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사회적 힘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the Children's Social Power: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1, 2019년, pp.1 - 14  

한세영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조인영 (휴맥스 어린이집) ,  한아름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on the children's social power through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Methods: A total of 339 four-year and five- year old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 and teachers in Seoul and Gyeongi part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유아의 사회적 힘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유아의 사회적 힘에 대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힘의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유아가 긍정적인 사회적 힘을 긍정적으로 행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부모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그동안 국내외에서 유아의 사회적 힘을 살펴본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사회적 힘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발현되는데 있어서 개인차를 보이는 원인을 밝힌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사회적 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연구는 의미있다고 판단되었으며, 유아의 사회적 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환경적 요인으로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적 힘을 ‘친사회적 리더십’과 ‘사회적 지배’두 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선행요인이 각각의 사회적 힘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 또한 사회적 힘을 ‘친사회적 리더십’과 ‘사회적 지배’두 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선행요인이 각각의 사회적 힘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긍정적, 부정적 사회적 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힘의 특징은 무엇인가? 사회적 힘은 다른 사람의 인지, 태도, 정서, 행동에서의 변화를 만드는 잠재적 영향력(Hatch, 1987)으로, 사회적 관계 속에서 발생하며 불균형하게 나타난다고 하였다(Berger, 1985; Goodwin, 2001). 타인에 대한 영향력은 영아기로부터 시작되며, 영아들은 기질과 행동을 통해 양육자의 반응을 이끌어낸다(Belsky, 1984).
긍정적 사회적 힘을 발휘하도록 유아를 돕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이러한 결과들은 또래와의 관계에서 긍정적 사회적 힘을 발휘하도록 돕는 것이 유아의 건강한 사회적 발달과 적응을 위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그동안 국내외에서 유아의 사회적 힘을 살펴본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사회적 힘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발현 되는데 있어서 개인차를 보이는 원인을 밝힌 연구는 드물다.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좋을 경우에 장점은 무엇인가? , 2003; Eisenberg, Fabes, Guthrie, & Reiser, 2002). 유아의 조절능력과 아동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본 Eisenberg 등의 연구(2001)에서도 유아의 높은 조절능력은 공격성 등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사회적으로 적절한 행동을 증가시켜 또래로부터 인기, 사회적 지위를 얻는 사회적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또한 자신의 정서를 잘 조절하는 유아는 또래와의 관계에서 친사회적 행동을 많이 보였다(이경님, 부예숙, 2013). 반면, 자신의 정서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고, 감정의 기복이 큰 유아들은 공격적 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보고된다(김성애, 박성연, 2009; 이지현, 2011; 한유진,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희연, 강문희 (1999).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유형, 유아의 대처반응 및 또래수용간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20(3), 171-182. 

  2. 권연희, 이종희 (2005).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 아동의 정서성 및 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6), 201-216. 

  3. 김지윤 (2007). 유아의 기질 및 부부갈등과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지현 (2010). 어머니 양육행동이 아동의 공격적 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대한가정학회지, 48(2), 13-22. 

  5. 김성애, 박성연 (2009). 유아에 대한 양육자의 애착,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간의 관계: 시설보호 유아와 일반 유아의 비교. 아동학회지, 30(1), 43-57. 

  6. 김현지, 전경아 (2010). 유아-교사 관계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방과후아동지도연구, 7(2), 17-34. 

  7. 박성연, 이은경, 배주희 (2011).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 및 유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유형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55-69. 

  8. 박지숙, 임승현, 박성연. (2009). 아동의 성,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사회적 위축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0(3), 85-98. 

  9. 배주희 (2011). 유아의 기질과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혜린, 이영 (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33-56. 

  11. 신주혜, 정윤경 (2016). 어머니의 정서발달관련 신념이 자녀의 부정정서 표현에 대한 반응과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9(2), 21-42. 

  12. 오지현 (2015).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공감과 정서조절 방식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6(2), 17-37. doi:10.5723/KJCS.2015.36.2.17 

  13. 윤해수, 홍용희 (2016). 산들유치원 만 5 세 유아들의 사회적 힘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교육과학연구, 47(4), 95-124. doi:10.15854/jes.2016.12.47.4.95 

  14. 이경님, 부예숙 (2013). 유아의 기질과 정서조절 및 교사-유아 관계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31-53. 

  15. 이연실 (2011).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리더십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173-203. 

  16. 이지현 (2011). 유아의 성별에 따른 정서조절능력, 사회정보처리과정 및 공격성 간의 관계. 아동교육, 20(3), 225-241. 

  17. 이지희, 김혜연 (2012). 유아기 긍정적.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에 관련된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301-322. 

  18. 이채호 (2016). 유아의 또래 유능성, 자기조절 및 놀이유형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5(4), 103-119. doi:10.21183/kjcm.2016.12.15.4.103 

  19. 장윤희, 문혁준 (2011).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이 또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2), 73-87. 

