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두복합추출물이 골수유래대식세포의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Juglans regia Complex Extract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from Bone Marrow Derived Macrophage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3 no.3, 2019년, pp.169 - 174  

공해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강재희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유화연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이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Juglans regia complex extract(JCE) consisted of Juglans regia, Eucommia ulmoides,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Zingiber officinale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Cell toxicity test by using CCK-8, TRAP activity and TRAP positiv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파골세포 분화에 효과가 있다고 밝혀진 단일 한약재 중 호두, 두충, 오가피, 생강을 사용하여 단독 추출물 및 복합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포독성 측정에서 안전성을 확인한 후, TRAP activity, TRAP 활성세포 염색 세포 수 측정 실험을 시행하여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파골세포 분화에 효과가 있다고 밝혀진 단일 한약재 중 호두, 두충, 오가피, 생강을 사용하여 단독 추출물 및 복합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포독성 측정에서 안전성을 확인한 후, TRAP activity, TRAP 활성세포 염색 세포 수 측정 실험을 시행하여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경 후 여성이 골절의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이유는? 그러므로 노령화에 따른 골 질환 발생에 있어 예방 및 치료 방법으로 조골세포의 뼈 형성 촉진보다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 억제가 더 중요하다 할 수 있다5). 특히, 폐경 후 여성은 체내의 에스트로겐 호르몬 감소로 골 흡수 억제가 줄어들고, 장에서는 칼슘의 흡수가 감소하여 현저한 골 소실이 일어나 골절의 위험이 크게 증가하므로골 흡수 억제가 임상적으로 중요하다6).
골다공증의 정의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 WHO)에서는 골다공증을 미세구조의 이상과 골량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여 뼈가 약해지는 결과로 골절이 발생하기 쉬운 상태가 되는 전신적인 골격계질환으로 정의하고 있다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골다공증(M81 병적 골절을 동반하지 않은 골다공증)으로 병의원에 내원한 환자 수는 2013년 744,820명에서 2017년 855,764명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2).
노령화에 따른 골 질환 발생의 원인은? 따라서뼈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골세포와 파골세포 간의 균형이 중요하며 이 균형의 붕괴는 골절과 같은 뼈 질환을 쉽게 초래하게 된다. 노령화에 의한 이러한 조골세포와 파골세포 간의 균형의 붕괴는 파골세포의 뼈 파괴 능력이 조골세포의 뼈 형성 능력보다 과도해져 항상성이 깨어지는 것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4). 그러므로 노령화에 따른 골 질환 발생에 있어 예방 및 치료 방법으로 조골세포의 뼈 형성 촉진보다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 억제가 더 중요하다 할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