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의 기질적 까다로움과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중재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ress, Preschoolers' Difficult Temperament and Problematic Behavio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3, 2017년, pp.103 - 119  

한수정 (국제아동발달클리닉) ,  신유림 (가톨릭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ers' difficult temperament, resilience, problematic behavior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In addition, the research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presch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아의 기질적 까다로움은 문제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지만 안정적인 개념으로서 쉽게 변하지 않는 개인의 특성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문제행동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탄력성을 설정하여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적인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탄력성이란 상황의 요구에 맞게 행동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절하게 대처하며 문제해결 책략을 융통성 있게 사용하는 능력이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적 까다로움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러한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호변인으로 유아의 탄력성을 선정하여 중재적 영향을 검증해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 목적 하에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만 4세에서 만 6세에 이르는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기질적 까다로움, 유아 탄력성,어머니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유아 탄력성의 중재효과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문제별로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행동이란? 문제행동이란 주어진 환경적 상황에 적절하지 못한 행동이나 연령에 적절하지 않은 또는 유아가 속하는 사회의 규범에 어긋난 행동을 지칭한다(신나나, 도현심, 최미경, 김민정, 2013). 유아의 문제행동은 부모,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에서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고(김이영, 2014),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빈도나 정도가 점점 높아지며 학령기로 지속되어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남소현, 김영희, 2000).
유아기에 나타나는 문제행동의 원인을 파악하여 개입 또는 예방을 해야 하는 이유는? 문제행동이란 주어진 환경적 상황에 적절하지 못한 행동이나 연령에 적절하지 않은 또는 유아가 속하는 사회의 규범에 어긋난 행동을 지칭한다(신나나, 도현심, 최미경, 김민정, 2013). 유아의 문제행동은 부모,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에서 문제를 발생시키게 되고(김이영, 2014),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빈도나 정도가 점점 높아지며 학령기로 지속되어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남소현, 김영희, 2000). 그러므로 유아기에 나타나는 문제행동의 원인을 조기에 파악하고 개입 또는 예방하여 긍정적인 발달로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아의 까다로움 수준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 문제행동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첫째,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보면, 유아의 까다로움 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높았고, 유아의 까다로움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 문제행동의 정도가 높았다. 예민하고 낮은 적응성을 보이며 끊임없이 양육자를 보채는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를 둔 어머니는 유아를 통제하기에 어려움을 느끼고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한다(정영민, 유연옥,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고윤희 (2012). 어머니 정서표현성 및 영유아 탄력성이 영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과 연령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구희정 (2010).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4(3), 271-291. 

  3. 권정미, 박영준 (2014). 부의 양육참여와 모의 양육신념이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환경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115-143. 

  4. 김나희, 박보경, 도현심 (2012). 어머니의 인성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과보호 및 통제적 양육행동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3), 151-163. 

  5. 김대용, 정규석 (2015).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1(4), 267-295. 

  6. 김미정 (2005). 부모갈등과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내면화와 외현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성민 (2001). 유아의 기질, 성 및 형제 유무에 따른 놀이행동 연구. 서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수정, 곽금주 (2010). 초등 일학년 학교적응의 예언 변인들 간 관련성 탐색: 단기?종단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2), 19-37. 

  9. 김용희 (1991). 유아의 기질에 따른 놀이영역 선택 및 놀이형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이영 (2014). 유아의 문제행동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1), 136-153. 

  11. 김정림, 이은정 (2014).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4), 95-113. 

  12. 김지혜, 조선미, 홍창희, 황순택 (2005). 한국아동 인성평정척도 지침서. 경기: 한국가이던스. 

  13. 김현미, 도현심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14. 남소현, 김영희 (2000). 어머니의 심리적 환경요인과 아동의 외면적 내면적 부적응행동. 대한가정학회, 38(10), 199-213. 

  15. 문상희, 이경님 (2012).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69-89. 

  16. 박은성 (2012). 부모양육태도와 유아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진아 (2011).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자의 심리적응 및 모-자녀관계 관련 연구. 놀이치료연구, 15(1), 43-56. 

  18. 박진아, 이경숙, 신의진 (2009). 모-자녀관계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4), 549-566. 

  19. 송진영 (2011). 학령전환기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한 생태학적 변인 탐색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송진영, 송진숙 (2015). 학령전환기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3), 85-102. 