  20. 정은희 (2017). 다문화가정 유아들과 일반가정 유아들 간의 사회적 힘의 관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어린이집 만 5세반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조인영 (2016).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정서조절 능력 및 또래유능성의 관계: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 반응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한애희 (2009). 유아의 기질, 언어능력 및 대인관계유형이 유아의 사회적 힘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한유진 (2005).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공격성 및 또래관계의 질. 아동학회지, 26(4), 85-100. 

  24. Bohlin, L. C. (2000). Determinants of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dominance strategies during pla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USA. 

  25. Berger, C. R. (1985). Social power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 M. L. Knapp & G. R. Miller (Eds.),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p. 439-499). Newbury Park, CA: Sage. 

  26.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27. Davidov, M., & Grusec, J. E. (2006). Untangling the links of parental responsiveness to distress and warmth to child outcomes. Child Development, 77(1), 44-58. doi:10.1111/j.1467-8624.2006.00855.x 

  28. Denham, S. A., Blair, K. A., DeMulder, E., Levitas, J., Sawyer, K., Auerbach-Major, S., et al. (2003). Preschool emotional competence: Pathway to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74(1), 238-256. doi:10.1111/1467-8624.00533 

  29. Eisenberg, N., Cumberland, A., & Spinrad, T. L. (1998).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Psychological Inquiry, 9(4), 241-273. doi:10.1207/s15327965pli0904_1 

  30. Eisenberg, N., Fabes, R. A., Guthrie, I. K., & Reiser, M. (2002). The role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adjustment. In L. Pulkkinen & A. Caspi (Eds.), Paths to successful development: Personality in the life course (pp. 46-7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Eisenberg, N., Fabes, R. A., & Murphy, B. C. (1996).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comforting behavior. Child Development, 67(5), 2227-2247. doi:10.1111/j.1467-8624.1996.tb01854.x 

  32. Eisenberg, N., Fabes, R. A., Shepard, S. A., Guthrie, I. K., Murphy, B. C., & Reiser, M. (1999). Parent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Longitudinal relations to quality of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70(2), 513-534. doi:10.1111/1467-8624.00037 

  33. Eisenberg, N., Gershoff, E. T., Fabes, R. A., Shepard, S. A., Cumberland, A. J., Losoya, S. H., et al. (2001).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social competence: Mediation through children's regul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7(4), 475-490. doi:10.1037/0012-1649.37.4.475 

  34. Fabes, R. A., Eisenberg, N., & Bernzweig, J. (1990). Cop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scale (CCNES): Description and scoring. Tempe, AZ: Arizona State University. 

  35. Goodwin, M. H. (2001). Organizing participation in cross-sex jump rope: Situating gender differences within longitudinal studies of activities. Research on Language and Social Interaction, 34(1), 75-106. doi:10.1207/S15327973RLSI3401_4 

  36. Hatch, J. A. (1987). Status and social power in a kindergarten peer group.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8(1), 79-92. doi:10.1086/461525 

  37. Hartup, W. W. (1996). The company they keep: Friendships and their developmental significance. Child Development, 67(1), 1-13. doi:10.2307/1131681 

  38. Kline, R. 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39. Nelson, J. A., & Boyer, B. P. (2018). Maternal responses to negative emotions and child externalizing behavior: Different relations for 5-, 6-, and 7-year-olds. Social Development, 27(3), 482-494. doi:10.1111/sode.12296 

  40. Rubin, K. H., Chen, X., McDougall, P., Bowker, A., & McKinnon, J. (1995). The waterloo longitudinal project: Predicting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c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4), 751-764. doi:10.1017/S0954579400006829 

  41. Schultz, D., Izard, C. E., & Ackerman, B. P. (2000). Children's anger attribution bias: Relations to family environment and social adjustment. Social Development, 9(3), 284-301. doi:10.1111/1467-9507.00126 

  42. Shields, A. & Cicchetti, D. (1997). Emotion regulation among school-age childre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criterion Q-Sort scale. Developmental Psychology, 33(6), 906-916. doi:10.1037//0012-1649.33.6.906 

  43. Strayer, F. F., & Strayer, J. (1976). An ethological analysis of social agonism and dominance relations among pre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47(4), 980-989. doi:10.2307/1128434 

  44. Sluckin, A. M., & Smith, P. K. (1977). Two approaches to the concept of dominance in pre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48(3), 917-923. doi:10.2307/112834 

  45. Trawick-Smith, J. (1992). A descriptive study of persuasive preschool children: How they get others to do what they want.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1), 95-114. doi:10.1016/0885-2006(92)90021-p 

  46. Von Suchodoletz, A., Trommsdorff, G., & Heikamp, T. (2011). Linking maternal warmth and responsiveness to children's self-regulation. Social Development, 20(3), 486-503. doi:10.1111/j.1467-9507.2010.00588.x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