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가 남아와 여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Disparity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Demand Level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4, 2015년, pp.147 - 166  

전은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주희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가 남아와 여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시와 경남지역의 세 개 사립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221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유아의 문제행동은 담임교사가 보고하였고,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는 어머니가 보고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치를 산출하고, 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활발한 기질에 있어서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가 클수록 남아와 여아 모두 외현적 문제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현적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의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내재적 문제행동은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그리고 적응적 기질에 있어서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가 클수록 많이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여아의 내재적 문제행동의 경우에는 이러한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disparity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mothers' demand level on children'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21 children aged 4 to 5 and th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 때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는 자녀의 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주장(권기정, 전숙영, 2010; 정윤주, 2004; Barber, 2002; Stone et al.
  • , 2013)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남아와 여아를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유아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문제행동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고한 선행연구들(김혜진, 김영아, 이진, 오경자, 2009; 이경숙, 신의진, 전연진, 박진아, 2004)의 결과에 따라 유아 연령의 영향을 통제 변인으로 포함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고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주요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결과를 해석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유아의 기질-어머니의 요구수준 간 차이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 때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는 자녀의 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주장(권기정, 전숙영, 2010; 정윤주, 2004; Barber, 2002; Stone et al., 2013)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남아와 여아를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유아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문제행동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고한 선행연구들(김혜진, 김영아, 이진, 오경자, 2009; 이경숙, 신의진, 전연진, 박진아, 2004)의 결과에 따라 유아 연령의 영향을 통제 변인으로 포함시키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란 어떤 시기인가? 유아기는 신체, 인지, 정서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급격한 발달이 이루어지며, 가족을 벗어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이다. 유아는 이러한 발달과정에서 욕구의 좌절이나 갈등을 경험하며 적응상의 어려움을 보이기도 한다.
심리적 통제의 정의는 무엇인가? 최근 유아의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유아와 가장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는 대상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유아의 독립적인 자존감과 정체성 형성을 방해하여 다양한 문제행동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권기정, 전숙영, 2010). Barber(1996)에 따르면 심리적 통제란 애정을 매개로 하는 부정적인 훈육방식(negative, love-oriented discipline)이며, 자녀의 행동을 통제하는 수단으로써 부모와 자녀 간의 애정 관계를 교묘히 이용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모는 자녀의 자신감이나 죄책감 자극, 실망감의 표현, 애정철회, 고립시키기 그리고 수치감 느끼게 하기 등을 통해 자녀를 훈육하려고 시도한다.
어머니가 심리적 통제를 많이 할수록 유아의 외현적 문제행동과 내재적 문제행동이 더 많이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 2013)이 더 많이 나타났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는 Steinberg(2002)가 언급한 바와 같이 어머니가 자녀를 심리적으로 통제하려는 것이 자녀의 자율성을 좌절시켜 부모에게 의존하도록 만들고, 독립과 의존이라는 갈등상황을 초래함으로써 자녀의 건강한 성장을 저해 하기 때문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강지현, 오경자 (2011). 유아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연령, 기질과 양육행동의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한국여성심리학회지, 16(1), 1-21. 

  2. 권기정, 전숙영 (2010).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유아의 행동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5(2), 51-66. 

  3. 김기홍, 이주리 (201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 및 조화적합성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47-65. 

  4. 김나희, 박보경, 도현심 (2012). 어머니의 인성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과보호 및 통제적 양육행동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3), 151-163. 

  5. 김연옥, 김영희 (2002).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성격특성이 유아와 부모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논문집, 5(5), 123-140. 

  6. 김정민, 윤진 (1992). 청소년기 기질적합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심리학회지, 5(1), 55-72. 

  7. 김혜진, 김영아, 이진, 오경자 (2009).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한국 유아의 문제행동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2(3), 125-144. 

  8. 민정임, 한세영 (2012).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행동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9(4), 117-137. 

  9. 박진아, 이경숙, 신의진 (2009). 모-자녀관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지, 14(4), 549-566. 

  10. 박혜원 (2012). 유아의 기질 및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를 매개변인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11. 서주현, 이순형 (2009).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 조화적합성이 유동성 지능 및 결정성 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9(4), 47-71. 

