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관련 특성 및 낙상발생 예측요인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for Falls in Tertiary Hospital In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3, 2017년, pp.420 - 430  

최은주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이영신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양은정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김지희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김연희 (서울아산병원 간호부) ,  박현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and risk factors for accidental inpatient falls. Method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fallers or non-fallers based on the fall history of inpatients in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between June 2014 and May 2015. Data on falls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낙상을 경험한 환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낙상경험이 없는 환자와 낙상경험이 있는 환자의 특성을 비교하여 낙상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에서 낙상발생보고서, 낙상사정도구, 전자간호기록 자료를 활용하여 낙상발생 현황과 낙상환자의 특징을 분석하고, 낙상경험이 없는 환자와 낙상경험이 있는 환자를 비교함으로써 낙상 위험요인을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의 낙상발생보고서와 전자간호기록(Electronic Nursing Record [ENR]) 자료에서 낙상환자, 비 낙상환자의 MFS 평가 점수 및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상태를 포함한 복합적인 위험요인을 조사하여 낙상 발생현황 및 낙상환자의 특성을 기술하고, 낙상 환자군과 비낙상 환자군간 이들 특성의 차이를 규명하여 낙상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후 현재 사용 중인 낙상 위험 사정 도구(MFS)를 적절성을 평가하는 데 활용하고자 한다.
  • 일개 종합병원의 낙상발생보고서와 전자간호기록 자료를 이용하여 입원환자의 낙상발생 현황과 낙상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임상적 특성을 파악하고 입원 기간 동안 낙상이 발생한 낙상 환자군과 낙상이 발생하지 않은 비낙상 환자군의 특성을 비교하여 낙상발생 위험요인을 파악한 후향적 사례-대조군 연구(case-control study)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상발생시간이 발생하는 시간대를 미뤄 봤을 때, 어떤 조취가 필요한가? 이 결과는 Yang과 Chun [20]의 연구와 Kim과 Choi-Kwon [3]의 연구 결과와 동일하였다. 밤 시간대에는 주변이 어둡고 환자가 졸리거나 잠이 덜 깬 상태에서 이동하여 낙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환자가 움직일 때 보호자나 의료진의 도움을 요청하도록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자가 밤 시간대에 보호자를 깨우고 싶지 않아 혼자 움직이다 낙상이 발생하므로 환자가 침상을 벗어나는 경우 알람이나 센서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설치와 환자 교육 시에 호출기 사용에 대한 교육을 강조해야 한다. 
국내 환자들의 낙상발생률은 어느 정도로 추정되는가? 다른 어느 곳보다 낙상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의료기관에서[1], 낙상은 환자안전 문제와 직결되어 낙상 발생률은 전세계적으로 간호의 질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2]. 국내 의료기관 대부분이 환자안전사고 관련 통계의 발표를 주저하고 있어 우리나라 입원환자의 낙상발생률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렵지만, 3차 종합병원에서 1년간 전체 입원 환자 중 15세 이상 환자의 낙상 발생률은 0.19%로 입원환자 1000명당 1.9명이 낙상하는 것으로 추정되며[3], 미국의 경우 급성의료기관 입원환자의 낙상발생률이 1.9~3%에 달하고[4], 낙상환자의 약 30%가 심각한 상해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5].
국내의 낙상 연구는 무엇이 주를 이루는가? 지금까지 국내의 낙상 연구는 지역사회, 요양시설 및 재가 노인을 대상으로 낙상 예측 요인분석과 낙상 예방중재 연구[16], 의료기관내 특정 영역의 낙상 관련 연구[17], 낙상 위험 사정 도구에 대한 연구[18,19]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종합병원에서 전반적인 낙상발생 위험요인과 낙상도구항목을 같이 살펴본 대규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낙상 발생 위험이 높은 환자들이 많이 입원하는 종합병원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낙상 발생위험 요인과 현재 사용중인 낙상도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Hayes N. Prevention of falls among older patients in the hospital environment.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04;13(15):896-901. http://dx.doi.org/10.12968/bjon.2004.13.15.15525 

  2.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Slips, trips and falls in hospital [Internet]. London, UK: Author; 2007 [cited 2017 January 1]. Available from: http://www.npsa.nhs.uk. 

  3. Kim YS, Choi-Kwon S. Fall risk factors and fall risk assessment of in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1):74-82.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74 

  4. Currie L. Fall and Injury prevention. In: Hughes RG, editor. Patient safety and quality: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8. 

