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과 비지지적 반응이 유아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Supportive and Non-supportive Reactions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Young Children's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3, 2017년, pp.83 - 102  

윤경미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한세영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mother's reactions to young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Methods: A total of 346 mothers with toddlers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 다양한 형태가 있고, 개인으로서의 어머니는 유아가 부정적 정서를 보이는 여러 상황에서 유아에게 한 가지 유형의 반응만 하는 것이 아니라 유사한 상황에서 때에 따라 비일관적인 반응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 및 비지지적 반응이 유아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6가지 형태의 어머니의 반응을 지지적 반응과 비지지적 반응으로 구분하여 지지적 반응과 비지지적 반응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포함한 주효과 뿐 아니라 이들이 상호작용하여 유아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알아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Fabes, Eisenberg 그리고 Bernzweig(1990)가 개발한 The Coping With Child's Negative Emotions Scale(CCNES)를 통해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행동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문제행동은 정서 문제와 행동문제가 함께 보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보고를 고려하여(정길정, 배윤정, 2005), 특히 유아기에는 회피행동이나 반항행동 등의 외현적 문제행동과 심리적인 불안, 두려움 등의 내면적 문제행동을 자주 보일 수 있어 이러한 자녀의 행동을 어머니가 잘 관찰하여 보고할 수 있는 척도(박효주, 김영희, 2000)를 사용하여 외현화·내면화 문제행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 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감정표현격려반응, 정서중심반응, 문제중심반응)과 비지지적 반응(스트레스반응, 최소화 반응, 처벌적반응)의 주효과 뿐만 아니라 지지적 반응과 비지지적 반응이 모두 발생할 때 그 상호작용효과가 어떻게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상담 및 치료개입과 예방 할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상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그러나 이러한 비일관적인 양육행동을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을 보이는 상황에 국한시켜 접근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어머니가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해 지지적인 반응을 하기도 하고 비지지적으로 반응을 보이기도 하는 비일관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어머니의 양육반응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효과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 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지지적 반응(감정표현격려반응, 정서중심반응, 문제중심반응)과 비지지적 반응(스트레스반응, 최소화 반응, 처벌적반응)의 주효과 뿐만 아니라 지지적 반응과 비지지적 반응이 모두 발생할 때 그 상호작용효과가 어떻게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상담 및 치료개입과 예방 할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의 문제행동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이유는? 그러나 일부 유아는 이러한 과정에 적응하지 못하고 문제행동을 보인다(임현주, 2015). 최근 유아의 문제행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김연, 2007), 유아기부터 문제행동은 아동기, 청소년기까지 지속될 수 있고, 학교생활의 부적응 및 일탈행동이나 비행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어(송진숙, 2003; Mathiesen & Sanson, 2000), 유아기에 보이는 문제행동에 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유아의 문제행동이란? 또한 Larzelere, Amberson 그리고 Martin(1989)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보편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거나 평균적인 경향성을 따르지 못할 때 문제행동으로 보았다. 즉, 유아의 문제행동은 발달 연령에 기초하였을 때 규범적인 행동으로 보기에는 부적절한 행동을 하거나 정상적인 능력을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문제행동은 정서 문제와 행동문제가 함께 보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보고를 고려하여(정길정, 배윤정, 2005), 특히 유아기에는 회피행동이나 반항행동 등의 외현적 문제행동과 심리적인 불안, 두려움 등의 내면적 문제행동을 자주 보일 수 있어 이러한 자녀의 행동을 어머니가 잘 관찰하여 보고할 수 있는 척도(박효주, 김영희, 2000)를 사용하여 외현화·내면화 문제행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어머니의 비지지적 반응은 유아의 내면화 문제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넷째, 내면화 문제행동에 대해서도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난 변인들도 주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의 의미를 살펴보면 대체로 외현화 문제행동에서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문제중심반응이 높을수록 내면화 문제행동이 감소하며, 최소화반응이 높을수록 내면화 문제행동이 증가하고, 스트레스 반응이 높을수록 내면화 문제행동이 증가하며, 처벌적반응이 높을수록 내면화 문제행동이 증가하였다. 이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해 부모가 문제중심적 반응을 하면 유아는 긍정적 대처능력을 갖게 된다고 한 선행연구들(강희연, 강문희, 1999; Eisenberg & Fabes, 1994)의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희연, 강문희 (1999).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유형, 유아의 대처반응 및 또래 수용 간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20(3), 171-182. 

  2. 공영숙 (2012).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연희 (2012). 유아의 사회적 위축성과 관련된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및 정서표현성.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0(5), 13-24. 

  4. 권정윤, 김은희 (2014). 통제적인 어머니의 놀이 상호작용과 유아의 반응.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지, 18(6), 333-361. 

  5. 김연 (2007). 유아 기질 및 심리적 가정환경 변인과 유아의 문제 행동과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지연, 남은영 (2011). 자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2(5), 13-28. 

