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을 융합한 라키비움의 기능 계획
Functional Planning of Larchiveum that Integrates the Functions of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3 no.4, 2012년, pp.457 - 477  

최영실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정보학) ,  이해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해외에서 대표적인 기록관과 도서관이 통합되거나 협력하는 사례가 늘면서,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 등 문화정보기관의 통합과 복합정보서비스에 대한 연구와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다. 동시에 국내에서는 지방기록관의 시설이 열악한 현실에서, 박물관의 콘텐츠 확충을 위한 고민과 도서관 기능의 다양화를 위한 시도는 이들 기관들을 통합한 문화정보센터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기록관과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을 통합한 '라키비움'의 개념이 제시되고, 국내에서도 라키비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실제 라키비움이 현실화된 바는 없으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실현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적 특성과 요건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라키비움의 기능 요건을 설정하여 공간 기획을 위한 기능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이의 절차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cases of merging and cooperation of archives and libraries increase abroad, research and discussions about integration of complex information services among information centers, such as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started to emerge. In a similar vein, the need for integrated cultural in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라키비움과 관련된 연구는 초기에는 통합적 기록관리 방법론을 중심으로 제안되다가, 차츰 문화예술, 기상, 행정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통섭(統攝)적이고 대안적인 문화정보기관에 대한 제안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를 보다 현실화하기 위한 전문적인 연구 방법론으로 기능과 조직 및 공간 등 인프라 구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므로 이러한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 핵심 기능과 중복 기능이 라키비움에서 하나의 기능으로 통합될 때에는 핵심 기능이 요구하는 시설, 장비 및 인력 등에 기반하고, 중복 기능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라키비움에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라키비움의 서비스 기능의 요건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에서 이행하고 있는 이용자 서비스의 특성을 파악하여 지식정보 진흥의 기능과 문화적 이용확장서비스의 기능으로 범주화하고, 이에 상응하는 기능 요건을 파악한다. 이 과정은 <그림 2>와 같다.
  • 본 연구는 라키비움이 문화적 복합기관으로서 조직과 기능을 이루기까지 기록관과 도서관, 그리고 박물관의 구성 요소를 유기적으로 융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 요건을 비교 · 분석하고 이에 기반하여 기능 계획을 도출하는 절차를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세계적인 문화정보기관의 복합화 추세를 반영하는 동시에 이용자에 대한 적극적인 서비스 요구에 부응하는 효율적인 기관의 기능 모형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더불어 현재 국내 도서관, 박물관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모색과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데에서 또 중요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과 도서관, 그리고 박물관의 복합 기능 분석을 통해 라키비움의 기능요건을 설정하고 각 기관의 기능들을 수렴하여 라키비움의 기능을 계획하여 설계하기 위한 단계별 절차를 제안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먼저 국립국악원(2010)은 국악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해서 라키비움의 개념을 반영하여, 기존의 아카이브, 자료실, 박물관으로 분산되었던 ‘조직별 직무 설계’를 ‘업무 프로세스 중심의 직무 설계’로 재조정하여 제시하였다. 여기서는 국악아카이브의 구축을 위하여 라키비움과 같은 통합적 기능에 근거한 조직과 공간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 이들 기관은 업무 행태와 절차, 대상 정보자원의 종류 및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나, 또 세부적인 항목을 살펴보면 공통적인 업무 요소 또한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는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을 비교하고 각 기관 고유의 핵심업무와 공통 업무를 분석하여 라키비움의 공간기획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 이 장에서는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관별 기능 요건을 비교 ·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차후 라키비움의 기능 요건에 유기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본 연구는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복합 기능을 구현한 라키비움의 기능 요건을 설정하여, 라키비움의 기능 계획을 위한 틀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먼저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 각각의 기능들을 확인하고 비교 · 분석하여 기관별 핵심 기능과 공통 기능을 도출하고, 이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라키비움의 기능 요건을 설정하는 일련의 단계로 진행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국 박물관도서 관기록관위원회는 무엇을 위해 설립되었었나? 또한 2011년 해체되었지만, 영국 박물관도서 관기록관위원회(Museum, Libraries and Archives Council, 이하 ‘MLA’)도 2000년에 기존의 박물관미술관위원회(MGC)와 도서관정보 위원회(LIC)가 합병되고 기록관 업무를 추가 하여, 박물관, 도서관, 기록관을 담당하는 정부 기관으로 설립되었었다. 2) MLA는 10여 년 간영국의 박물관, 도서관, 기록관의 협동 사업을장려했으며, 영국 뿐 아니라 유럽의 문화정보기관 협력 서비스를 선도한 사례로 주목받았다.
캐나다의 문화정보기관 간의 협력 사례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들 기관 간의 협력은 조직의 완전 통합과 정책적인 부분 협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예를 들면 캐나다의 LAC(Library and Archives Canada) 는 캐나다국립도서관(the National Library of Canada)과 국립기록관(the National Library and Archives of Canada)이 통합된 대표적인 국가 지식정보기관으로 2004년 창설되었으며, 캐나다 정부 산하 도서관 및 기록관과 관련 기관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LAC는 정부와 정부산하 기관의 도서와 기록을 보존하고 활용을 도모하며 캐나다의 문헌유산(documentary heritage)을 전파한다는 사명을 가지고 있다.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 등 문화정보기관이 하나로 통함되야 한다고 보는 이유는? 이에 부응하여 국외 몇몇 기록관과 도서관 등은 이미 기관 간 통합을 이루 었고, 이러한 추세는 문화정보기관들이 이용자들에 대한 서비스를 우선시하는 고객 중심의 경영을 지향함에 따라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박물관이 난립하고(한겨레 2008), 기록관은 부족하며 공공도서관은 기능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어, 이러한 추세가 시사하는 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은 지방의 광역자체단체가 지방 기록물관리기 관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독립된 기관으로 건립된 사례는 없으며, 반면 지방 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박물관은 2011년 말 현재 319개에 이르고 있고(문화체육관광부 2011)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소장 박물과 콘텐츠는 빈약한 실정이다. 한편 공공도서관들은 다양한 서비스 도입과 지역주민 친화 등을 통해 고객 중심의 경영을 추구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도서 관이 독서실의 기능에서 벗어나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제1장 제3조(정의). 

