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중등학생 대상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분류체계 모형 설계
Classification System Model Design for Algorithm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1 no.3, 2017년, pp.297 - 307  

이영호 (서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구덕회 (서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생 대상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알고리즘 분류체계를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알고리즘의 구성요소를 정의하고, 분석합성식 방법으로 알고리즘 분류체계를 표현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의 목적과 분류의 종류에 대한 이론적인 탐색을 실시하였다. 둘째, 기존에 제안된 알고리즘 내용에 대한 분류체계의 내용과 그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알고리즘 교육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알고리즘 교육 내용 및 선정 기준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알고리즘의 분류를 위해 알고리즘 구성요소를 NRC에서 제시한 핵심 아이디어와 관통 개념을 사용하여 재정의하였다. 그리고 알고리즘 관통 개념을 디자인 구조와 자료구조로 세분화하여 그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이 내용을 분석합성식 분류체계를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집단의 검토를 통해 제안한 내용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알고리즘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는 알고리즘 교육에 있어 내용 선정 및 교육 방법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lgorithm classification system for algorithm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We defines the components of the algorithm and expresses the algorithm classification system by the analysis synthesis method.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 및 창의적인 알고리즘 생성을 목표로 가진 교육에서 사용할 알고리즘의 분류체계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알고리즘의 구성요소간의 연계를 나타낼 수 있는 분류 방식을 도입하고자 한다.
  • 이러한 소프트웨어가 사회에 미치는 파급력은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20]. 변화된 교육과정의 주된 목표는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를 향상시켜 새로운 사회에서의 적응력을 높이고 그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활용 교육에서 더 나아가 소프트웨어의 핵심에 도달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 효과적인 알고리즘 교육을 위해서는 알고리즘 교육 내용에 대한 체계적인 분류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알고리즘 교육을 위해 알고리즘의 교육 내용과 알고리즘 내용 분류체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알고리즘의 구성요소를 알고리즘의 핵심 아이디어와 관통 개념으로 구분하였으며, 관통 개념을 알고리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디자인 설계로 제시하였다.
  • 본 장에서는 앞 절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과 기존알고리즘 분야의 분류 현황과 분석을 토대로 기존 분류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분류체계 모형을 제안한다. 연구에서 제시하는 알고리즘 분류체계 모형에서 다루는 알고리즘은 현재 생성된 모든 알고리즘의 정보와 지식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 관통 개념과 핵심 아이디어는 미국 국립연구평의회(NRC)에서 유초중등 과학 교육의 표준을 만들기 위한 연구에서 제시된 개념이다[14]. 이 연구에서는 과학의 각 학문 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 각 주제에 대한 핵심 아이디어를 추출하고, 주제에 대한 이해를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관통 개념을 적용하는 방향으로 차세대 과학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하지만 기존제시된 분류체계로는 개념의 연계나 위계를 나타내는데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학생 대상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분류체계 모형 설계를 위해 알고리즘의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알고리즘을 분류체계 이론에서 제시하는 구조와 표현방법을 사용하여 분류체계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교식은 알고리즘을 어떻게 분류하였나? 문교식은 알고리즘을 개념적 알고리즘, 자료 구조적 알고리즘, 필수 알고리즘으로 분류하였다[4]. 먼저 개념적 알고리즘을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으로서 가시적이지는 않지만 문제 해결 과정에 자연스럽게 융합되어 문제 해결 방향을 안내하는 원리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정의하였다.
알고리즘은 어떤 분야의 기초가 되는가?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활용 교육에서 더 나아가 소프트웨어의 핵심에 도달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다양한 컴퓨터 과학 분야 중에서도 알고리즘은 컴퓨터 과학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분야의 기초가 되는 부분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성능은 어떤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었는지, 그리고 그 알고리즘이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얼마나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에 달려있기 때문이다[1].
변화된 교육과정의 주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교육이 필요한가? 변화된 교육과정의 주된 목표는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를 향상시켜 새로운 사회에서의 적응력을 높이고 그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활용 교육에서 더 나아가 소프트웨어의 핵심에 도달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다양한 컴퓨터 과학 분야 중에서도 알고리즘은 컴퓨터 과학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분야의 기초가 되는 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CM/IEEE-CS Joint Task Force on Computing Curricula. (2013). ACM/IEEE Computing Curricula 2013 Final Report. https://www.acm.org/education/CS2013-final-report.pdf. 

  2. Buchanan, B. (1979). Theory of library classification. 

  3. Cormen, T. H. (2009). Introduction to algorithms. MIT press. 

  4. Gyosik Moon (2007). On the Direction of the Computer Algorithm Education Based on Conceptual Algorithm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1(1). 

  5. Gyuhee Kim (2010). A Study 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Model for Design Research.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6. Heeyun Yoon (2005). Information Data Classification. Taeyeon Company. 

  7. Hyunhee Kim (2011).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lay-based Algorithm Learning Program for Improving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Jeju National Univer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8. Incheol Hwang (2009). Effect of the play-centered algorithm learning on the improvement of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9. Jindong Kim (2010). The Effect of Algorithm Learning in Real Life Case on Logical Think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4(4). 

  10. Jongwook Seo (2003).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Utilization Plan of Enterprise Information System Research.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 Thesis. 

  11. Jungwon Choi., Youngjun Lee (2015). The impact of puzzle based algorithm learning on problem solving skill of learner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8(4). 

  12. Kichul Lee (2006). The Study of Applying Discovery Study for the Elevation of Algorithm Contemplative Faculty.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13.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14.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National Academies Press. 

  15. Sanghoon Kim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algorithm learning web based courseware for the elementary information gifted childre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s Thesis. 

  16. Seonryeon Baek., Jeongbeom Song., Jungho Park., & Taewuk Lee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lgorithm Teaching Materials Centered in Plays for Problem-solving Abilities of Elementar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1(1). 

  17. Sneath, P. H., & Sokal, R. R. (1973). Numerical taxonomy.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numerical classification. 

  18. Taesoo Kim (2000). Understanding Classification. Seoul: Literatur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19. Tucker, A. (2003).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Final Report of the ACM K-12 Task Force Curriculum Committee. 

  20. Wohl, B. S., Beck, S., & Blair, L. (2017). The Future of the Computing Curriculum: How the Computing Curriculum Instills Values and Subjectivity in Young People. 

  21. Yeonkyung Ahn (2010). Algorithm design technique learning courseware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