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정서명확성과 모성정체성 및 태아애착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Clarity, Maternal Identity, and 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3 no.2, 2017년, pp.99 - 108  

이수민 (분당차병원) ,  박혜자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clarity in emotional intelligence, maternal identity, and fetal attachment to measure how emotional clarity and maternal identity impact on fetal attachment and to determin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identity in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를 대상으로 정서명확성과  성정체성 및 태아애착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정서명확성이 모성정체성의 매개효과를 통해서 태아애착으로 연결되는지 확인함으로써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정서지능과 모성정체성 및 태아애착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임신성 당뇨병 정서지능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설계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정서명확성과 모성정체성 및 태아애착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정서명확성과 태아 애착의 관계에서 모성정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성 당뇨병이란 무엇인가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중에 발생하는 호르몬 변화와 관련되어 임신 20주 이후 당뇨병이 없던 여성에서 당뇨병이 처음 발견되는 임신 합병증으로[1] 우리나라의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은 2009년 5.7%에서 2011년 9.
정서명확성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정서의 명확한 인식, 정서에 대한 주의, 정서 개선의 3가지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는 정서지능에서 정서명확성은 자기 자신의 기분과 정서를 인식하고 자신이 경험하는 감정을 명확하게 범주화하고 명명할 수 있는 능력으로[13,14]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잘 대처하여 정서적응에 중요한 역 을 하는 요인이다[15]. 정서를 명확히 알수록 안정애착 수준이 높아지고 부정적인 정서가 종결되며 긍정적인 정서 상태 지 속에 효과적이었다[16]. 또한 제 1형 당뇨병 환자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혈당조절이 양호했으며[17]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적용한 정서지능 프로그램은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삶의 질, 안녕감, 정서지능이 증진되는 효과를 보였다[18].
임신성 당뇨병의 진단시점에서 어떤 부정적인 문제가 나타나는가 우리나라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95% 이상이 혈당강하약물치료 없이 생활양식 조절을 통해 자가 혈당관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2] 임신성 당뇨병 임부는 진단시점부터 태아와 분만 후 산모의 당뇨병 발병 예방을 목표로 가능한 빨리 적극적으로 혈당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1]. 그러나 임신성 당뇨병 임부는 특히 진단시점에서 높은 불안을 경험하고[4] 건 강지각이 낮으며 태아건강에 대한 염려가 매우 높아 임신성 당뇨병 진단시점의 부정적인 정서가 문제가 되고 있다[5].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부정적인 정서는 당대사조절 감소, 약물요법과 식이요법 이행감소, 삶의 질 감소 및 건강관리비용을 높이는 요인일 뿐 아니라[6] 태아와 임부 자신의 산전관리에 집중할 수 없어 모성역할적응의 중요한 지표인 모성정체성 획득을 저해할 수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5. 244 p. 

  2. Koo BK, Lee JH, Kim J, Jang EJ, Lee CH. Preval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 Korea: A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study. PLoS One. 2016;11(4):e0153107. 

  3. Kang HS, Lee HJ, Hyun MS. Trends in diabetes mellitus during pregnancy: Prevalence and health care utiliz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0;14(2):170-180. 

  4. Daniells S, Grenyer BF, Davis WS, Coleman KJ, Burgess JA, Moses RG.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s a diagnos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maternal anxiety and stress in the short and intermediate term? Diabetes Care. 2003;26(2):385-389. 

  5. Rumbold AR, Crowther CA. Women's experiences of being screened fo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02;42(2):131-137. 

  6. Lustman PJ, Clouse RE. Depression in diabetic pati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mood and glycemic control.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2005;19(2):113-122. 

  7. Kim H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ntegrated selfmanagement program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3;17(1):1-14. 

  8. Baghdari N, Sahebzad ES, Kheirkhah M, Azmoude E. The effects of pregnancy-adaptation training on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adaptation in pregnant women with a history of baby loss. Nursing and Midwifery Studies. 2016;21;5(2):e28949. 

  9. Kwon MK, Bang KS.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2):276-283. 

  10. Mercer RT. Maternal role attainment: Becoming a mother. In: Tomey AM, Alligood MR, editors. Nursing theorists and their work. 5th ed. London: Mosby; 2002. p. 465-476. 

  11. Shin H, Park YJ, Ryu H, Seomun GA. Maternal sensitivity: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64(3):304-314. 

  12. Rasmussen B, Hendrieckx C, Clarke B, Botti M, Dunning T, Jenkins A, et al. Psychosocial issues of women with type 1 diabetes transitioning to motherhood: A structured literature review.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13;23(13):218. 

  13. Salovey P, Mayer JD, Goldman SL, Turvey C, Palfai TP.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In: Pennebaker JW, editor.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5. p. 125-154. 

  14. Lee SJ, Lee HK. The research on the validation of the trait metamood scale: The domain explor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997;11(1):95-116. 

  15. Goldman SL, Kraemer DT, Salovey P. Beliefs about mood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stress to illness and symptom reporting.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996;41(2):115-128. 

  16. Kim MH, Hahm JS, Lee JH.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emotional awareness: Focused on emotional clarity and repair.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08;10(6):3145-3156. 

  17. Zysberg L, Yosel TB, Goldman M. Emotional intelligence and glycemic management among type I diabetes patient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7;22(2):158-163. 

  18. Yalcin BM, Karahan TF, Ozcelik M, Igde FA. The effects of an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on the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Diabetes Educator. 2008;34(6):1013-1024. 

  19. Maher H, Winston CN, S UR. What it feels like to be me: Linking emotional intelligence, identity, and intimacy. Journal of Adolescence. 2017;56:162-165. 

  20. Kim HW, Hong KJ. Development of a maternal identity scale for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6;26(3):531-543. 

  21. Chang SB, Kim KY, Kim ES. Change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self-efficacy for delivery after Taegyo-perspective parental clas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1;7(1):7-17. 

  22.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1182. 

  23. Park JE. Effective education strategies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Diabetes. 2012;13(3):148-151. 

  24. Kim HS, Kim S. Effects of an integrated self-management program on self-management, glycemic control, and maternal identity i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1):69-80. 

  25. Son HJ, Park JS. Relationship between preterm labor stress, fetal attachment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in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18(1):86-96. 

  26. Devsam BU, Bogossian FE, Peacock AS. An interpretive review of women's experiences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Proposing a framework to enhance midwifery assessment. Women and Birth. 2013;26(2):e69-76. 

  27. Yarcheski A, Mahon NE, Yarcheski TJ, Hanks MM, Cannella BL. A meta-analytic study of predictor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 (5):708-715. 

  28. Im JO, Jang SS.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clarity,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2003;15(2): 259-275. 

  29. Yang KM, Kim SL. Effects of a Taegyo program on parent-fetal attachment and parenthood in first pregnancy coup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4):571-579. 

  30. Baek ES, Park HJ. Effects of a case manag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anxiety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2):88-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