  2. 국립국악원. 2010. 국악아카이브 구축 전략 수립 연구. 서울: 국립국악원. 연구보고. 

  3. 국립예술자료원. 2010. 예술자료관리 전문화방안 연구. 서울: 국립예술자료원. 연구보고. 

  4. 국회도서관. 2010. 의정활동 관련 기록 통합관리 기본계획 수립. 서울: 국회도서관. 연구보고. 

  5. 권남익. 1996.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6. 김용원. 2007. 도서관 기능의 재구성을 통한 프로그램 복합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7. 김유승. 2012a. 문화유산기관의 협력정책에 관한 연구 - 국회 라키비움에 대한 전망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 한국기록관리학회 2012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2012년 5월. 서울: 한국비블리아학회, 한국기록관리학회. 

  8. 김유승. 2012b. 국회 라키비움의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93-115. 

  9. 김익한. 2004. 기록관리를 기반으로 한 통합형지식관리시스템 구축 방향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1(1): 153-167. 

  10. 김익한. 2011. 대통령기록관이 추구해야할 그랜드디자인. 대통령기록관 발전방안 세미나. 2011년 6월 15일. 서울: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11. 김진호. 2009. 어린이박물관의 전시공간 규모산정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2. 김형석. 2008. 기초자치단체의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설치모형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13. 김홍렬. 2004.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및 교육적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2): 339-360. 

  14. 나원경. 2010. 박물관 업무의 특성을 반영한 기록정보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15. 대통령기록관 세종시 신설 공간 구성. [online]. [cited 2012.10.29]. . 

  16.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2010a. 라이브러리파크 공간구성 및 전시개념설계 - 아시아문화정보원 상세업무프로 세스 및 매뉴얼 개발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연구보고. 

  17.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2010b. 아시아문화정보원 상세 업무프로세스 및 매뉴얼 개발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아시아문화중심도 시추진단. 연구보고. 

  18. 문화체육관광부. 2011. 2011 전국문화기반시설 총람.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19. 박성진. 2008. 근대 공문서 소장 현황과 협력 과제: 박물관?기록관?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75-88. 

  20. 박재용, 조윤희. 2004. 도서관/박물관 협력체제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2): 315-333. 

  21. 박찬승. 2000. 외국의 지방기록관과 한국의 지방기록자료관 설립방향. 기록학연구, 창간호: 107-135. 

  22. 박형식. 2010. 평생교육기능 확대를 위한 박물관내 문화시설 운영 체제.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3. 배진희. 2004. 문화관광자원의 결합을 통한 지역박물관 활성화 방안 - 여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4. 병무청. 2010. 병무행정기록전시관 스토리보드 연구용역 . 서울: 병무청. 연구보고. 

  25. 서은경, 정경희, 최상희. 2006.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 활용 및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1): 65-92. 

  26. 서혜란. 2005a. 기록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도서관과 기록관의 협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6(2): 25-41. 

  27. 서혜란. 2005b. 도서관과 기록관의 협력방안 모색. 한국비블리아 발표논집, 13: 111-129. 

