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학습자 영어 모음 발화의 음성학적 차이와 발음 이해도, 말하기 점수와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phonetic differences of Korean learners' production of English vowels, pronunciation intelligibility and speaking proficiency test score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9 no.2, 2017년, pp.1 - 7  

김지은 (가톨릭관동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phonetic differences among Korean learners' production of English front vowels, pronunciation intelligibility and speaking proficiency test score. To do so, thirty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1) to read English text book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여기에서 좀 더 나아가 강세를 받는 모음과 강세를 받지 않는 모음이 불규칙적으로 섞여있는 문장을 발화하도록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강세를 고려한 각 모음 발음의 정확도가 영어 발음에 있어서 얼마나 의미가 있는지 또한 연구한다. 예를 들면, 어떤 모음의 영어 발음은 원어민과 조금 차이가 있어도 의미 전달에 별로 어려움을 주지 않아서 발음의 오류가 전체 발음 이해도나 말하기 점수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어떤 모음의 경우는 발음의 오류가 있는 경우 의미 전달에 좀 더 큰 영향을 주어서 전체 발음 이해도나 의사소통에 큰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을 것이며, 어떤 모음의 경우에는 원어민 화자와 매우 비슷하게 발음해야만하고 어떤 모음의 경우에는 영어 원어민 화자들 사이에도 비교적 차이가 있어서 올바른 발음의 포먼트 영역이 좀 더 큰 경우도 있을 것이다.
  • 발음 이해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기 위해 그룹 간 차이가 유의미한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그룹간의 차이가 유의미한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ANOVA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 본 연구는 여러 발음들과 요소들 중 한국인이 어려워하는 전설모음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인의 영어 모음 발음 요소들(F1, F2, 피치, 길이, 강도)이 교과서 읽기와 그림 설명의 발음 이해도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말하기 평가 점수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연속된 문장들의 발화에서의 모음 발음을 분석하기 위하여 교과서 지문의 연속 문장 읽기 녹음과 좀 더 자유로운 발화에서의 모음 발음을 분석하기 위한 그림 설명 녹음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여러 발음들과 요소들 중 한국인이 어려워하는 전설 모음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인의 영어 모음 발음 요소들(F1, F2, 피치, 길이, 강도)이 발음 이해도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 말하기 평가 점수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지금까지 대부분의 모음 발음에 대한 연구들은 한국인들의 영어 강세모음의 영어 포먼트나 모음 길이를 영어 원어민 화자와 비교하거나, 약화 모음의 약화정도를 비교하거나, 강세 실현을 제대로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최근에는 강세를 고려한 모음 포먼트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김수정, 2005; 양병곤, 2002; 김지은, 2013). 본 연구에서는 여기에서 좀 더 나아가 강세를 받는 모음과 강세를 받지 않는 모음이 불규칙적으로 섞여있는 문장을 발화하도록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강세를 고려한 각 모음 발음의 정확도가 영어 발음에 있어서 얼마나 의미가 있는지 또한 연구한다.
  • 마지막으로 [æ]는 모두 강세를 받는 환경에 있는 모음이었다. 자연스러운 발화, 즉 그림 설명에서는 말하는 내용이 모두 달라, 내용에 따라 강세가 주어지는 환경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즉, 내용어이면서 처음 나오는 단어이거나 주강세가 주어지는 경우는 강세가 주어지는 환경으로 판단하였고, 기능어 이거나 같은 단어가 앞에서 언급되어 중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강세가 주어지지 않는 환경으로 간주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는데, 화자의 의도를 파악하기가 어려웠고, 화자에 따라서는 많이 약화되어 정확한 측정이 불가한 모음도 많아서, 본 연구에서는 목표 모음을 포함하고 있는 단어들에서의 강세 모음의 값만을 측정하였다.
  • 자연스러운 발화, 즉 그림 설명에서는 말하는 내용이 모두 달라, 내용에 따라 강세가 주어지는 환경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즉, 내용어이면서 처음 나오는 단어이거나 주강세가 주어지는 경우는 강세가 주어지는 환경으로 판단하였고, 기능어 이거나 같은 단어가 앞에서 언급되어 중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강세가 주어지지 않는 환경으로 간주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는데, 화자의 의도를 파악하기가 어려웠고, 화자에 따라서는 많이 약화되어 정확한 측정이 불가한 모음도 많아서, 본 연구에서는 목표 모음을 포함하고 있는 단어들에서의 강세 모음의 값만을 측정하였다.