  12. 신현정 (2008). 유치원 오후 재편성 종일반 유아들의 스트레스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이경숙, 신의진, 전연진, 박진아 (2004).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발달심리학회지, 17(4), 53-74. 

  14. 이시자 (2013). 유아의 성별, 기질, 유아-어머니 간 기질 조화적합성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3(5), 257-278. 

  15. 이정숙, 문보경 (2011).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정서조절방략이 유아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기질 하위 요인들에 따른 군집을 중심으로.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6(1), 81-97. 

  16. 이희경 (2014). 부모-자녀 기질조화적합성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장유진, 이강이 (2011). 유아의 기질,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지각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2(3), 59-76. 

  18. 전숙영 (2007).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행동문제: 학령기 후기 아동의 정서적 자율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대한가정학회지, 45(6), 101-111. 

  19. 정윤주 (2004).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의 행동문제: 아동의 성과 또래수용도의 중재효과에 대한 탐색. 아동학회지, 25(6), 205-223. 

  20. 조운주, 김은영 (2014). 유아의 기질 및 부모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8(2), 155-174. 

  21. 조은주, 이은희 (2013).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 한국청소년연구, 24(1), 35-70. 

  22. 한세영, 박성연 (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조화/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일상적 양육 스트레스. 아동학회지, 17(1), 245-258. 

  23. 허미경, 이소은 (2010).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기질과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353-373. 

  24.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67(6), 3296-3319. 

  25. Barber, B. K. (2002).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6. Barber, B. K., Olsen, J. E., & Shagle, S. C. (1994).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ontrol and youth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5(4), 1120-1136. 

  27. Bates, J. E. (1990). Conceptual and empirical linkages between temperament and behavior problems: A commentary on the Sanson, Prior, and Kyrios study. Merrill-Palmer Quarterly, 36(2), 193-199. 

  28. Campbell, S. B. (2002). Behavior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Second Edition: Clinical and developmental issues. New York: Guilford Press. 

  29. Campbell, S. B., Shaw, D. S., & Gilliom, M. (2000). Early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oddlers and preschoolers at risk for later maladjustment.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2(3), 467-488. 

  30. Coplan, R. J., & Rubin. K. H. (1998). Exploring and assessing nonsocial play in the preschool: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eschool play behavior scale. Social Development, 7(1), 72-91. 

  31. Gilliam, W. S. (2005). Prekindergarteners left behind: Expulsion rates in state prekindergarten p rograms. FCD Policy Brief Series, 3, Retrieved from http://challengingbehavior.fmhi.usf.edu/explore/policy_docs/prek_expulsion.pdf/ 

  32. Kaiser, B,. & Rasminsky, J. S. (2012).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 Understanding, preventing, and responding effectively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33. Merrell, K. W. (2003).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s: PKBS-2, 영유아행동척도: PKBS-2(최승숙, 한경근, 신현기 역).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34. Paterson, G., & Sanson, A. (1999). The association of behavioural adjustment to temperament, parenting and family characteristics among 5-year-old children. Social Development, 8(3), 293-309. 

  35. Pettit, G. S., Laird, R. D., Dodge, K. A., Bates, J. E., & Criss, M. M. (2001). Antecedents and behavior-problem outcomes of parental monitoring and psychological control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72(2), 583-598. 

  36. Steinberg, L. (2002). Adolescence (6th ed.). Boston, MA: McGraw-Hill. 

  37. Stone, L. L., Otten, R., Janssens, J. M. A. M., Soenens, B., Kuntsche, E., & Engels, R. C. M. E. (2013). Does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late to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early childhood? An examination using the Berkeley puppet int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7(4), 309-318. 

  38.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Brunner/Mazel. 

  39. Van Aken, C., Junger, M., Verhoeven, M., Van Aken, M.A.G., & Dekovic, M. (2007). The interactive effects of temperament and maternal parenting on toddlers' externalizing behaviour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6(5), 553-572. 

  40. Verhoeven, M., Junger, M., Van Aken, C., Dekovic, M., & Van Aken, M. A. G. (2010). Mothering, Father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in Toddler Boy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2(2), 307-317. 

  41. Willoughby, M., Kupersmidt, J., & Bryant, D. (2001). Overt and covert dimensions of antisocial behavior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9(3), 177-1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