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 및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유형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간의 관계
Child Difficult Temperament and Mothers' Reaction to Child Negative Emotion as Predictors of Chil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9 no.6, 2011년, pp.55 - 69  

박성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  이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생활환경연구소) ,  배주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difficult temperament and mothers' reactions to child negative emotion on chil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others of 253 preschoolers(Mage=4.04y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child temperament, mothers' reactions to child negative e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인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을 중재변인으로 하여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주 효과를 살펴봄과 동시에 이들 변인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만 3세~5세 유아(평균연령 만4세) 253명과 그 어머니들이며,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 및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행동에 관한 질문지는 어머니보고를 통해서, 그리고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유형에 관한 질문지는 교사보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정서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전략들’(Calkins et al., 1999) 또는 ‘특정 정서를 유발하는 상황에서 그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대처 전략들’(임희수·박성연, 2002)로 정의되는 정서조절전략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 더욱이 국내 연구에서는 아동의 정서표현에 대한 양육자의 반응을 연구한 경우라도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구분한 경우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부정적인 정서를 유발하는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어머니의 반응유형에 초점을 두고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유형을 독립변인으로,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을 중재변인으로 하여 두 변인이 각각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한편, 어머니의 반응과 아동의 정서조절 전략 간의 관계가 아동의 기질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정적 정서도 유아의 발달에 기여하는 이유는? 반면, 분노, 두려움, 슬픔, 혐오 등 부정적 정서는 유아에게 언짢은 느낌을 주고 타인에게 거부감을 주거나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발달에 방해가 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상황에서 유아는 이에 대한 대처방법이나 적응방법을 배우며, 자신의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기 때문에 부정적 정서도 발달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고 할 수 있다(Eisenberg et al., 1996).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정서발달, 성격형성,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발달과업인 근거는? 인간은 대부분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게 되면 그 부정적 정서를 그대로 표출하거나 또는 바꾸거나 줄임으로써 조절하고자 한다. 정서조절 능력이 뛰어난 유아는 타인의 감정에 민감하고 인내심이 많으며 감정과 충동을 절제하고 통제할 수 있지만, 정서조절 능력이 낮은 유아는 공격성을 보이거나 좌절에 대한 과잉반응을 보이며 친사회적 능력이 낮다(박혜경․박성연, 2002; 한유진, 2007). 그러므로 정서조절 능력은 유아의 정서발달, 성격형성,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발달과업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부정적인 정서 표현에 대한 이해는 바람직한 정서발달은 물론 문제행동이나 부적응을 예방하는 차원에서도 필요하다고 본다.
유아의 기질적 특성은 잠재적 반응의 범위를 강화하거나 제한하게 되므로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가? 개인적 요인 중 하나인 유아의 기질적 특성은 잠재적 반응의 범위를 강화하거나 제한하게 되므로(Carson et al., 1991), 유아의 정서적인 표현뿐만 아니라 정서조절 행동이나 전략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적응적이고 기분이 항상 밝고 명랑하며 주의집중력이 높은 기질의 아이들은 부정적인 정서를 불러 일으킬만한 상황에서도 문제중심적으로 대처하거나 지지를 추구하는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희연?강문희(1999).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 유형, 유아의 대처 반응 및 또래 수용 간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20(3), 171-182. 

  2. 김문신?김광웅(2003).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표현 수용 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6(1), 3-13. 

  3. 김지윤?도현심?김민정(2008). 부부갈등과 유아의 기질 및 정서조절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5), 133-150. 

  4. 노지영?정윤경(2010).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에 따른 아동의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표현신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2), 57-71. 

  5. 박유경(2009). 자녀의 정서에 대한 부모반응유형과 자녀의 정서조절 방략의 관계 :자녀의 정서인식을 매개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박지숙?박성연(2008).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5(4), 1-16. 

  7. 박지숙?임승현?박성연(2009). 아동의 성,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사회적 위축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지, 30(3), 85-98. 

  8. 박혜경?박성연(2002). 아버지 양육행동 및 남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8), 87-98. 

  9. 서혜린?이영(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33-56. 

  10. 양병화(2006).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커뮤니케이션 북스; 서울. 

  11. 임희수?박성연(2002). 어머니가 지각한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3(1), 37-54. 

  12. 한경원?신혜원(2009).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유아의 성, 연령 및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0(5), 137-153. 

  13. 한유진(2007). 상호작용 상황에서의 정서표현, 정서이해 및 정서조절 능력이 학령기아동의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직, 간접적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15. 