가설 설정

  • 1: 발화자의 발음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 2: 상당한 외국인 발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발화는 이해할만 하다. 그러나 분절음의 실수와 외국인 발음의 억양 및 강세가 자주 나타나 이해도가 상당히 떨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의 모음 발음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이뤄졌는가? 따라서 한국인들에게는 이러한 강세의 실현이 비교적 어려운데, 더욱이 모음의 포먼트를 영어 원어민 화자와 동일하게 구현하기도 어렵고, 강세에 따라서 영어 포먼트나 길이가 변화하기도 하여 모음 발화가 더욱 어려워진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모음 발음에 대한 연구들은 한국인들의 영어 강세모음의 영어 포먼트나 모음 길이를 영어 원어민 화자와 비교하거나, 약화 모음의 약화정도를 비교하거나, 강세 실현을 제대로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많았으며, 최근에는 강세를 고려한 모음 포먼트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김수정, 2005; 양병곤, 2002; 김지은, 2013). 본 연구에서는 여기에서 좀 더 나아가 강세를 받는 모음과 강세를 받지 않는 모음이 불규칙적으로 섞여있는 문장을 발화하도록 한다.
한국인이 영어 강세의 실현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영어를 발화할 때에는 한국어와는 달리 강세를 받는 부분과 받지 않는 부분을 구별하여 강세를 받는 부분은 정확히 발화하고 비강세 모음에 비해 좀 더 길고 높고 세게 발화하는 반면, 강세를 받지 않는 부분은 짧고 낮고 약하게 발음하며 /ə/나 이완모음 /ɪ/로 발화하기도 한다(Pickett, 1980; Ladefoged, 2001). 따라서 한국인들에게는 이러한 강세의 실현이 비교적 어려운데, 더욱이 모음의 포먼트를 영어 원어민 화자와 동일하게 구현하기도 어렵고, 강세에 따라서 영어 포먼트나 길이가 변화하기도 하여 모음 발화가 더욱 어려워진다.
국내의 영어 교육에서 발음에 대한 의견은 어떠한가? Gilbert(2010)는 최근 발음 교육이 제 2언어 교육과정에서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하였는데, 실제로 의사소통 중심 제 2 언어 교육에서는 교육과정에 발음 교육이 비교적 소외되고 있는 경향이 없지 않다. 국내의 영어 교육에서도 예외는 아니며, 영어과 교육과정이나 실제 영어 수업에서 발음 교육을 어느 정도 포함 시켜야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여러 학자들과 영어 교사들 사이에서 계속되고 있다. 의사소통 중심 발음 교육이나 다양한 영어 발음이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것을 이유로 별도의 영어발음 교육이 필요 없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발음이 언어학적, 의사소통적, 그리고 정의적인 면에서 중요하므로(Stern, 1992) 좀 더 원활한 의사소통이나 이 외의 측면에서 별도의 충분한 발음 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Gilbert, J. (2010). Pronunciation as orphan: What can be done? Speak Out, 43, 3-7. 

  2. James, E. (1976). The acquisition of prosodic features of speech usinga speech visualizer.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inLanguage Teaching, 14(3), 227-243. 

  3. Kang, S., & Rhee, S. (2011). A study on the Suprasegmental Parameters Exerting an Effect on the Judgment of Goodness or Badness on Korean-spoken English.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3(2), 3-10. (강석한.이석재 (2011). 한국인 영어 발음의 좋음과 나쁨 인지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초분절 매개 변수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3(2), 3-10.) 

  4. Kim, J. (2012).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Korean Speakers' English Stop Pronunciation Accuracy and Pronunciation Proficiency.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4(3), 51-58. (김지은 (2012). 한국인의 영어 폐쇄음 발화의 정확성과 발음 숙련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4(3), 51-58.) 

  5. Kim, J. (2013). The Formant Frequency Differences of English Vowels as a Function of Stress and its Applications on Vowel Pronunciation Training.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2), 53-58. (김지은 (2013). 강세에 따른 영어 모음의 포먼트 변이와 모음 발음 교육에의 응용. 말소리와 음성과학, 5(2), 53-58.) 

  6. Kim, J. (2014). A Study on Realizations of English Stress and Vowel Formant Frequency by Korean Learne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6(1), 39-45. (김지은 (2014).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강세 실현과 모음 포먼트에 관한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6(1), 39-45.) 

  7. Kim, S. (2005). Phonetic realization of the unstressed weak vowel 'Schwa' in English. Speech Sciences, 12(4), 167-180. (김수정 (2005). 영어의 비강세 약모음 schwa /?/의 음성 실현. 음성과학, 12(4), 167-180.) 

  8. Ladefoged, P. (2001). A course in phonetics. Boston, MA: Heinle & Heinle. 

  9. Lee, J. (2015). Middle School English. Seoul: Chunje Gyoyuk (이재영 (2015). Middle School English. 서울: 천재교육.) 

  10. Pickett, J. M. (1980). The sounds of speech communication. Austin, Texas: Pro-ed. 

  11. Stern, R. W. (1992). Issues and options in language teach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2. Wong, R. (1985). Teaching Pronunciation: Focus on English Rhythm Intonation. New York: Prentice-Hall. 

  13. Yang, B. (2002). An Acoustical Study of English Word Stress Produced by Americans and Koreans. Speech Sciences, 9(1), 77-88. (양병곤 (2002). 미국인과 한국인이 쓴 영어 단어 스트레스에 대한 음향학적 연구. 음성과학, 9(1), 77-88.) 

  14. Yun, W. (2009). The study on Korean-spoken English between Koreans and native English speakers. Language Science Study, 48, 201-217. (윤원희 (2009). 한국인 영어 학습자 발음 평가에 대한 한국인의 차이. 언어과학연구, 48, 207-2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