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들이 섭취한 음식의 제공 장소별 조리법에 따른 음식 유형 분석: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Meal Types by Cooking Method Consumed by Korean Adults according to Meal Provision Place: Using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3 no.3, 2017년, pp.264 - 274  

최미경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al types by cooking methods provided at different meal provision places using the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ethods: A total of 42,441 meal data on adults from the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가정식, 외식, 급식에서 제공되는 음식의 유형을 조리법에 따라 분석하고, 음식 제공 장소와 조리법에 따른 음식 유형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외식·급식 관리자의 메뉴 운영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외식·급식 소비자들에 대한 식생활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가정식, 외식, 급식에서 제공되는 음식의 유형을 조리법에 따라 분석하고, 음식 제공 장소와 조리법에 따른 음식 유형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 대상 음식의 제공 장소는 가정식(6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병관리본부에서 조리법에 따른 음식 유형을 어떻게 분류했는가? 조리법에 따른 음식 유형은 음식코드 변수를 이용하여 질병관리본부에서 분류한 29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그 중 조리법과 관련한 음식 유형을 구분할 수 있는 밥류, 빵 및 과자류, 면 및 만두류, 죽 및 스프류, 국 및 탕류, 찌개 및 전골류, 찜류, 구이류, 전·적 및 부침류, 볶음류, 조림류, 튀김류, 나물·숙채류, 생채·무침류, 김치류, 젓갈류, 장아찌·절임류 등 17가지 음식군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조리법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단일 식품류(장류, 과일류, 당류 등, 유제품류 및 빙과류, 음료 및 차류, 주류 등)와 곡류 및 서류제품, 두류, 견과 및 종실류, 채소 및 해조류, 수·조·어·육류, 기타 항목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식품의 조리법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외식과 급식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조리법이다(Baek OH 등 2007, Lee EJ 2012). 식품의 조리법은 조리도구, 열원, 조리 과정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같은 식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조리법에 따라 관능적 특성이나 소비자의 기호도에 있어 차이가 나타날 뿐 아니라(Lee JA 등 2010, Jeon KH 등 2013, Jeon KH 등 2015), 영양적 가치도 달라질 수 있다(Gokoglu N 등 2004, Miglio C 등 2008, Song DY 등 2013). 따라서 음식의 조리법은 소비자의 만족도와 영양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식단 관리자에게는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된다.
식사 제공 장소에 따른 영양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하지만 샌드위치를 주로 판매하는 패스트푸드점을 자주 이용하는 경우 일부 영양소 섭취에 문제가 있기는 하였으나 체중 상태와는 관련이 없었으며 풀서비스 레스토랑을 자주 이용하는 경우 오히려 채소 섭취가 더 높게 나타나는 등 외식 장소의 선택에 따라 식사 섭취 패턴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이와 같이 식사를 제공하는 장소에 따라 식사 내용이 달라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식품 섭취 및 영양적 질의 차이가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식사 내용의 차이는 제공되는 음식의 조리법이나 음식의 유형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따라서 식사 제공 장소에 따른 영양 불균형 문제 해결을 위해 식사 제공 장소와 음식의 유형 선택에 대한 식생활 지도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BC, Engelhardt K, Joung H. 2006. Diet variety is associated with socio-economic factors. Ecol Food Nutr 45(6):417-430. 

  2. Bae YJ. 2016. Evaluation of dietary intake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energy intake from eating-out: Based on 2013-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49(6):482-494. 

  3. Baek OH, Kim MY, Lee BH. 2007. Menu satisfaction survey for business and industry foodservice workers: Focused on food preferences by gender. Korean J Food Cult 22(4):511-519. 

  4. Binkley JK. 2006. The effect of demographic, economic, and nutrition factors on the frequency of food away from home. J Consum Aff 40(2):372-391. 

  5. Cho KI, Ahn HY, Noh YG. 2006. The effects of customer's satisfaction and wellbeing menu of fastfood industry. Korean J Tour Res 20(3):141-160. 

  6. Choi MK, Ahn SW. 2011. School dietitian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n a school foodservice menu evalu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8):1172-1178. 

