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재 보-PC 보가 강접합 연결된 하이브리드 보의 휨 거동 평가
Evaluation on Flexural Behavior of Hybrid Beams with Rigid Joint Connecting Steel and Precast Concrete Elements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8 no.1, 2016년, pp.13 - 21  

서은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구조융합연구소) ,  양근혁 (경기대학교 플랜트.건축공학과) ,  홍승현 ((주)한주에스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강재 보가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볼트접합 연결되는 기존 하이브리드 접합법의 한계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단순한 강접합 절점을 갖는 하이브리드 PC 콘크리트 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원할한 하중전달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단 고정단의 보 실험체 3개를 반복 집중하중 하에서 실험하였다. 주요 변수는 강재 보의 길이로서 지점에서 변곡점까지의 거리의 0.25, 0.5 및 1.0배로 변하였다. 모든 실험체는 동일 주철근 지수를 갖는 철근콘크리트 보에 비해 높은 변위 연성비를 나타냈는데, 보의 반복하중-처짐 관계 및 연성은 강재 보의 길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보 길이에 따른 연속 변형률 분포 및 붕괴하중에 기반한 극한하중 예측으로부터 제시된 강접합 절점은 구조적 효율성을 갖는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hybrid precast concrete beam system with a simple rigid connection was proposed to compensate the limitations and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bolt connection associated with the H-beams embedded into concrete beams. Three beam specimens with fixed both ends were tested under one-point top cy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보에서 볼트접합 절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강접합 절점상세를 개발하였다. 제시된 강접합 절점상세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의 휨 거동을 양단 고정단의 반복하중 하에서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H0.25 실험체는 정방향하중에 대해 4Δy (17 cycle)에서 압축측 콘크리트의 압괴 및 심각한 박리와 함께 최대내력의 80% 이하로 하중이 저하되면서 실험을 종료하였다.
  • 0 실험체의 강접합 절점은 변곡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절점부근에서의 주철근, L형 강판 및 H형강 플랜지의 변형률은 0에 가까운 반면, 보 경간 중앙에서 주철근의 변형률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H0.25 실험체의 절점영역은 정하중 방향에서는 부 모멘트 영역에 있으며, 부하중 방향에서는 정모멘트 영역으로 존재한다. 이에 따라 절점영역에서의 주철근은 부하중 방향에서 상부 주철근이 항복에 도달하였다.
  • H1.0 실험체의 최종 파괴는 가력점의 압축측 콘크리트의 심각한 파괴(5Δy)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강접합 절점은 변곡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절점에서의 휨 균열은 발생하지 않았다.
  • H1.0 실험체의 휨 균열은 하중이력이 0.75Δy일 때 경간 중앙부에서 발생하였는데, 하중의 증가와 함께 휨 균열 발생영역은 단부방향을 향해 3d 구간까지 분포하였다.
  • 보의 경간 중앙에서 임의의 변형률에 대한 곡률 및 휨 모멘트 내력(M(i))은 수치해석 기법으로부터 결정된 중립축에 대해 각 재료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이용하여 산정될 수 있다. 강재 보 및 주철근의 응력-변형률 관계는 완전 탄소성으로 가정하였으며,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관계는 Yang 등12)의 모델을 이용하였다. 보의 경간 중앙에서 변형률 값의 증 분에 따라 모멘트와 곡률 값을 얻을 수 있으며, 최대 모멘트 값을 단면의 극한모멘트로 결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이브리드 보란? 최근 대공간 구조물에서는 구조적 성능을 확보하면서 공기단축, 원가절감을 위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구조와 강구조를 연결한 하이브리드 보의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이브리드 보는 콘크리트 속에 강재를 매립하거나 강판 거푸집과 콘크리트를 일체화하는 합성의 개념보다는 철근콘크리트 보와 강재 보를 연결하여 두 구조의 장점을 살리는 시스템적 합성이다. 강재 보와 연결되는 콘크리트 보는 공기단축 측면에서 현장타설 보다는 공장 제작의 사용도 점차 고려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보의 볼트접합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은? 이 볼트접합은 크레인의 양중 소요시간 및 다수의 볼트체결 시 볼트구멍 간의 불일치 가능성 등 시공 상의 불리한 요소가 있다. 특히 구조적 거동의 관점에서 콘크리트에 매립된 강재와 콘크리트 사이의 현저한 강성차이로 인하여 심각한 할렬균열 및 역사인장 균열에 의한 내력과 연성저하의 문제가 나타날수 있다.2) 하지만 하이브리드 보의 기존 연구3-5)는 대부분 단순지지 조건에서 수행됨으로서 단부에서의 할렬균열 및 역사인장 균열 문제가 나타나지 않아, 이에 대해 심각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기존 하이브리드 접합법의 한계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것은? 기존의 강재 보가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볼트접합 연결되는 기존 하이브리드 접합법의 한계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단순한 강접합 절점을 갖는 하이브리드 PC 콘크리트 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원할한 하중전달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단 고정단의 보 실험체 3개를 반복 집중하중 하에서 실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oon, J. H., and Oh, Y. H., "Evaluation of Design Method and Shear Transfer Capacity on the Horizontal Interface of PC Composite Beam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25, No.1, 2013, pp.81-90. 

  2. Kim, O. J., Moon, J. H., and Lee, L. H., "Shear Strength of RS Hybrid Steel Beam with Reinforced Concrete End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in Korea, Vol.17, No.5, 2001, pp.27-34. 

  3. Yang, K. H., Oh, M. H., Kim, M. H., and Lee, H. C., "Flexural Behavior of Hybrid Precast Concrete Beams with H-Steel Beams at Both Ends", Engineering Structures, Vol.32, No.9, 2010, pp.2940-2949. 

  4. Roeder, C. W., "Overview of Hybrid and Composite Systems for Seismic Design in the United States", Engineering Structures, Vol.20, No.4, 1998, pp.353-363. 

  5. Kim, S. E., and Nguyen, H. T., "Finite Element Modeling and Analysis of a Hybrid Steel-PSC Beam Connection", Engineering Structures, Vol.32, 2010, pp.2227-2569. 

  6. Yang, K. H.,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and Establishment of Design Guideline of HRC-2 Beams, Technical Report(KCI R 15-002), Korea Concrete Institute, 2014. 

  7. KBC 2009, Korean Building Code, KBC,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9. 

  8. FEMA 356, Prestandard and Commentary for the Seismic Rehabilitation of Buildings, FEMA, Washington DC., 2000. 

  9. Yang, K. H., "Evaluation of Structural Performance and Establishment of Design Guideline of HRC-2 Beams", Technical Report KCI R 15-002, Korea Concrete Institute, 2015. 

  10. Sheikh, S. A., and Khoury, S. S., "A Performance-Based Approach for the Design of Confining Steel in Tied Columns", ACI Structural Journal, Vol.94, No.4, 1997, pp.421-431. 

  11. Mattock, A. H., "Discussion of 'Rotational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Beam' by W. G. Corley", Journal of the Structural Division, ASCE, Vol.94, 1967, pp.519-522. 

  12. Yang, K. H., Mun, J. H., Cho, M. S., and Kang, T. H. K., "A Stress-Strain Model for Various Unconfined Concrete in Compression", ACI Structural Journal, Vol.111, No.4, 2014, pp.819-8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