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남 유통 브랜드쌀 품질의 연중 및 연차 변이 특성
Characterization of Seasonal and Annual Variations in Quality of Rice Brands Distributed in Jeonnam Provinc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2 no.2, 2017년, pp.79 - 86  

안규남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이인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신서호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민현경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권오도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박흥규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신해룡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김한용 (전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남지역 시군에서 생산, 유통되고 있는 브랜드쌀의 품질평가를 실시하여 연차간 변이와 유통쌀의 품질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남의 연중 브랜드쌀 품질 변이는 도요윤기치 3.1%, 백도 2.1%, 단백질함량 1.6%, 수분함량 1.0%, 완전미율 0.4% 순으로 컸고 4월 이후부터 품질특성이 저하되었다. 2. 연차별 브랜드쌀 품질 변이는 단백질함량(5.6%), 도요윤기치(5.2%)가 컸고 백도(2.7%), 완전미율(1.8%)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3. 식미치와 단백질함량은 최저기온, 일조시간, 강수량, 일교차와 높은 상관을 보였고 완전미율은 일교차와 부의 상관을, 분상질립율은 강수량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4. 단백질함량, 수분함량, 백도, 완전미율 등 밥맛과 상관이 높은 항목을 이용한 식미추정회귀식 산정 결과 y = - 6.71a + 2.27b + 1.29c + 0.51d - 15.34 ($R^2$=0.51*)이었으며 이 때 y는 관능식미, a는 단백질함량(%), b는 수분함량(%), c는 백도, d는 완전미율(%)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seasonal and annual variations in rice quality and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for quality evaluation of the brand rice varieties produced in Jeonnam region. Coefficient of variation (CV) values for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rice quality were 3.1% in Toyo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6). 따라서 본 연구는 전남지역에서 유통되는 브랜드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연중 및 연차간 품질변이를 분석하여 전남쌀의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확 후 벼의 품질변화를 최소화 하기위한 건조공정의 조건은? 수확후 벼의 품질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벼를 수확하고 나서 6시간 이내에 건조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40℃와 45℃ 온도에서 건조할 때 98%와 93% 이상의 발아율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Lee et al., 1991).
수확후 벼를 상온저장 시, 나타나는 변화는? 저장단계에서는 호흡 및 효소작용에 의한 화학적 물리적 변화로 식미가 저하되는데, 주로 온도와 수분조건에 의존한다고 하였으며(Zhout et al., 2002) 상온저장시 외기온도의 변화에 따라 벼의 건습이 반복되어 균열이 생기고 도정중에 싸라기 발생을 증가시킨다(Kunze, 2008). 또한 벼의 함수율이 많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호흡율이 높고 식미치가 낮아진다(Choi et al.
쌀 수확 전 후, 쌀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전국에 등록된 브랜드쌀은 2006년 1,873개를 정점으로 브랜드 통합관리대책에 따라 2010년 기준 약 1,650개로 감소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쌀 브랜드가 생겨나고 있어 품질 차별화가 되지 않고 있다. 쌀 품질은 품종, 기상, 재배방법과 관련된 수확전 단계에서 대부분 결정이 되며 건조, 저장, 도정에 이르는 수확후 관리방법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Choi, 2002; Son et al., 2002) 연중 균일한 품질의 쌀을 생산ㆍ유통시키기 위해서는 철저한 재배 및 수확후 관리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oi, H. C., 2002.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s. Korean J. Crop Sci. 47(s) : 15-32. 

  2. Choi, H. C., S. Y. Cho, and K. H. Kim. 1990. Varietal difference and environmental variation inprotein content and/or aminoacid composition of rice seed. Korean J. Crop Sci. 35(5) : 379-386. 

  3. Choi, K. J., T. S. Park, C. K. Lee, J. T. Kim, J. H. Kim, K. Y. Ha, W. H. Yang, C. K. Lee, K. S. kwak, H. K. Park, J. K. Nam, J. I. Kim, G. J. han, Y. S. Cho, Y. H. Park, S. W. Han, J. R. Kim, S. Y. Lee, H. G. Choi, S. H. Cho, H. G. Park, D. J. Ahn, W. K. Joung, S. I Han, S. Y. Kim, K. C. Jang, S. H. Oh, W. D. Seo, J. E. Ra, J. Y. Kim, and H. W. Kang. 2011. Effect of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stage on grain quality and taste of cooked rice in mid-late maturing rice varieties. Korean J. Crop Sci. 56(4) : 404-412. 

  4. Choi, Y. H., E. G. Jeong, J. I. Choung, D. S. Kim, S. L. Kim, J. T. Kim, C. G. Lee, and J. R. Son. 2006. Effects of moisture contents of rough rice and storage tempetures on rice grain quality. Korean J. Crop Sci. 51(s) : 12-20. 

  5. Choi, Y. H., S. L. Kim, E. G. Jeong, J. Song, J. T. Kim, J. H. Kim, and C. G. Lee. 2008. Effects of low-temperature storage of brown rice on rice and cooked rice quality. Korean J. Crop Sci. 53(2) : 179-186. 

  6. Chung, N. J., J. H. Park, K. J. Kim, and J. K. Kim. 2005. Effect of head rice ratio on rice palatability. Korean J. Crop Sci. 50(s) : 29-32. 

