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의과대학 선택교육과정의 운영절차와 만족도 평가
Evaluation of Process and Satisfaction for Selective Courses in a Medical School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19 no.2, 2017년, pp.90 - 100  

김도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  최영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  한상윤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부) ,  신좌섭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  이승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cessity of embracing selective courses in medical curriculum is in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medical knowledge and changes in the health care environment. In contrast to the abundant evidence regarding elective or selective courses during the clinical phase, articles focusing on the p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의 대규모 개편과 함께 선택교육과정을 새로이 도입한 일개 의과대학에서 진행된 전임상교육에서 선택 교육과정 개발절차와 운영경험을 기술하고,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일차적으로 평가결과로부터 만족도 등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운영상의 보완 및 개선할 점을 발견하여,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선택교육과정 시행을 위하여 도입과 운영 시에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의 대규모 개편과 함께 선택교육과정을 새로이 도입한 일개 의과대학에서 진행된 전임상교육에서 선택 교육과정 개발절차와 운영경험을 기술하고,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일차적으로 평가결과로부터 만족도 등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운영상의 보완 및 개선할 점을 발견하여,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선택교육과정 시행을 위하여 도입과 운영 시에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 교수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소그룹 교수법을 비롯하여 학생-교수, 학생-학생 간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는 교수기법들을 소개하였다. 평가법에서는 지필고사 외에도 동료평가, 자기성찰일지 등의 다양한 평가법 사용을 장려하였다.
  • 따라서 향후 당초 교육과정 도입목표의 도달, 졸업역량 달성, 교육환경의 변화 등을 확인하기 위한 장기적 근거수집이 필요할 것이다. 다만 진행과정(process)에 관한 평가와 성과평가는 별개의 목적과 장단점이 존재하며[9], 본 연구에서는 양적 접근법과 질적 접근법을 모두 활용하고 교수와 학생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자료의 신뢰도를 높이고, 진행과정상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가 이루어진 환경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가설 설정

  • a)Only one professor participated in a course or all the participating professors belong to the same department. b)The participating professors belong to different departmen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외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선택교육과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다루었지만, 가지고 있는 한계는 무엇인가? 국외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선택교육과정의 필요성이 강조되어 왔는데, 세계의학교육연맹(World Federation of Medical Education)이나 범 유럽 차원의 성과를 규정한 Tuning Project 등에서도 선택교육과정을 통한 역량의 배양을 중요하게 다룬 바 있다[3]. 다만 선택교육과정이 전임상(preclinical)교육과정보다 주로 임상교육과정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상적인 활용 방식에 대해서 학교마다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2]. 한편 국내 학부 의학교육에서 선택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확산과 함께 학생의 요구와 필요에 따른 학습을 장려하는 수단으로 강조되어 왔다[4].
국내 학부 의학교육에서 선택교육과정은 어떻게 행해지는가? 다만 선택교육과정이 전임상(preclinical)교육과정보다 주로 임상교육과정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상적인 활용 방식에 대해서 학교마다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2]. 한편 국내 학부 의학교육에서 선택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확산과 함께 학생의 요구와 필요에 따른 학습을 장려하는 수단으로 강조되어 왔다[4]. 그러나 인문사회의학 교육에서 선택과목 개설 및 운영경험을 보고한 일부 의과대학을 제외하면[5], 대부분은 임상 실습에서 선택과목을 운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6].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 학생이 과목 선택권을 가지는 때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의과대학 교육과정의 많은 부분은 모든 학생이 공통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필수 또는 공통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학생에게 과목선택권이 주어지는 시기는 주로 임상실습이 진행되는 의학과 3학년 또는 4학년인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개 의과대학의 의학과 1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한 선택교육과정의 개발절차와 운영방식을 설명하고, 나아가 실제 진행된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선택교육과정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높은 만족도와 학습동기 부여라는 단기적 성과를 이룰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YJ, Lim CI.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Korean Med Educ Rev. 2011;13(1):13-23. 

  2. Riley SC. Student selected components (SSCs): AMEE guide no 46. Med Teach. 2009;31(10):885-94. 

  3. O'Tuathaigh CM, Duggan E, Khashan AS, Boylan GB, O'Flynn S. Selection of student-selected component [SSCs] modules across the medical undergraduate curriculum: relationship with motivational factors. Med Teach. 2012;34(10):813-20. 

