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육추출가공품 중 갈비탕에서의 Staphylococcus aureus 성장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odel describing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in processed meat product galbitang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3, 2017년, pp.274 - 278  

손나리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미생물과) ,  김안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미생물과) ,  최원석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미생물과) ,  윤상현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미생물과) ,  서수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미생물과) ,  주인선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미생물과) ,  김순한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미생물과) ,  곽효선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미생물과) ,  조준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식품위해평가부 미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축산물에 대하여 쉽게 오염될 수 있는 S. aureus에 대해 축산제품에 속하는 식육추출가공품 중 갈비탕에 대해 식중독 예방과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Baranyi model을 이용하여 성장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DMFi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 aureus의 유도기(LPD)와 최대성장률(${\mu}_{max}$, maximum specific growth rate)을 산출하였다. S. aureus의 성장곡선은 4, 10, 20, $37^{\circ}C$의 보관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Baranyi model의 LPD의 값은 4, 10, 20, $37^{\circ}C$의 저장 온도에서 각각 256.04, 152.60, 5.41, 3.78 h으로 온도에 반비례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u}_{max}$의 값은 4, 10, 20, $37^{\circ}C$의 저장 온도에서 각각 0.003, 0.007, 0.258, $0.528logCFU/g{\cdot}h$으로 온도에 비례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차식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R^2$ 값은 모두 0.9 이상으로 나타나 실험값과 예측값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RMSE 값은 0.39로 비교적 0에 근접하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으며 개발된 예측모델의 적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발된 모델을 이용할 경우 식육추출가공품 중 갈비탕의 다양한 생산 환경과 온도에 따라 S. aureus의 성장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갈비탕을 생산, 보관 및 판매하는 산업체에서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이를 위해평가에서 또한 충분히 활용가능 할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predictive mathematical models were developed to estimate the kinetics of Staphylococcus aureus growth in processed meat product galbitang. Processed meat product galbitang was inoculated with 0.1 mL of S. aureus culture and stored at 4, 10, 20, $37^{\circ}C$. Th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통·판매되는 식육추출가공품 중 냉동유통 제품과 멸균 처리된 실온제품에 대한 위해성은 배제하고 냉장상태로 유통·판매되는 갈비탕의 제품을 대상으로 성장예측모델을 적용하여 S. aureus의 성장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여 조건변화에 대한 식육추출가공품 중 갈비탕의 안전관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측미생물학이란 무엇인가? 최근 생물학적 위해요소인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 예방 대책으로 미생물 위해평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평가 방법으로 예측미생물학(predictive food microbiology, PFM)이크게 대두되고 있다(5,6). 이는 pH, Aw (water activity), NaCl의 함량과 같은 내부적인 요인(intrinsic factor)과 식품의 생산과 저장기간, 온도, 포장 방법, 습도 등의 외부적인 요인(extrinsic factor)에 따라 식품 중 미생물의 성장과 사멸을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방법이다(7,8). 미생물의 성장을 수학적 모델에 의해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미생물 검사와 비교 시 정량적이고 신속한 예측이 가능하여 식중독 예방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9).
예측미생물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는 pH, Aw (water activity), NaCl의 함량과 같은 내부적인 요인(intrinsic factor)과 식품의 생산과 저장기간, 온도, 포장 방법, 습도 등의 외부적인 요인(extrinsic factor)에 따라 식품 중 미생물의 성장과 사멸을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방법이다(7,8). 미생물의 성장을 수학적 모델에 의해 예측하고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미생물 검사와 비교 시 정량적이고 신속한 예측이 가능하여 식중독 예방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9). 현재 국내·외의 많은 나라에서 육류와 채소류 등의 원재료와 즉석섭취식품을 대상으로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성장예측모델을 개발하고 있다(10).
우리나라 동물성 식품 매개 식중독 사고 사례로 증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 세계적으로 식품의 위생과 안전성 확보를 위해 과학 기술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노력은 계속되고 있지만, 여전히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식중독 발생은 증가 추세로 대량화 및 집단화 특성을 보이고 있다(2).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 쌀을 비롯한 곡류 위주의 음식문화에서 육류 위주의 음식문화로 전환됨으로써 동물성 식품 매개 식중독 사고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공하는 식중독 발생 통계치에 따르면 2014년도에 국내 식중독 발생에 따른 원인식품으로 육류 및 그 가공품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Staphylococcus aureus는 자연계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식품에 오염되는 경로도 매우 다양하므로 식품위생상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세균이며 전 세계적으로도 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hk GJ, Chun SJ, Park KH, Hong CH, Kim JW.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J. Food Hyg. Saf. 18: 139-145 (2003) 

