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he Roots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8 no.2, 2017년, pp.155 - 159  

김유경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  정길생 (계명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Moraceae) is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that has been widely used 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ory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hat the 70% ethanol extract of the roots of C. tricuspidata (CTE) suppressed receptor activator of N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여 골다공증의 치료와 예방 가능한 천연물로 꾸지뽕나무 뿌리를 대상으로 파골세포 분화에 대한 억제 효능과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꾸지뽕나무의 추출물을 추출한 방법은? 추출 − 건조된 꾸지뽕나무 뿌리 600g을 70% 에탄올로 용매 6L를 넣어 추출, 여과하고 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추출물(CTE) 118.12 g을 얻었다.
실험에 필요한 RAW 264.7 세포주를 세포배양한 방법은? 세포배양 −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주는 American Type Culutre Collection(ATCC)사에서 구매하여사용하였으며, DMEM 배지에 10% FBS와 1% penicillin streptomycin을 첨가하여 37oC,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일 마다 계대배양 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CTE의 세포 독성 효과를 관찰했을때, 24시간 배양했을때의 결과는? 1). 관찰한 결과, 24시간 배양 시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i, S. R., You, D. H., Kim, J. Y., Park, C. B., Kim, D. Y. and Ryu, J. (2009)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harvesting parts and time. Korean J. Medicianl Crop. Sci. 17: 115-120. 

  2. Kim, O. K., Ho, J. N., Nam, D. E., Jun, W. J., Hwang, K. T., Kang, J. E., Chae, O. S. and Lee, J. M. (2012) Hepatoprotective effect of Cudrania tricuspidata extracts against oxidative dam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7-13. 

  3. Lee, H. J., Do, J. R., Kwon, J. H. and Kim, H. Y. (2011)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42-948. 

  4. Kwon, J. Y., Hiep, N., Kim, D. W., Hong, S. G., Guo, Y., Hwang, B. Y., Lee, H. J., Mar, W. C. and Lee, D. H. (2016) Chemical constituents isolated from the root bark of Cudrania tricuspidata and their potential neuroprotective effects. J. Nat. Prod. 79: 1938-1951. 

  5. Geng, X. L., Yang, L. B., Zhang, C., Qin, H. and Liang, Q, D. (2015) Wogonin inhibits osteoclast differentiation by inhibiting NFATc1 translocation into the nucleus. Exp. Ther. Med. 10: 1066-1070. 

  6. Goltzman, D. (2002) Discoveries, drugs and skeletal disorders. Nat. Rev. Drug. Discov. 1: 784-796. 

  7. Nie, S. B., Xu, J. W., Zhang, C. H., Xu, C., Liu, M. and Yu, D. G. (2015) Salicortin inhibits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resorption by down-reuglating JNK and NF- ${\kappa}B$ / NFATc1 signaling pathways. Biochem. Biophys. Res. Commun. 470: 61-67. 

  8. Wu, Y. B., Zheng, C. J., Qin, J. P., Sun, L. N., Han, T., Jiao, L., Zhang, Q. Y. and Wu, J. Z. (2009) Antiosteoporotic activity of anthraquinones from Morinda officinalis on osteoblasts and osteoclasts. Molecules 1: 573-583. 

  9. Murakiami, H., Takahashi, N., Tanaka, S., Nakamura, I., Udagawa, N., Nakajo, S., Nakaya, K., Abe, M., Yuda, Y., Konno, F., Barbier, A. and Suda, T. (1997) Tiludronate inhibits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activity in osteoclasts. Bone 20: 399-404. 

  10. Hadjdaksis, D. J. and Androulakis, I. I. (2006) Bone remodeling. Ann. N. Y. Acad. Sci. 1092: 385-396. 

  11. Li, C. H., Yang, Z. F., Li, Z. X., Ma, Y., Zhang, L. P. Zheng, C. B., Qiu, W. W., Wu, X. A., Wang, X., Li, H., Tang, J., Qian, M., Li, D., Wang, P., Luo, J. A. and Liu, M. G. (2011) Maslinic acid suppresses osteoclastogenesis and prevents ovariectomy-induced bone loss by regulating RANKL-mediated NF- ${\kappa}B$ and MAPK signaling pathways. J. Bone Miner. Res. 26: 644-656. 

  12. Lee, J. H., Jin, H. X., Shim, H. E., Kim, H. N., Ha, H. I. and Lee, Z. H. (2010) Epigallocatechin-3-gallate inhibits osteoclastogenesis by down-regulating c-Fos expression and suppressing the nuclear factor- ${\kappa}B$ signal. E. Mol. Pharmacol. 77: 17-25. 

  13. Teitelbaum, S. L. (2007) Osteoclasts: What do they do how do they do it? Am. J. Pathol. 170: 427-435.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