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간의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n Public Data Usage in Private Business Secto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6, 2017년, pp.9 - 17  

차영일 (숭실대학교 IT정책경영학과) ,  최성규 (숭실대학교 IT정책경영학과) ,  한경석 (숭실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데이터 개방은 국가의 흥망을 결정하는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에 경제 활성화에 고심하고 있는 각국 정부는 높은 경제적 효과를 창출하고자 신경제 성장 동력으로 공동데이터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전파되고 있는 공공데이터 민간 활용은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실현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신경제 성장 동력으로 인식됨으로, 민간의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시도했다. 첫째, 공공데이터를 사용할 의사에 대한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정보 보안, 사회적 영향, 공공 기관의 혁신 및 지원과 같은 독립 변수의 영향을 조사했다. 둘째, 독립적인 변수와 사용 의도(종속 변수)에 대한 중재 변수인 인지된 사용용이성(PEU)과 인지된 유용성(PU)의 영향을 조사했다. 셋째, 활용 유형, 공공데이터 이용 빈도, 중재 변수로서의 직업 및 전자 정부 서비스 이용 빈도를 선정하여 독립변수와 종속 변수(민간 부문에서의 이용 의도)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공공데이터 서비스를 활용하기 위한 전략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pening of public data has been perceived as a critical factor in deciding a country's rise or fall. Since the global economic crisis, countries around the globe have expanded the supply of public data as a new growth engine to create significant economic effect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H1-1: 시스템 품질이 높을수록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정보 품질이 높을수록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정보 보안이 강화될수록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사회적 영향이 높을수록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5: 혁신성이 높을수록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6: 공공 조직지원이 강화될수록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 공공데이터 활용의 서비스 품질은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 공공데이터 활용의 이용 특성은 인지된 사용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시스템 품질이 높을수록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정보 품질이 높을수록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3: 정보 보안이 강화될수록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4: 사회적 영향이 높을수록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5: 혁신성이 높을수록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6: 공공 조직지원이 강화될수록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공공데이터 활용의 서비스 품질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공공데이터 활용의 이용 특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공공데이터 활용에 대한 인지된 사용용이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공공데이터 활용에 대한 인지된 사용용이성은 민간의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공공데이터 활용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은 민간의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데이터의 특징은? 공공기관은 교통, 기상, 지리, 경제, 재난안전등의 공공데이터부터 역사적 문서 및 기록에 이르기까지 풍부한 공공데이터를 생산하며, 보유하고 있다. 공공데이터는 민간이 생산하는 데이터보다 훨씬 광범위하며,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이다. 그럼에도 현재 시행중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기 이전까지 직접적으로 공공데이터로 지칭한 용어나 정의는 미약했으며, 정보와 행정정보와 지식자원정보와 공공정보 및 기록물 등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고 있었다[7].
공공데이터 공개 목적은 무엇인가? 국내의 공공데이터 공개는 공개, 공유, 소통, 협력의 가치를 정부운영의 핵심가치로 여기는 ‘정부 3.0’이라는 정책변화에서 시작되었으며, 공개의 목적은 투명성, 실효성, 효용성 등을 충족하는 국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일자리 창출과 창조경제를 지원한다는 측면에서 주목할 부분이다. 기존에 공개된 공고데이터는 통계나 문서 위주로 가치가 제한적이었으나 최근 오픈된 공공데이터의 경우 개방범위를 대폭 확대하여 민간의 활용 가치를 향상시키고 있다[2].
국내의 공공데이터를 손쉽게 볼 수 있는 곳은 어디인가? 공공데이터포털(https://www.data.go.kr)'은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공공정보를 국민에게 개방하여 이를 편리하고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안전행정부를 중심으로 공공데이터 개방의 창구를 일원화한 것이다[16]. 공공정보 개방과 활용에서 우선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은 투명성 제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im, M, Y. "The Core Module, "Viz-Data" of the User Interface Platform using the Public Data." Th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 pp.75-82, 2016. 

  2. Kim, M, Y. Seo, D, S. "An Analysis of the Public Data for Making the Ambient Intelligent Service", Th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2, pp. 313-321, 2014. 

  3. Kim, D, G, Joo, W ,K,. Kim, E, J, and Lee, Y, H. "A Case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Design for Public Sector Information Typology". Th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4, pp. 51-68, 2014. 

  4. Min, H. H. and Hwang, G, H. "The effect of Privacy Factors on the Provision Intention of Information from the SNS Users", Th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2, pp. 1-12, 2016. 

  5. Park, G, E, and Kim, C, J, "Quality Characteristic of Public Open Data", Th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0, pp. 135-146, 2015. 

  6. Kim, S, W, "Administration Process Extension and Public Data Convergence Management". Th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5, pp.41-49, 2015. 

  7. Jung, G, H. Moon, J ,W., Lee, S, J. Rue, J, Y., Han, E, Y., Wang, J, S. and Seo, H, J. "A Study on Evaluation Model for Public Data Opening and Utiliz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KISDI, 2013. 

  8. Vickery and Graham "Review of recent studies on PSI re-use and related market developments, Information Economics". Paris, 2011 

  9. Kim, Y .M. "A Study on plan for promoting innovation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sharing". Th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4, pp.43-49, 2014. 

  10. Kang, D, S,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User Satisfaction of E-Government Services". PHD.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2000. 

  11. Kim, J, W, "A Study on the Current Legal Issues of the Re-Use of the Public Sector Data in Korea". Lawyers Association Journal. Vol.63 No.4 pp.5-45, 2014. 

  12. Seo, H, J, "Policy Alternatives for User-oriented Public Data Utiliz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s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Vol. 17, No, 3, 2014. 

  13. Song, H, J. "Seeking Strategies for Local Governments to Prepare for Public Data Act". Journal of Korean Associas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Vol, 17, No, 2, 2014. 

  14. Kim, H, C, "A Study on Public Data Quality Factors Affecting the Confidence of the Public Data Open Policy", PHD.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2015 

  15. Gwon, Y, M. "A Study on the Effects of Quality of e-Government Services on the Trust of Government in the Era of Government 3.0", PHD,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2014. 

  16. DOI: http://www.data.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