  28. 안자영. 2008. 지방기록물관리기관 공동 설치모형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9. 윤희윤. 2008. 대학도서관경영론. 서울: 태일사 

  30. 이보아. 2001. 박물관학 개론. 서울: 김영사. 

  31. 이승근. 2010. 지역사회 정보화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대학원. 

  32. 이승휘. 2010. 국회기록보존소의 역할과 위상확립. 제1회 국회기록보존소 발전전략세미나. 2010년 8월 24일. 서울: 국회도서관. 

  33. 이영학. 2010. 기록문화와 지방자치. 제10회 한국기록학회 심포지엄 자료집 지방의 기록관리와 기록문화운동. 2010년 6월 11일 서울: 한국기록학회. 

  34. 장우권. 2009.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콘텐츠의 관리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271-292. 

  35. 장혜란, 이명희. 2008.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을 위한 이용자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3): 321-338. 

  36. 전현수. 2004. 지방기록보존소 설치운동과 대학의 역할. 영남학, 6: 219-245. 

  37. 전홍필. 2009. 아카이브의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38. 정동열, 조찬식. 2007. 문헌정보학총론.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39. 정종기. 2001. 지역사회개발 측면에서 노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개발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1): 53-71. 

  40. 정현우. 2010. 기록물관리기관의 전시교육서비스 제공방안.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41. 조윤희. 2008. 정보자원 공유를 위한 문화유산 기관 협력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2): 5-21. 

  42. 조정임. 2011. 대중음악 기록관의 구축과 기록관리.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 전공. 

  43. 지수걸. 2009.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방향과 방법. 기록관리법 10년 한국기록관리의 현황과 전망- 제9회 한국기록학회 학술심포지움. 2009년 4월 3일. 서울: 한국기록학회. 

  44. 최영실. 2012.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 융합에 의거한 라키비움 공간 기획 연구.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45. 최재희. 2008. 국가차원의 문화유산기관 협력체 구성사례 및 시사점: 영국 MLA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2): 61-74. 

  46. 한겨레신문. 2008. '일단 짓고보자' ... 콘텐츠 없는 박물관 난립. 8월 10일. 

  47. 한국기상기후아카데미. 2010. 기상업무 연구개발사업 과제발굴연구회 운영사업 기술기획보고서. 서울: 한국기상기후아카데미. 

  48.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편람 편찬위원회. 2009. 도서관편람. 서울: 도서관협회. 

  49. 한국문화정책개발연구원. 1995. 공공도서관의 문화적 기능 활성화 방안. 서울: 동연구원. 연구보고 

  50. 황금숙. 2008. 도서관에서의 통합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3): 73-94. 

  51. Ambrose, Timothy and Crispin Paine. 1993. Museum Basics. 이보아 옮김. 2001. 실무자를 위한 박물관 경영 핸드북 서울: 학고재. 

  52. Cox, Richard J. 1992. Managing Institutional Archives: Foundational Principle and Practices. New York: Greenwood Press 

  53. Dupont, Christian. 2007.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in the Twenty-First Century: Intersecting Missions, Converging Futures?" Rare Books and Manuscripts Section(RBMS), 8(1): 13-19. 

  54. Kuzyk, Raya. 2008. LJ Talks to Megan Winget, Who Studies Preservation of Online Games. Library Journal. 07/30/2008 [online]. [cited 2011.12.3]. . 

  55.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ICA). 2002. 기록보존소의 기록관리. 오향녕 옮김. 서울: 진리탐구. 

  56. Library and Archives Canada. [online]. [cited 2012.11.29]. . 

  57. Marty, Paul F. 2009. "An Introduction to Digital Convergence: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in the Information Age."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24(4): 295-298. 

  58. Museum, Libraries and Archives Council. [online]. [cited 2012.10.11]. . 

  59. Pugh, Mary Jo. 1992. Providing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 설문원 옮김. 2004. 기록정보서비스. 서울: 진리탐구. 

  60. Rayward, W. B. 1998. "Electronic Information and the Functional Integration of Libraries, Museums and Archives." In: Higgs E. History and Electronic Artefacts, 207-226. 

  61. RLG. 2005. Libraries, Archives, & Museums - Three-Ring Circus, One Big Show?. RLG Members Forum. The Minnesota Historical Society in St. Paul, on July 12-14, 2005. New York: RLG. 

  62. Yarrow, Alexandra, Barbara Clubb, and Jennifer-Lynn Draper. 2008. Public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Trends in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IFLA Headquarters (IFLA Professional Reports No. 108) 

  63. Zorich, Diane, Gunter Waibel, and Ricky Erway. 2008. Beyond the Silos of the LAMs: Collaboration Among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OCLC Programs and Research. Dublin, Ohi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