  4. Yoon BY, Choi I, Kim S, Park H, Ju H, Rhee BD, et al. Recommendations for the successfu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n Korea. Korean Med Educ Rev. 2015;17(3):110-21. 

  5. An JH, Kwon I, Lee SN, Han JJ, Jeong JE. Study on the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urriculum in Korean medical school: current teaching status and learning subjects. Korean J Med Educ. 2008; 20(2):133-44. 

  6. Kim SH, Yang EB, Ahn DS, Jeon WT, Lyu CJ. The present conditions of clinical clerkship management in Korea. Korean J Med Educ. 2009;21(4):373-83. 

  7. Hwang J, Lee SH, Kim SJ, Shin JS, Yoon HB, Kim DH, et al. A study on premedical curriculum reform of one medical school. Korean J Med Educ. 2013;25(4):299-308. 

  8. An S, Bu S. Reflection on the experience of medical professionalism education at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n Med Educ Rev. 2012;14(1):25-36. 

  9. Cook DA. Twelve tips for evaluating educational programs. Med Teach. 2010;32(4):296-301. 

  10. Riley SC, Ferrell WR, Gibbs TJ, Murphy MJ, Cairns W, Smith S. Twelve tips for developing and sustaining a programme of student selected components. Med Teach. 2008;30(4):370-6. 

  11. Gerrity MS, Mahaffy J. Evaluating change in medical school curricula: how did we know where we were going? Acad Med. 1998;73(9 Suppl): S55-9. 

  12. Haji F, Morin MP, Parker K. Rethinking programme evaluation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beyond 'did it work?'. Med Educ. 2013;47(4): 342-51. 

  13. Muller JH, Jain S, Loeser H, Irby DM. Lessons learned about integrating a medical school curriculum: perceptions of students, faculty and curriculum leaders. Med Educ. 2008;42(8):778-85. 

  14. Bates R. A critical analysis of evaluation practice: the Kirkpatrick model and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Eval Program Plan. 2004;27(3):341-7. 

  15. Mahboob U, Evans P. Key steps for managing changes in the curriculum. J Coll Physicians Surg Pak. 2015;25(2):85-6. 

  16. Bland CJ, Starnaman S, Wersal L, Moorehead-Rosenberg L, Zonia S, Henry R. Curricular change in medical schools: how to succeed. Acad Med. 2000;75(6):575-94. 

  17. Lee H, Yang EB.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lecturers in medical school. Korean J Med Educ. 2013;25(1):47-53. 

  18. Woloschuk W, Coderre S, Wright B, McLaughlin K. What factors affect students' overall ratings of a course? Acad Med. 2011;86(5):640-3. 

  19. Creedy DK, Mitchell M, Seaton-Sykes P, Cooke M, Patterson E, Purcell C, et al. Evaluating a web-enhanced bachelor of nursing curriculum: perspectives of third-year students. J Nurs Educ. 2007;46(10):460-7. 

  20. Sun PC, Tsai RJ, Finger G, Chen YY, Yeh D. What drives a successful e-learning?: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learner satisfaction. Comput Educ. 2008;50(4):1183-202. 

  21. Miettola J, Mantyselka P, Vaskilampi T. Doctor-patient interaction in Finnish primary health care as perceived by first year medical students. BMC Med Educ. 2005;5:34. 

  22. Rabadan FE, Hidalgo JL. Changes in the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family medicine after completing a primary care course. Fam Med. 2010;42(1):35-40. 

  23. Murdoch-Eaton D, Ellershaw J, Garden A, Newble D, Perry M, Robinson L, et al. Student-selected components in the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a multi-institutional consensus on purpose. Med Teach. 2004; 26(1):33-8. 

  24. De Jong Z, van Nies JA, Peters SW, Vink S, Dekker FW, Scherpbier A. Interactive seminars or small group tutorials in preclinical medical education: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Med Educ. 2010;10:79. 

  25. Edmunds S, Brown G. Effective small group learning: AMEE guide no. 48. Med Teach. 2010;32(9):715-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