  14. Aiken, L. S., & West, S. G.(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Thousand Oaks: Sage. 

  15. Barry, R. A., Kochanska, G., & Philibert, R. A.(2008). $G{\times}E$ interaction in the organization of attachment: mothers responsiveness as a moderator of children's genotypes. Journal of Child Psychol Psychiatry. 49(12), 1313-1320. 

  16. Carson D. K., Council J. R, & Gravley J. E.(1991) Temperament and family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children's reactions to hospitalization.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ediatrics. 12(3), 141-147. 

  17. Calkins, S. D., Gill. K. L., Johnson, M. C., & Smith, C. L.(1999). Emotional reactivity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redictors of social behavior with peers during toddlerhood. Social Development, 8(3), 310-334. 

  18. Conway, A. M.(2005).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The role of effortful attentional control and positive affect.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66(2-B), 1195. 

  19. Davidov, M., & Grusec, J. E.(2006). Untangling the links of parental responsiveness to distress and warmth to child outcomes. Child Development, 77, 44-58. 

  20. Denham, S. A., Mitchell-Copeland, J., Strandberg, K., Auerbach, S., & Blair, K.(1997). Parental contributions to preschoolers' emotional competenc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Motivation and Emotion, 21, 65-86. 

  21. Derry-berry, D., & Rothbart, M. K.(1988). Arousal, affective, and attentional components of adult tempera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 953-966. 

  22. Eisenberg, N.(2000). Emotion, regulation, and moral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1, 665-597. 

  23. Eisenberg, N.(2006). Prosocial Behavior. B. G. George & M. M. Kathleen (Eds), Children's needs III: Development,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p. 313-324).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Psychologists. 

  24. Eisenberg, N., Cumberland, A., & Spinrad, T.(1998).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Psychological Inquiry. 9(4). 241-273. 

  25. Eisenberg, N., & Fabes, R. A.(1994).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anger behavior. Merrill-Palmer Quarterly: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40(1), 138-156. 

  26. Eisenberg, N., Fabes, R. A., Bernzweig, J., Karbon, M., Poulin, R., & Hanish, L.(1993). The relation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64, 1418-1438. 

  27. Eisenberg, N., Fabes, R. A., Carlo, G., & Karbon, M., (1992). Emotional responsivity to others: Behavioral correlates and socialization antecedents.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55, 57-73. 

  28. Eisenberg, N., Fabes, R. A., & Murphy, B.(1996). Parent'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comforting behavior. Child Development, 67, 2227-2247. 

  29. Fabes, R. A., & Eisenberg, N.(1992). Young children's coping with interpersonal anger. Child Development, 63, 116-128. 

  30. Fabes, R. A., Eisenberg, N., & Bernzweig, J.(1990). The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 scale : Procedures and scoring. Unpublished scale available from the authors. Arizona State University, Tempe. 

  31. Fabes, R. A., Leonard, S. A., Kupanoff, K., & Martin, C. L.(2001). Parental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with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responding. Child Development, 72, 907-920. 

  32. Fabes, R. A., Poulin, R. E., Eisenberg, N., & Madden- Derdich, D. A.(2003). The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 (CCNE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relations with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Marriage & Family Review, 34, 285-310. 

  33. Garner, P. W., & Power, T. G.(1996).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in the disappointment paradigm and its relation to temperament, emotional knowledge, and family expressiveness. Child Development, 67(4), 1406-1419. 

  34. Gottman, J. M., & Katz, L. F.(1989). Effects of marital discord on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health. Developmental Psychology, 25, 373-381. 

  35. Hardy, D. F., Power, T. G., & Jaedicke, S.(1993). Examining the relation of parenting to children's coping with everyday stress. Child Development, 64, 1829-1841. 

  36. Kliewer, W., Fearnow, M. D., & Miller, P. A.,(1996). Coping socialization in middle childhood: Tests of maternal and paternal influences. Child Development, 67, 2339-2357. 

  37. Krause, E. D., Mendelson, T., & Lynch, T. R.(2003). Childhood emotional invalidation and adult psychological distress: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inhibition. Child Abuse & Neglect, 27, 199-213. 

  38. Larsen, R. J., & Diener, E.(1987). Affect intensity as an individual difference characteristic: A review.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1, 1-39. 

  39. Miller, S. M., & Green, M.(1985). Coping with threat and frustration: Origins, nature, and development. In M. Lewis & C. Saarni (Eds.), Socialization of emotions. NY: Plenum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