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회도서관 전시·교육프로그램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라키비움 운영모델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Exhibition and Education Program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Focusing on Larchiveum Model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1 no.1, 2017년, pp.201 - 226  

박옥남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희진 (한성대학교 응용인문학부 문헌정보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회도서관은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융합한 라키비움 모델을 실현함으로써 정보융합시대에 부응하며 국회 및 의회민주주의에 대한 대국민 교육과 전시 기능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회도서관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라키비움 운영모델을 기반으로 한 전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하여 국내외 의회도서관, 기록관, 복합문화기관, GLAM 프로젝트의 사례를 조사하고, 국회도서관의 정체성에 부합되는 라키비움 기반 전시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its institutions need an integrated exhibition and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provide all types of information resources which they produce, manage and preserve as part of history and evidence of democracy.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exhibition and educati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 도서관은 어떤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가? 전통적인 정보제공기관으로의 역할이 강조되었던 도서관은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 및 여가 시간의 확대에 따라 문화적 갈등을 해소시킬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이 강조된다. 현대 도서관은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정보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 사회 시민의 문화적 요구를 해소시켜주고 이들의 여가생활 및 생활편의를 지원함으로써 지역발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보, 문화, 교육이 공존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 많은 국가도서관 및 공공도서관들이 전시, 교육 등의 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 제공하고 있다.
도서관의 역할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가? 전통적인 정보제공기관으로의 역할이 강조되었던 도서관은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 및 여가 시간의 확대에 따라 문화적 갈등을 해소시킬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이 강조된다. 현대 도서관은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정보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 사회 시민의 문화적 요구를 해소시켜주고 이들의 여가생활 및 생활편의를 지원함으로써 지역발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보, 문화, 교육이 공존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현대 도서관이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음에 따라 국가도서관 및 공공도서관들이 진행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현대 도서관은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정보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 사회 시민의 문화적 요구를 해소시켜주고 이들의 여가생활 및 생활편의를 지원함으로써 지역발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보, 문화, 교육이 공존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 많은 국가도서관 및 공공도서관들이 전시, 교육 등의 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 제공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권기창. 2014. 라키비움 개념분석에 따른 세계유교문호박물관 필요기능 분석.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47: 129-138.(Kwon, Gi-Chang. 2014. "A Study on the Need Functions of World Confucianism Cultural Museu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Larchiveum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47: 129-138.) 

  2. 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15.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online] [cited 2016. 12. 23.] (Asia Culture Center. 2015. Asia Culture Center. Gwangju: Asia Culture Center. [online] [cited 2016. 12. 23.] ) 

  3. 김유승. 2012. 국회 라키비움의 전망에 관한 연구: 기억기관 협력 정책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93-115.(Kim, You-Seung. 2012. "A Study on Perspectives of the National Assembly Larchiveum: Focused on Discussion about Collaborative Strategies of Memory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2): 93-115.) 

  4. 배성중, 배삼열, 김용. 2014. 소규모대학교에서의 라키비움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63-97.(Bae, Sung-Jung, Bae, Sam-Yeol and Kim, Yong. 2014. "A Study o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Larchiveum in a Small Univers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4(4): 63-97.) 

  5. 한국문화정보원. 2016. 스마트글램코리아. 서울: 한국문화정보원. [online] [cited 2016. 12. 23.] (Korea Culture Information Service Agency. 2016. Smart GLAM Korea. Seoul: Korea Culture Information Service Agency. [online] [cited 2016. 12. 23.] ) 

  6. 오정훈, 이응봉. 2014. 전문도서관 라키비움 구축에 관한 연구: 원자력 라키비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2): 229-246.(Oh, Jeong-Hoon and Lee, Eung-Bong. 2014.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Larchiveum of Specialized Library: Focused on Atomic Larchiveum." Journal of Social Science, 25(2): 229-246.) 