  2. Cho JI, Lee SH, Lim JS, Kwak HS, Hwang IG.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odel describing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fresh cut vegetable. J. Food Hyg. Saf. 1: 25-30 (2011) 

  3. Kang YS, Yoon SK, Jwa SH, Lee DH, Woo GJ. Preval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n kimbap. J. Food Hyg. Saf. 17: 31-35 (2002) 

  4. Bean NH, Goulding JS, Matthew TD, Angulo FJ. Surveillance for foodborne disease outbreaks-United States 1988-1992. J. Food Prot. 60: 1265-1286 (1997) 

  5. Koseki S, Isobe S. Prediction of pathogen growth on iceberg lettuce under real temperature history during distribution from farm to table. Int. J. Food Microbiol. 104: 239-248 (2005) 

  6. Amit P, Theodore PL, Francisco D. Comparison of pri-mary predictive models to study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at low temperatures in liquid cultures and selection of fastest growing ribotypes in meat and turkey product slurries. J. Food Microbiol. 25: 460-470 (2008) 

  7. Chen H. Use of linear, Weibull and log-logistic functions to model pressure inactivation of seven foodborne pathogens in milk. J. Food Microbiol. 24: 197-204 (2007) 

  8. Dligentte-Muller ML, Cornu M, Pouillot R, Denis JB. Use of Bayesian modelling in risk assessment: Application to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food flora in cold-smoked salmon. J. Food Microbiol. 106: 195-208 (2006) 

  9. Park SY, Choi JW, Chung DH, Kim MG, Lee KH, Kim KS, Bahk GJ, Bae DH, Park SK, Kim KY, Kim CH, Ha SD. Development of apredictive mathematical model for the growth kinetics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sesame leaves. Food Sci. Biotechnol. 16: 238-242 (2007) 

  10. Park Hs, Bahk GJ, Park KH, Pak JY, Ryu K. Predictive Model for Growth of Staphylococcus aureus in Suyuk. Korean J. Food Sci. An. 30: 487-494 (2010) 

  11. Chung MS. Study on the risk management for risk redu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 ready-to-eat foods (II). The final report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search projec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pp. 157-185 (2007) 

  12. Castillejo-Rodriguez AM, Gimeno RMG, Cosano GZ, Alcala EB, Perez MRR. Assessment of mathematical models for predicting Staphylococcus aureus growth in cooked meat products. J. Food Prot. 65: 659-665 (2002) 

  13. Fujikawa H, Morozumi S. Modeling Staphylococcus aureus growth and enterotoxin production in milk. Food Microbiol. 23: 260-267 (2006) 

  14. Kim EJ. Analysis of microbiological hazards and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Staphylococcus aureus inoculated onto potentially hazardous foods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004) 

  15. Korean Dietetic Association. The Standard Recipe In: A Guideline for Foodservice Management. 283, Seoul, Korea (2007) 

  16. Han KS, Lee EJ, Hong SP.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commercialy sterilized Korean soups using accelerated experiment. Korean J. Food Cook. Sci. 21: 149-154 (2005) 

  17.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 Bad bug book. 2nd edition (2012) 

  18. Abigail MF, Catherine AB, Lief Rustvold D, Kim AH, Jessica H, James EL, Margret O. Clinical impact of a real-time PCR assay for rapid identification of Staphylococcal bacteremia. J. Clin. Microbiol. 50: 127-133 (2012) 

  19. Park Ms, Cho JI, Lee SH, Bahk GJ. The analysis for minimum infective dose of foodborne disease pathogens by Meta-analysis. J. Food Hyg. Saf. 29: 305-311 (2014) 

  20. Song JY, Kim YS, Hong CH, Bahk GJ. Growth and predictive model of wild-type Salmonella spp. on temperature and time during cut and package processing in cold pork meats. J. Food Hyg. Saf. 28: 7-12 (2013) 

  21. Cho JI, Lee SH, Choi JH, Choi EJ, Hwang IG. Analysis of prevalence and survival pattern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dried seasoned fishes. J. Food Hyg. Saf. 26: 366-369 (2011) 

  22. Park SG, Hwang YO, Jung JH, Lee KM.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alted from food borne patients in Seoul. J. Food Hyg. Saf. 16: 159-167 (2001) 

  23. Baranyi J, Ross T, Roberts TA, McMeekin TA. Effects of parameterization on the performance of empirical models used in ‘predictive microbiology’. Food Microbiol. 13: 83-91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