  21. 신나나, 도현심, 최미경, 김민정 (2013).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아탄력성의 매개적 역할. 아동과 권리, 17(1), 109-135. 

  22. 안지영 (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엄소명 (2013). 어머니와 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만 5세 유아의 문제행동과 자아탄력성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오경자, 김영아 (2008). CBCL 1.5-5 유아행동 평가척도 부모용. 서울: 휴노컨설팅. 

  25. 우수경 (2007). 유아의 성, 기질, 사회적 능력 및 자기통제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427-450. 

  26. 이수기, 문병환 (2011).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5(6), 259-274. 

  27. 이신영, 정현희 (2010). 부모의 부부갈등과 청소년 자녀의 부적응 행동: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7(6), 147-170. 

  28. 이연실 (2014). 유아의 탄력성 군집에 따른 문제행동.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8(4), 61-91. 

  29. 이영분, 이연실 (2012). 유아의 탄력성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28(3), 437-465. 

  30. 이정숙, 문보경 (2011).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정서조절방략이 유아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기질 하위 요인들에 따른 군집을 중심으로.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6(1), 81-97 

  31. 이정숙, 박현숙 (2013). 국내 탄력성 연구 동향분석: 가정학 계열 학회지와 심리학회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2000-2013).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8(2), 23-41. 

  32. 전미순, 이영애 (2009). 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기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모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4), 97-116 

  33. 정영민, 유연옥 (2011). 만 5세 유아의 성별에 따른 탄력성과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사회과학논총, 30(2), 63-83. 

  34. 정옥분 (2006). 사회정서발달. 서울: 학지사. 

  35. 지성애, 이동엽 (2016). 유아의 문제행동 관련 제반변인에 관한 연구: 유아의 사회성, 회복탄력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20(5), 485-513. 

  36. 최효식, 윤해옥, 연은모, (2016).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긍정적 양육태도,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 화 문제행동 간 관계에 대한 단기 종단연구: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유아교육학논집, 20(2), 495-517. 

  37. 허미혜, 이정자 (2010). 부모-자녀 상호작용증진 프로그램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및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까다로운 기질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치료연구, 14(2), 61-77. 

  38. 허순금 (2006).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 어머니의 자녀 양육 스트레스 요인 분석.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허지연 (2004).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관계 및 촉진적 의사소통 능력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허태희 (2008).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1(4), 401-412. 

  42. Abidin, R. R. (1995). Parenting Stress Index (PSI) manual. (3rd e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43. Achenbach, T. M., & Rescorla, L. A. (2000). Mannual for the ASEBA preschool forms & Profiles, Bru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Research center for Children, Youth, & Families. 

  44. Bates, J. E., & Bayles, K. (1988). The role of attachment in the development of behavior problems. In J. Belsky & T. Nezworsky (Eds.), Clinical implication of attachment (pp. 253-295). NY: Wiley. 

  45. Crinic, K., & Greenberg, M. (1990). Minor parenting stres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4(2), 209-217. 

  46. Lemerise, E. A., & Arsenio, W. F. (2000). An integrated model of emotion processes and cognition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Child Development 71(1), 107-118. 

  47. Masten, A. S., Burt, K. B., & Coatsworth, J. D. (2006). Competence and psychopathology in development. In D. Cicchetti & D. J. Cohen (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2nd ed., Vol. 3, pp. 696-738). NY: Wiley. 

  48. Patterson, G. R., (1983). A change agent for familly process. In N. Garmezy, & M. Retter (Eds.),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 (pp. 235-264). NY: McGrew-Hill. 

  49. Ponnet, K., Mortelmans, D., Wouters, E., van Leeuwen, K., Bastaits, K., & Pasteels, K., & Pasteels, I. (2013).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relationship as determinants of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Personal Relationships, 20(2), 259?276. 

  50. Sherman, B. J., Vouspura, E., Wickramaratne, P., Warner, V., & Verdeli, H. (2016). Temperament and major depression: How does difficult temperament affact frequency, severity, and duration of major depressive episodes among offspring of parents with or without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 82-88. 

  51.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Y: Brunner/Mazel. 

  52. Walters, G. D. (2014). Pathways to early delinquency: Exploring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contributions of difficult temperament, low maternal involvement, and externalizing behavior. Journal of Criminal Justice, 42(4), 321-3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