  7. 유동환. 2015. 인문지식 기반 창작소재 서비스 모델 연구. 인문콘텐츠, 36: 15-37.(Yoo, Dong-Hwan. 2015. "A Study on Service Models for Humanities Knowledge-Based Creative Materials." Humanities Contents, 36: 15-37.) 

  8. 이명호, 오삼균, 도슬기. 2015. 라키비움(Larchiveum) 관점에서 본 국내 문학관의 운영실태와 과제: 국내 문학관의 기능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139-159.(Yi, Myongho, Oh, Sam-Gyun and Do, Seulki. 2015. "A Study on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House: Larchiveum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139-159.) 

  9. 이미경. 2014. 라키비움 도입과 실현. 국회도서관, 51(5): 14-23.(Lee, Mi-Kyung. 2014. "Introduction and Realization of Larchiveum."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 51(5): 14-23.) 

  10. 이숙경. 2007. 대통령기록관 전시.교육프로그램 사례연구 및 운영방안. 기록인(IN), 1: 142-155.(Lee, Sook Kyung. 2007. "A Plan for Managing Exhibition & Education Programs in Presidental Aarchives." GirokIN, 1: 142-155.) 

  11. 이재나, 유현경, 김건. 2015.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대통령기록관 전시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3): 87-114.(Lee, Jae-Na, Yoo, Hyeon-Gyeong and Kim, Geon. 2015. "A Study on Exhibition of Presidential Archives Using Storytell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5(3): 87-114.) 

  12. 장효정 외. 2015. 집단탐구(GI)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한 대통령 기록관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3): 51-81.(Jang, Hyo-Jeong et al. 2015. "A Study on Development of Experience Education Model Based on GI Cooperative Learning in the Presidential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6(3): 51-81.) 

  13. 조현양 외. 2015. 도서관에서의 라키비움 실현을 위한 제도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Cho, Hung Yang et al. 2015. The Study of Policies for Larchiveum in Libraries.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14. 최영실, 이해영. 2012.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을 융합한 라키비움의 기능 계획.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457-477.(Choi, Youngsil and Lee, Hae-young. 2012. "Functional Planning of Larchiveum that Integrates the Functions of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4): 457-477.) 

  15. Europeana Foundation. [n.d.]. Europeana Labs. Haag: Europeana Foundation. [online] [cited 2016. 12. 23.] 

  16. Franklin D. Roosevelt Presidential Library & Museum. [n.d.]. FDR Library. Hyde Park, NY: Franklin D. Roosevelt Presidential Libdrary & Museum. [online] [cited 2016. 12. 23.] 

  17. George Bush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n.d.]. George Bush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College Station, TX: George Bush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online] [cited 2016. 12. 25.] 

  18. Gerald Ford Presidential Foundation. [n.d.]. Gerald R. Ford Presidential Library & Museum. Grand Rapids, MI: Gerald R. Ford Presidential Library. [online] [cited 2016. 12. 20.] 

  19. John F. Kennedy Library Foundation. [n.d.]. John F. Kennedy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Boston, MA: John. F. Kennedy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online] [cited 2016. 12. 23.] 

  20. Library of Congress. [n.d.]. Library of Congress. Washington, DC: Library of Congress. [online] [cited 2016. 12. 15.]. 

  21.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d.]. National Archives. College Park, MD: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online] [cited 2016. 12. 20.] 

  22. The Ronald Reagan Presidential Foundation and Institute. [n.d.]. Ronald Reagan Presidential Library and Museum. Simi Valley, CA: The Ronald Reagan Presidential Foundation and Institute. [online] [cited 2016. 12. 25.] 

  23. Trumen Library Institute. [n.d.]. Harry S. Truman Library and Museum. Independence, MO: Harry S. Truman Library and Museum. [online] [cited 2016. 12. 25.] 

  24. 國立國會?書館. 2012. 國立國會?書館. 東京: 國立國會?書館. [online] [cited 2016. 12. 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