  7. 노지영, 정윤경 (2010).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따른 아동의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표현신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2), 57-71. 

  8. 박유경 (2009). 자녀의 정서에 대한 부모반응유형과 자녀의 정서조절 방략의 관계: 자녀의 정서인식을 매개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지영, 강성단, 권경숙 (2010). 유아의 기질, 또래유능성,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4), 139-162. 

  10. 박혜원 (2012). 유아의 기질 및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양육 효능감과 양육태도를 매개변인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효주, 김영희 (2000).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가족영향력과 아동의 문제행동. 놀이치료연구, 4(2), 45-58. 

  12. 배주희 (2011). 유아의 기질과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락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송진숙 (2003).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기질, 사회적 능력 정서지능 및 부모의 양육태도. 한국영유아보육학, 35, 143-161. 

  14. 송진영, 송진숙 (2015). 학령전환기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3), 85-112. 

  15. 안효진, 임연진 (2011). 유아의 놀이성, 적응, 그리고 문제행동과의 관계성 연구. 아동학회지, 31(2), 53-68. 

  16. 유영신, 유연옥 (2015). 유아의 기질,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7(3), 123-140. 

  17. 이경숙, 신의진, 전연진, 박진아 (2004).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4), 53-73. 

  18. 이은경, 한세영 (2016). 부모의 애정과 감독 및 비일관적 양육행동이 아동과 청소년의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23(3), 153-172. 

  19. 이찬숙 (2008).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 가정환경 및 지역사회 변인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찬숙, 이채호 (2009).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및는 기질, 사회적 유능감, 부모의 양육태도 간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영유아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5), 27-44. 

  21. 임현주 (2015). 유아의 성별에 따른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학회, 35(2), 97-115. 

  22. 전란영, 김희화 (2016).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 및 과잉간섭적 양육이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4(2), 57-67. 

  23. 정계숙, 노진형 (2010). 유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수준에 따른 모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모와 교사의 다중평정을 통하여. 인간발달연구, 17(1), 285-300. 

  24. 정길정, 배윤정 (200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가 아동의 놀이형태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4(3), 365-378. 

  25. 정윤주 (2006).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방식 관련 요인.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11), 23-34. 

  26. 조인영 (2016).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 유능성의 관계: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Achenbach, T. M. (1991). Manual for child behavior checklist 14-18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28. Belsky, J. (1997). Variation in susceptibility to environmental influence: An evolutionary argument. Psychological Inquiry, 8(3), 182-186. 

  29. Belsky, J. (2005).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rearing influence, Origins of the social mind: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hild development. NY: Guilford Press. 

  30. Belsky, J. (2013).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environmental influences.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7(2), 15-31. 

  31. Buck, R. (1984). The communication of emotion. NY: Guilford Press. 

  32. Davidov, M., & Grusec, J. E. (2006). Untangling the links of parental responsiveness to distress and warmth to child outcomes. Child Development, 77(1), 44-58. 

  33. Denham, S. A. (1984). Emotion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NY: Guilford Press. 

  34. Denham, S. A., & Grout, L. (1992).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oping: Relations with preschoolers' social-emotional competence.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118(1), 73-101. 

  35. Dunn, J., & Brown, J. (1994). Affect expression in the family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s. Merrill-Palmer Quarterly, 40(1), 120-137. 

  36. Dunn, J., Brown, J., & Brearsall, L. (1991). Family talk about feeling states and children's later understanding of other's emotions. Developmental Psychology, 27(3), 448-455. 

  37. Eisenberg, N., & Fabes, R. A. (1994).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anger behavior. Merrill-Palmer Quarterly, 40(1), 138-156. 

  38. Eisenberg, N., Fabes, R. A., & Murphy, B. (1996) Parent'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comforting behavior. Child Development, 67(5), 2227-2247. 

  39. Fabes, R. A., Eisenberg, N., & Bernzweig, J. (1990). The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 scale: Description and scoring. Tempe, AZ: Arizona State University. 

  40. Gottman, J., Katz, L., & Hooven, C. (1996). Meta-emotion: How families communicate emotionality: Links to child-peer relations and other developmental outcomes. Mahwah. NJ: Lawrence Erlbaum. 

  41. Larzelere, E. M., Ambersun, A. J., & Martin, G. T. (1989). The Toddler Behavior Checklist: A parent-completed assessment of social-emotional characteristics of young preschoolers. Family Relations, 38(4), 418-425. 

  42. Mathiesen, K. S., & Sanson, A. (2000). Dimensions of early childhood behavior problems: Stability and predictors of change from 18 to 30 month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8(1), 15-31. 

  43. Show, D. S., Gilliom, M., Ingoldsby, E. M., & Nagin, D. S. (2003). Trajectories leading to school-age conduct problem.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39(2), 107-119. 

  44. Zentall, S. R., & Morris, B. J. (2010). "Good job, you're so smart": The effects of inconsistency of praise type on young children's motiv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107(2), 155-16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