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리스트레스트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에 대한 부분 프리스트레싱비와 유효 프리스트레스의 영향
Effect of Partial Prestressing Ratio and Effective Prestress on the Flexural Behavior of Prestressed Lightweight Concrete Beams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3 no.1, 2011년, pp.39 - 48  

양근혁 (경기대학교 건축공학과) ,  문주현 (목포대학교 건축공학과) ,  변항용 (고려 E&C)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상부 2점 집중하중을 받는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거동을 부분 프리스트레싱 비와 긴장재의 유효 프리스트레스에 따라 평가하였다. 절건비중 1,770 $kg/m^3$의 경량 콘크리트 설계강도는 35 MPa이었으며, 항복강도 383 MPa의 일반 이형철근과 인장강도 2,040 MPa의 3연선을 각각 주 인장철근과 프리스트레싱 긴장재로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내력은 부분 프리스트레싱 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지만 긴장재의 유효 프리스트레스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동일 휨 보강지수에서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무차원 휨 내력은 Harajli and Naaman 및 Bennet에 의해 실험된 프리텐션 보통중량 콘크리트 보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한편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변위 연성비는 부분 프리스트레싱 비의 감소와 함께 그리고 유효 프리스트레스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하중-변위 관계는 비선형 2차원 해석모델에 의해 적절하게 평가될 수 있었다. 또한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보의 휨 균열 내력 및 최대 휨 내력은 각각 탄성이론 및 ACI 318-08의 등가응력블록과 긴장재의 응력평가 식을 이용하여 안전측에서 예측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investigation evaluates the flexural behavior of pre-tensioned lightweight concrete beams under two-point symmetrical concentrated load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partial prestressing ratio and the effective prestress of prestressing strands. The designed compressive strength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프리스트레스트 경량 콘크리트 단순 보의 휨 내력과 연성을 파악하고, 보통중량 콘크리트 보의 실험 결과에 근거한 설계기준의 적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부 2점 집중하중을 받는 프리텐션 경량 콘크리트 단순 보 6개를 실험하였다.

가설 설정

  • (i, 1)로부터 계산된다. 각 절점에서 작용 전단력이 콘크리트의 전단내력보다 크면 사인장 균열발생을 가정하고 트러스 기구로부터 산정된 부가 모멘트 ∆Msh(i, j)가 Mx(i, j)에 더해진다.
  • 3# 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도 경량 콘크리트의 파괴계수를 0.3# 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휨 부재의 장점은 무엇인가? 프리스트레싱은 콘크리트 휨 부재의 균열과 처짐제어에 매우 효율적이다.4)또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휨 부재는 동일 인장 철근비를 갖는 철근콘크리트 휨 부재에 비해 강성, 사용성 및 내력이 일반적으로 높기 때문에 부재의 단면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는 사용 구조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4)이로 인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는 지속가능 구조시스템의 일환으로 해외에서는 최근에 더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인공 경량골재를 활용한 경량 콘크리트의 장점은 무엇인가? 인공 경량골재를 활용한 경량 콘크리트는 낮은 단위용적중량으로 구조체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부재 응력 감소와 단면의 축소를 통해 콘크리트와 철근 등의 구조재료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1)또한 경량 콘크리트의 낮은 열전도율은 건축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의 효율성을 높여 결과적으로 건축물의 냉·난방을 위한 화석연료에서 방출되는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2)이와 같이 경량 콘크리트는 자원절약 및 온실가스 저감 측면에서 지속가능 재료로 간주되면서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프리스트레스트 경량 콘크리트 보의 안전한 설계를 위해 부재의 휨 거동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그 실험 결과를 설계기준과 비교함으로서 보통중량 콘크리트 보의 실험 결과에 근거한 설계기준의 적용성이 우선 평가될 필요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프리스트레스트 구조는 크게 프리텐션과 포스트텐션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4)이들은 대부분 보통중량 콘크리트를 사용한 구조부재에서 연구5-10)가 진행되었으며, 이들 결과에 기반하여 설계기준11,12)이 작성되었다. 또한 프리스트레스트 보의 휨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보의 최대 내력시 프리스트레스트 텐던의 응력도 보통중량 콘크리트 단순 보의 실험 결과에 기반하여 경험적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프리스트레스트 경량 콘크리트 보의 안전한 설계를 위해서는 부재의 휨 거동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그 실험 결과를 설계기준과 비교함으로서 보통중량 콘크리트 보의 실험 결과에 근거한 설계기준의 적용성이 우선 평가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심재일, 양근혁, “굳지 않은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공기량, 유동성 및 블리딩 특성,”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22권, 4호, 2010, pp. 559-566. 

