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방간에 대한 백두구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억제 효과 및 기전 연구
Study of the Suppressive Effect and Its Mechanism of Amomum Cardamomum L. on Free Fatty Acid-induced Liver Steatosis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1 no.3, 2017년, pp.159 - 166  

임동우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김혁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 ,  박성윤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 ,  박선동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  박원환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학교실) ,  김재은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anti-steatosis effects of the Amomum cardamomum ethyl acetate fraction in free fatty acids (FFAs)-induced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Amomum cardamomum (ACEA)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then the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스타틴 계열 약물의 효능 향상과 성분 개량을 통한 부작용 감소의 노력이 다국적 제약 회사를 중심으로 연구 진행 중에 있으며, 민족 고유의 전통 한약에서 고지혈에 유효한 성분을 발견하는 것이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DCF-DA법을 이용하여 백두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ACEA)및 스타틴(pravastatin)을 인간의 간암 세포주(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 line, HepG2)에 처리하여 ROS를 소거하는 활성을 살펴보았다. 세포 생존율 실험에서 HepG2 cells의 생존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ACEA의 농도(Fig.
  • 위장이 차서 일어나는 구토, 복통 등을 치료하는 것을 보아 현대 의학적 해석으로 위액 분비 촉진과 장관의 흥분 등의 작용을 나타내어 소화기 질환에 적용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백두구를 성분 분획 추출하여 소화 작용을 상승시키는 약물이 간 지방증(liver steatosis)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긍정적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 하지만 세포 수준에서 지방간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백두구 추출물의 효과는 알려진 바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간암 세포인 HepG2(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에서 자유 지방산(free fattyacids)로 유도한 지방간 모델에서 백두구 에텔아세테이트 분획이AMPK 신호를 경유하여 간에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기전과 염증성사이토카인을 조절하는 효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구는 어떠한 효능이 있는가? 백두구(白荳蔲)는 생강과 백두구의 열매를 말린 것으로 약의 성질은 맵고 따뜻(辛溫)하며, 비위(脾胃)에 습기를 제거(祛濕)하고 소화 및 복부창만, 구토, 딸꾹질 및 주독(酒毒)을 해독하는 작용이 알려져 있다10). 백두구 속에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단일 성분으로 터펜(terpenes)류의 시네올(1,8-Cineole)이 지방간을 억제하는 효능과 항산화 활성을 통하여 다이옥신 등의 유독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11,12).
비알콜성 지방간이란 무엇인가? 비알콜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술을 전혀 마시지 않거나 소량의 음주를 하더라도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 질병으로 비만, 제 2형 당뇨, 이상 지질혈증 및 대사증후군 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4,5). 비알콜성 지방간 및 관련 대사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반드시 식이 요법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으며, 보조적으로 비타민 E 군의 고용량 처방이 NAFLD를 개선한다는 보고가 있다6).
중증의 비알콜성 지방간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무엇인가? 비알콜성 지방간 및 관련 대사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반드시 식이 요법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으며, 보조적으로 비타민 E 군의 고용량 처방이 NAFLD를 개선한다는 보고가 있다6). 중증의 NAFLD에는 메트포민(metformin)과 스타틴(statin) 및 오메가(omega)-3 등을 병용투여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각각 약물의 부작용을 최소화 시키는 고려가 필요하다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umar A, Sharma A, Duseja A, Das A, Dhiman RK, Chawla YK, et al.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DL) have higher oxidative stress in comparison to chronic viral hepatitis. J Clin Exp Hepatol. 2012;3:12-8. 

  2. Li S, Tan HY, Wang N, Zhang ZJ, Lao L, Wong CW, Feng Y.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liver diseases. Int J Mol Sci. 2015;16:26087-124. 

  3. Griffith CM, Schenker S. The role of nutritional therapy in alcoholic liver disease. Alcohol Res Health. 2006;29:296-306. 

  4. Matteoni CA, Younossi ZM, Gramlich T, Boparai N, Liu YC. McCullough AJ.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spectrum of clinical and pathological severity. Gastroenterology. 1999;116:1413-9. 

  5. Marchesini G, Brizi M, Morselli-Labate AM, Buqianesi E, McCullough AJ, Forlani G. Associat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s with insulin resistance. Am J Med. 1999;107:450-5. 

  6. Sato K, Gosho M, Yamamoto T, Kobayashi Y, Ishii N, Ohashi T, et al. Vitamin E has a beneficial effects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utrition. 2015;31:323-930. 

  7. Rouabhia S, Milic N, Abenavoli L. Metformin in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safety, efficacy and mechanism. Expert Rev Gastroenterol Hepatol. 2014;8:343-9. 

