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유방암 환자의 가족지지, 지각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upport,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in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원문보기

종양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11 no.1, 2011년, pp.41 - 48  

태영숙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  김미예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QI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the family support,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 esteem in Korean women with breast cance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14 women with breast cancer in inpatient and outpatient settings at three different univers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들의 가족지지, 지각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가족지지, 지각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한국 유방암 환자들의 심리사회적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여성들의 가족지지, 지각한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환자의 가족지지, 지각한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한국 여성 유방암 환자들의 자아존중감 증진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특히 한국 중년 여성들에게는 가족은 삶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 되며 가족관계 내에서 자신의 자아정체감을 찾는 특성이 있다.7) 또한 가족의 태도나 행동은 질환의 경과에 결정적인 요소가 되고 증상의 악화나 재발에 영향을 미친다.9)우리나라 가족 구조의 특성상 원가족의 지지와 배우자 지지가 중요하며, 특히 여성암 환자들은 남성 암환자에 비해 가족과 친구들의 지지에 더 의지하여 정서적 안정을 얻는 경향이 있으며 심리적으로 이해해주며 지지받기를 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개념이란 무엇인가? 한편, 자아개념은 질환을 경험하면서 이전의 자기 인식에 대한 하나의 도전으로서, 자신을 재정립하려는 요구, 아픈 사람으로서의 역할 수행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손상 후 치료가 가능하며, 시간이 경과되면서 발전될 수 있는 개념이다.13,14) 이 자아개념은 기존의 여러 연구들에서 자아존중감이란 용어로 상용되어 왔다.
유방암 환자를 위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여성들이 속해 있는 사회문화적인 맥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유방은 여성의 성의 상징이며 동시에 모성적인 역할과 문화적인 상징으로서 여성의 자아정체감과 관련된 신체 부위이다.3) 유방암 환자들은 자아정체감, 일상생활, 가족과 사회생활의 변화에 적응을 해야 하며,4) 치료과정 중 유방절제술로 인한 유방의 상실, 약물 치료 부작용과 관련된 모발상실, 임파부종, 체증증가 등의 신체상 장애를 경험하게 되고 이것은 자아존중감의 저하를 가져와,5) 다른 암환자들에 비해 더 많은 정서적 지지를 필요로 한다.6)이러한 복합적인 정서적인 문제를 갖고 있는 유방암 환자를 위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들 여성들이 속해 있는 사회문화적인 맥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본다.
유방이란 무엇인가? 유방은 여성의 성의 상징이며 동시에 모성적인 역할과 문화적인 상징으로서 여성의 자아정체감과 관련된 신체 부위이다.3) 유방암 환자들은 자아정체감, 일상생활, 가족과 사회생활의 변화에 적응을 해야 하며,4) 치료과정 중 유방절제술로 인한 유방의 상실, 약물 치료 부작용과 관련된 모발상실, 임파부종, 체증증가 등의 신체상 장애를 경험하게 되고 이것은 자아존중감의 저하를 가져와,5) 다른 암환자들에 비해 더 많은 정서적 지지를 필요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NCIC.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9. Available at: http://www.cancer.go.kr/cms/statistics/incidence/index.html [accessed on 1, September 2010]. 

  2.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Breast cancer facts & figures. Seoul: Korean Breast Cancer Society;2008. 

  3. Bertero CM. Affected self respect and self value: the impact of breast cancer treatment on self-esteem and Qol. Psychooncology 2002;11: 356-64. 

  4. Loveys BJ, Klaich K. Breast cancer: demends of illness. Oncol Nurs Forum 1991;18:75-80. 

  5. Swinney JE. African americans with cancer: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health perception. Res Nurs Health 2002;25:371-82. 

  6. Rabin EG, Heldt E, Hirakata VN, Bittelbrunn AC, Chachamovich E, Fleck MP. Depression and perceptions of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survivors and their male partners. Oncol Nurs Forum 2009;36:E153-8. 

  7. Lim IS. Breast cancer: damaged body and sense of femininity crisis. J Korean Womens Stud 2000;22:5-46. 

  8. Park EY, Lee M. Illness experience of women with breast cancer in Korea: using feminist phenomenology. J Korean Acad Adult Nurs 2009;21: 504-18. 

  9. Miller JR, Janosik EH. Family focused care. MC Grow-Hill book Com; 1980. 

  10. Hann D, Baker F, Denniston M, Gesme D, Reding D, Flynn T, et al.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ve symptoms in cancer patients age and gender differences. J Psychosom Res 2002;52:279-83. 

  11. Kim SK.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upport, self-care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among female patients under the chemotherapy [master thesis]. Seoul:Ewha Women's Univ.;2004. 

  12. Tae YS. Hope of Korean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Seoul:Ewha Wo-men's Univ.;1994. 

  13. Curbow B, Somerfield M, Legro M, Sonnega J. Self concept and cancer in adul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Soc Sci Med 1990;31: 115-28. 

  14. Morea JM, Friend R, Bennet RM.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illness self concept: a comparision with self-esteem and optimism in predicting fibromyalgia adjustment. Res Nurs Health 2008;31:563-75. 

  15. Tae YS, Kim MY. Influencing factors on hope among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 Korean Oncol Nurs 2009;9:86-94. 

  16. Jung KS, Park GJ. Relationships among body image,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mastectomy patients. J Korean Oncol Nurs 2007;7:36-46. 

  17. Kim YS.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master thesis]. Busan:Kosin Univ.;2009. 

  18. Kang HS.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 care activities [dissertation]. Seoul:Yonsei Univ.;1985. 

  19. Park GJ, Lee KH. A structural model for depression in middle 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2;8:69-84. 

  20.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dissertation]. NJ: Princeton Univ.;1965. 

  21. Chon BJ. Self 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974; 11:107-24. 

  22. Kim HK, Ko SH. A study on the spiritual well-being,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of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05; 17:822-9. 

  23. Lee PS. A study o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master thesis]. Seoul:Ewha Women's Univ.;2008. 

  24. Kim YO.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family support, self esteem, and quality of life of operative patient of laryngeal cancer [master thesis]. Chonbuk:Chonbuk Univ.;2003. 

  25. Kim MR.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women's life stress and depression tendency: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Korean J Health Psychol 2007;12:761-77. 

  26. Ashing-Giwa KT, Lim JW. Examining the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and socioecologic stress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Oncol Nurs Forum 2009; 36:79-88. 

  27. Kwon SY.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support and self esteem of breast cancer patient on the depression [master thesis]. Daigu:Younhnam Univ.; 2008. 

  28. Lee US. A study of Korean women's religiosity within the evolving process of Korean religious culture. J Korean Hist Thoughts 2003; 21:549-83. 

  29. Hartman EE, Oort FJ, Visser MR, Sprangers MA, Hannerman MJ, Langen ZJ, et al. Explaining change over time in quality of life of adult patient with anorectal malformations or Hirschsprung's disease. Dis Colon Rectum 2006;49:96-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