  2. Kayali, O., “Fly Ash Lightweight Aggregates in High Performance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2, No. 12, 2008, pp. 2393-2399. 

  3. 日本建築學會, 建設工事標準示方書.同解說, JASS 5 鐵筋コンクリ一ト工事, 1997. 

  4. Collins, M. P. and Mitchell, D.,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s, Prentice-Hall, 1991, 766 pp. 

  5. Warwaruk, J., Sozen, M. A., and Siess, C. P., “Investigation of Prestressed Concrete for Highway Bridges, Part III: Strength and Behavior in Flexure of Prestressed Concrete Beams,” Bulletin No. 464, Engineering Experiment S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1962, 105 pp. 

  6. Harajli, M. H. and Naaman, A. E., “Static and Fatigue Tests on Partially Prestressed Beam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 111, No. 7, 1985, pp. 1602-1617. 

  7. Bennett, E. W. and Veerasubramanian, N., “Behavior of Non-Rectangular Beams with Limited Prestress after Flexural Cracking,” ACI Journal, Vol. 69, No. 9, 1972, pp. 533-542. 

  8. Harajli, M. H. and Naaman, A. E., “Evaluation of the Ultimate Steel Stress in Partially Prestressed Flexural Members,” PCI Journal, Vol. 30, No. 5, 1985, pp. 54-81. 

  9. Loov, R. E., “A General Equation for the Steel Stress for Bonded Prestressed Concrete Members,” PCI Journal, Vol. 33, No. 6, 1988, pp. 108-127. 

  10. Skogman, B. C., Tadros, M. K., and Grasmick, R., “Flexural Strength of Prestressed Concrete Members,” PCI Journal, Vol. 33, No. 5, 1988, pp. 96-123. 

  11. ACI Committee 31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08) and Commentary (ACI 318R-08), American Concrete Institute, Farmington Hills, MI, 2008, 473 pp. 

  12. The European Standard EN 1992-1-1: 2004. Eurocode 2: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UK, 2004, 225 pp. 

  13. 양근혁, 문주현, 변항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휨거동에 대한 비선형 해석,”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권, 1호, 2009, pp. 255-258. 

  14. ASTM A 416, Standard Specification for Steel Strand, Uncoated Seven-Wire for Prestressed Concrete,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1996, pp. 572-575. 

  15. Alkhairi, F. M. and Naaman, A. E., “Analysis of Beams Prestressed with Unbonded Internal or External Tendon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ASCE, Vol. 119, No. 9, 1993, pp. 2680-2700. 

  16. Park, R. and Paulay, T.,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Wiley Interscience, 1975, 769 pp. 

  17. Yang, K. H. and Kang, T. H.-K., “Equivalent Strain Distribution Factor for Unbonded Tendon Stress at Ultimate,” ACI Structural Journal, Accepted for Publication, 2010. 

  18. MacGregor, J. G. and Wight, J., Reinforced Concrete: Mechanics and Design, Prentice-Hall, 2005, 1111 pp. 

  19. Thorenfeldt, E., Tomaszewicz, A., and Jensen, J. J.,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and Application to Design,”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Utilization of High-Strength Concrete, 1987, pp. 149-159. 

  20. Slate, F. O., Nilson, A. H., and Martinez, S.,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ACI Journal, Vol. 83, No. 4, 1986, pp. 606-613. 

  21. Wang, P. T., “Complete Stress-Strain Curve of Concrete and its Effect on Ductility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PhD thesis, University of Illinois, 1977, 257 pp. 

  22. Menegotto, M. and Pinto, P. E., “Method of Analysis for Cyclically Loaded Reinforced Concrete Plane Frames,” IABSE Preliminary Report for Symposium on Resistance and Ultimate Deformability of Structures Acted on by Well-Defined Repeated Loads, 1973, pp. 15-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