  5. Smith IJ, editor. Reducing the risk of falls in your health care organization. Terrace, IL: Joint Commission Resources; 2005. 

  6. Kim CG, Suh MJ.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its related factors of fall in inpatients.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2002;9(2):210-228. 

  7. Browne JA, Covington BG, Davila Y.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to assist in redesign of a fall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004;19(3):218-225. 

  8. Oliver D, Daly F, Martin FC, McMurdo ME. Risk factors and risk assessment tools for falls in hospital in-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ge and Ageing. 2004;33(2):122-130. http://dx.doi.org/10.1093/ageing/afh017 

  9. Vassallo M, Stockdale R, Sharma JC, Briggs R, Allen S. A comparative study of the use of four fall risk assessment tools on acute medical ward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5;53(6):1034-1038.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5.53316.x 

  10. Morse JM, Morse RM, Tylko SJ. Development of a scale to identify the fall-prone patient. Canadian Journal on Aging. 2010;8(4):366-377. http://dx.doi.org/10.1017/S0714980800008576 

  11. Morse JM. Preventing patient fall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09. 

  12. Kim SR, Yoo SH, Shin YS, Jeon JY, Kim JY, Kang SJ, et al. Comparis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all risk assessment tools in patients with acute neurological disord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1):24-32.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24 

  13. Jang IS, Lee SG. Fall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an acute hospital setting across clinical departm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3):264-274.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3.264 

  14. DiBardino D, Cohen ER, Didwania A. Meta-analysis: Multidisciplinary fall prevention strategies in the acute care inpatient population. Journal of Hospital Medicine. 2012;7(6):497-503. http://dx.doi.org/10.1002/jhm.1917 

  15. Miake-Lye IM, Hempel S, Ganz DA, Shekelle PG. Inpatient fall prevention programs as a patient safety strategy: A systematic review.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13;158(5 Pt 2):390-396. http://dx.doi.org/10.7326/0003-4819-158-5-201303051-00005 

  16. Gu MO, Jeon MY, Kim HJ, Eun Y. A review of exercise interventions for fall preven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6):1101-1112. http://dx.doi.org/10.4040/jkan.2005.35.6.1101 

  17. Baeck YJ. Fall risk at the emergency department in patient [master's thesis].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1. p. 1-65. 

  18. Kim KS, Kim JA, Choi YK, Kim YJ, Park MH, Kim HY,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the validity of fall risk assessment scales in Korean hospitals. Asian Nursing Research. 2011;5(1):28-37. 

  19. Park IS, Cho I, Kim EM, Kim MK. Evaluation of a fall risk assessment tool to establish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process for inpatients' f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4):484-492.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4.484 

  20. Yang HM, Chun BC. Falls in the general hospital inpatients: Incidence, associ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009;15(2):107-120. 

  21. Lee YJ, Gu MO. Circumstances, risk factors, and the predictors of falls among patients in the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2):252-265. http://dx.doi.org/10.22650/JKCNR.2015.21.2.252 

  22. Kang YO, Song R.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fall episodes and fall-related risks of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5;22(3):149-159. http://dx.doi.org/10.5953/JMJH.2015.22.3.149 

  23. Shin JG. Prevalence and management of falls among elderly in a hospital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1. p.1-61. 

  24. Sohng KY, Cho OH, Park MH. Medication use as a risk factor for falls among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3(1):60-67. 

  25. Walker PC, Alrawi A, Mitchell JF, Regal RE, Khanderia U. Medication use as a risk factor for falls among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2005;62(23):2495-2499. http://dx.doi.org/10.2146/ajhp050116 

  26. Gray-Micelli D. Preventing falls in acute care. In: Capezuti E, Zwicker D, Mezey M, Fulmer T, editors. Evidence-based geriatric nursing protocols for best practice. 3rd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8. p. 161-198. 

  27. Sung YH, Kwon IG, Kim KH. Factors influencing falls in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6;13(2):200-207. 

  28. Kim EK, Lee JC, Eom MR. Falls risk factors of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5):676-684. http://dx.doi.org/10.4040/jkan.2008.38.5.676 

  29. Hendrich AL, Bender PS, Nyhuis A. Validation of the Hendrich II fall risk model: A large concurrent case/control study of hospitalized patients. Applied Nursing Research. 2003;16(1):9-21. http://dx.doi.org/10.1053/apnr.2003.YAPNR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