  8. Pastori D, Polimeni L, Baratta F, Pani A, Del Ben M, Anqelico F. The efficacy and safety of statins for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Dig Liver Dis. 2015;47:4-11. 

  9. Di Minno MN, Russolilo A, Lupoli R, Ambrosino P, Di Minno A, Tarantino G. Omega-3 fatty acids for the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orld J Gastroenterol. 2012;18:5839-47. 

  10. Heo J. Translated Dongeuibogam. 1st ed. Seoul: Bubinmunwha; 1999. 

  11. Lee DH, Kang SS, Chang IM, Mar W. Detection of anti-inflammatory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as inhibitors of cyclooxygenase I and II. Nat Prod Sci. 1997;3:19-28. 

  12. Murata S, Ogawa K, Matsuzaka T, Chiba M, Nakayama K, Iwasaki K, et al. 1,8-Cineole ameliorates steatosis of pten liver specific KO mice via Akt inactivation. Int J Mol Sci. 2015;16:12051-63. 

  13. Viollet B, Foretz M, Guigas B, Horman S, Dentin R, Bertrand L, et al. Activ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n the liver: a new strategy for the management of metabolic hapatic disorders. J Physiol. 2006;574:41-53. 

  14. Smith BK, Marcinko K, Desjardins EM, Lally JS, Ford RJ, et al.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role of AMPK.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16;311:730-40. 

  15. Kohijima M, Higuchi N, Kato M, Kotoh K, Yoshimoto T, Fujino T, et al. SREBP-1c, regulated by the insulin and AMPK signaling pathways, plays a role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t J Mol Med. 2008;21:507-11. 

  16. Thomson DM, Winder WW. AMP-activated protein kinase control of fat metabolism in skeletal muscle. Acta Physiol. 2009;196:147-54. 

  17. Tolman KG, Dalpiaz AS.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her Clin Risk Manaq. 2007;3:1153-63. 

  18. Braunersreuther V, Viviani GL, Mach F, Montecucco F. Role of cytokines and chemokine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orld J Gastroenterol. 2012;18:727-35. 

  19. Lim DW, Kim H, Park JY, Kim JE, Moon JY, Park SD, Park WH. Amomum cardamomum L. ethyl acetate fraction protects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via an antioxidant mechanism in rats.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6;16:155. 

  20. Lim DW, Bose S, Wang JH, Choi HS, Kim YM, Chin YW, et al. Mofied SJH alleviates FFAs-induced hapatic steatosis through leptin signaling pathways. Sci Rep. 2017;7:45425. 

  21. Min KJ, Cho KH, Kwon TK. The effects of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oxLDL)-induced heme oxygenase-1 on LPS-induced inflammation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Cell Signal. 2012;24:1215-21. 

  22. Bekkering S, Quintin J, Joosten LA, van der Meer JW, Netea MG, Riksen NP. Oxidized low-density lipoprotein induces long-term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d foam cell formation via epigenetic reprogramming of monocytes.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2014;34:1731-8. 

  23. Beltowski J. Statins and modulation of oxidative stress. Toxicol Mech Methods. 2005;15:61-92. 

  24. Leamy AK, Eqnatchik RA, Young JD. Molecular mechanisms and the role of saturated fatty acids in the progress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Prog Lipid Res. 2013;52:165-74. 

  25. Boots AW, Haenen GR, Bast A. Health effects of quercetin: from antioxidant to nutraceutical. Eur J Pharmacol. 2008;585:325-37. 

  26. Sultana B, Anwar F. Flavonols (kaempeferol, quercetin, myricetin) contents of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medicinal plants. Food Chem. 2008;108:879-84. 

  27. Lee KG, Shibamoto T, Takeoka GR, Lee SE, Kim JH, Park BS. Inhibitory effects of plant-derived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on malonaldehyde formation from ethyl arachidonate. J Agric Food Chem. 2003;51:7203-7. 

  28. Horton JD, Goldstein JL, Brown MS. SREBPs: activators of the complete program of cholesterol and fatty acid synthesis in the liver. J Clin Invest. 2002;109:1125-31. 

  29. Kim JE. Tribulus terrestris suppresses the lipopolys 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action in RAW264.7 macrophages through heme oxygenase-1 expressio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4;28:63-8. 

  30. Sikora JP, Chlebna-Sokol D, Krzyanska-Oberbek A. Proinflammatory cytokine (IL-6, IL-8), cytokine inhibitors (IL-6sR, STNFRII)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IL-10, IL-13) in the pathogenesis of sepsis in newborns and infants. Arch Immunol Exp. 2001;49:399-4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