  7. Ha, K. Y., H. K. Park, J. K. Ko, C. K. Kim, Y. H. Choi, K. Y. Kim, and Y. D. Kim. 2006. Effects of storage period and tempeture on the characterics related with rice quality. Korean J. Crop Sci. 51(S) : 25-29. 

  8. Hara, T., B. O. Juliano, and S. Yoshida. 1977. Effect of temperature during ripening on grain quality of rice. Soil Sci. Plant Nutr. 23(1) : 109-112. 

  9. Kazuo, N. 1973. On the quality of rice. Proc. Crop Sci. Soc. Japan 42(2) : 238-257. 

  10. Kazuo, N. and M. Ebata. 1965. Effects of high tempeture during ripening period on the development and the quality of rice kernels. Crop Sci. of Japan 34 : 59-66. 

  11. Kazuo, N. S. Suzuki, and T. Sado. 1974. On the whiteness of rice. Proc. Crop Sci. Soc. Japan 43(4) : 550-556. 

  12. Kim, H., H. J. Lee, O. W. Kim, S. E. Lee, and D. H. Yoon. 2006. Effect of non-uniform milling on quality of milled ric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3(6) : 675-680. 

  13. Kim, M. H., K. J. Lee, and B. W. Lee. 2007. Response of grain protein content to nitrogen topdress rate at panicle initiation stage under different growth and plant nitrogen status of rice. Korean J. Crop Sci. 52(1) : 104-111. 

  14. Kim, O. W., H. Kim, D. C. Kim, and S. S. Kim. 2005. Characteristics of Milling and Sensory Quality for Milled Rice to Whiteness. J. of Biosystems Eng. 10(1) : 210-215. 

  15. Kim, S. K. and E. J. Cho. 1993.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s o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milled rice. J. Korean Agric. Chem. Soc. 36(3) : 146-153. 

  16. Kim, Y. D., U. G. Ha, Y. C. Song, J. H. Cho, E. I. Yang, and J. K. Lee. 2005. Palatability evalu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Korean J. Crop Sci. 50(S) : 24-28. 

  17. Kunze, O. R. 2008. Effect of drying on grain quality-Moisture readsorption causes fissured rice grains. Agr. Eng. International: the CiGR Ejournal. 1(X) : 1-17. 

  18. Kwak, Y. M., M. R. Yoon, J. K. Sohn, and M. Y. Kang. 2006. Differenc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head and incomplete rice grains. Korean J. Crop Sci. 51(7) : 639-644. 

  19. Lee, B. Y., J. R. Son, T. B. Kim, and I. H. Yoon. 1991. Studies on the suitable temperature for rice drying. J. Korean Agric. Chem. Soc. 34(3) : 258-261. 

  20. Lee, J. C. and S. B. Ahn. 1984. The climatic influence on spikelet formation and yield of lowland rice II. Climatic consumptive effect for spikelet formation. Korean J. Crop Sci. 29(4) : 366-375. 

  21. Lee, K. B., D. K. Jun, and J. C. Chae. 2003.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 and aroma-active compounds of cooked rice. Korean J. Crop Sci. 48(6) : 527-533. 

  2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8. The core technology of rice quality. p.34. 

  2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5. The advanced technology of rice quality. p.434. 

  24. Sato, T., and Y. Sato. 1997. Taste-related factors by physicochemical analysis of rice and simple evaluation method.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4: 27-33. 

  25. Seo, S. W. and S. Chamura. 1980. Occurrence of varietal differences in protein, phosphorus and potassium content in brown rice and influence of tempeture and shading during the ripening period on it. Crop Sci. of Japan 49(2) : 199-204. 

  26. Son, J. R., J. H. Kim, J. I. Lee, Y. H. Youn, J. K. Kim, H. G. Hwang, and H. P. Moon. 2002. Trend and further research of rice quality evalution. Korean J. Crop Sci. 47(s) : 33-54. 

  27. Song, Y. E., S. H. Cho, Y. R. Kwon, and D. C. Choi. 2008. Quality of jeonbuk-originated brand rice compared with other domestic brands and imported market rice. Korean J. Crop Sci. 53(4) : 347-352. 

  28. Takeo, S. et al. 1985. Starch Science 32 : 51-60. 

  29. The science of rice quality (II) 1996. AFFTIS (in Japan). p.116. 

  30. Tamaki, M., M. Ebata, T. Tashiro, and M. Ishikawa. 1989. Physico-ecological studies on quality formation of rice kernel. Japan Jour. Crop Sci. 58(4) : 653-658. 

  31. Won, J. G., A. G. Park, D. J. Ahn, and S. D. Park. 2006. Annual variation of quality in commercial rice produced in gyeongbuk. Korean J. Crop Sci. 51(3) : 227-232. 

  32. Won, J. K., S. H. Lee, J. S. Choi, S. G. Park, D. J. Ahn, S. D. Park, and J. K. Son. 2005. Yearly variation of rice quality in gyeongbuk province. Korean J. Crop Sci. 50(S) : 66-76. 

  33. Yoon, D. H., O. W. Kim, and H. Kim. 2007. The quality of milled rice with reference to whiteness and packing condition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4(1) : 18-23. 

  34. Zhout, Z., K. Robardst, S. Helliwell, and C. Balanchard. 2002. Ageing of stored Rice:Changes in chemical and physical attributes. J. of Cereal Sci. 35 : 65-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