron, "Confinement Reinforcement Design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Vol. 134, No. 5, 2008, pp. 738-749. 

  14. Sheikh, S. A., and Khoury, S. S., "A Performance-based Approach for the Design of Confining Steel in Tied Columns", ACI Structural Journal, Vol. 94, No. 4, 1997, pp. 421-43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