  7. Chung SJ, Kang SH, Song SM, Ryu SH, Yoon J. 2006. Nutritional quality of Korean adults' consumption of lunch prepared at home, commercial places, and institutions: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39(8):841-849. 

  8. Gokoglu N, Yerlikaya P, Cengiz E. 2004. Effects of cooking methods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s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Food Chem 84(1):19-22. 

  9. Guthrie JF, Lin BH, Frazao E. 2002. Role of food prepared away from home in the American diet, 1977-78 versus 1994-96:Changes and consequences. J Nutr Educ Behav 34(3):140-150. 

  10. Ham S, Hwang JH, Kim WG. 2004. Household profiles affecting food-away-from-home expenditures: A comparison of Korean and US households. Hosp Manag 23(4):363-379. 

  11. Hargreaves MK, Schlundt DG, Buchowski, MS. 2002. Contextual factors influencing the eating behaviours of African American women: A focus group investigation. Ethn Health 7(3):133-147. 

  12. Jeon KH, Kwon KH, Kim EM, Kim YB, Choi YS, Sohn DI, Choi JY. 2015. Effect of cooking methods with various heating apparatu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Korean J Culin Res 21(1):1-14. 

  13. Jeon KH, Kwon KH, Kim EM, Kim YB, Sohn DI, Choi JY. 2013. Effect of cooking methods with various heating apparatu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Korean J Culin Res 19(5):196-205. 

  14. Jo PK. 2016. The effects of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service industry. Korean J Community Nutr 21(4):321-331. 

  15. Kim EK, Ha AW, Choi EO, Ju SY. 2016. Analysis of kimchi, vegetable and fruit consumption trends among Korean adult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2). Nutr Res Pract 10(2):188-197. 

  16. Kim EK, Kim HY. 2016. School dietitian awareness, practice, and sodium reduction plan in school meal service. Korean J Food Cook Sci 32(2):222-232. 

  17. Kim H, Lee H. 2016. Lunch eating patterns and dietary habits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major lunch place. J Korean Diet Assoc 22(4):261-271. 

  18. Kim HJ, Lee AR, Kim KW. 2016. Perception on optimal diet, diet problems and factors related to optimal diet among young adult women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Korean J Community Nutr 21(4):332-343. 

  19. Kim MJ, Chong YK. 2015. The influence of macroeconomic indicators on the foodservice industry. Hosp Manag Res 24(3):191-212. 

  20. Kim TH, Lee EK, Han E. 2014. Food away from home and body mass outcomes: Taking heterogeneity into account enhances quality of results. Nutr 30(9):1015-1021. 

  21. Kim WG, Choi I, Yoon J. 2016. Nutritional quality of lunches consumed by Korean workers: Comparison between institutional and commercial lunches. Nutr Res Pract 10(6):606-615.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3/sub03_01.do. Accessed February 16, 2017. 

  2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Korea Health Statistics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heongwon, Korea. pp 3-11. 

  24. Kwon YS, Ju SY. 2014. Trends in nutrient intakes and consumption while eating-out among Korean adults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2) data. Nutr Res Pract 8(6):670-678. 

  25. Kwon YS, Park YH, Choe JS, Yang YK. 2014. Investigation of variations in energy, macronutrients and sodium intake based on the places meals are provided: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1998-2009). Nutr Res Pract 8(1):81-93. 

  26. Larson N, Neumark-Sztainer D, Laska MN, Story M. 2011. Young adults and eating away from home: Associations with dietary intake patterns and weight status differ by choice of restaurant. J Am Diet Assoc 111(11):1696-1703. 

  27. Larson NI, Nelson MC, Neumark-Sztainer D, Story M, Hannan PJ. 2009. Making time for meals: Meal structure and associations with dietary intake in young adults. J Am Diet Assoc 109(1):72-79. 

  28. Lee CH, Oh ST. 2014. Changes in dining out consumption behavior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eople over 50 years and elderly in Korea: Analysis of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of 2001 and 2011. J East Asian Soc Diet Life 24(3):301-314. 

  29. Lee EJ. 2012. A study on the menu preferences with school dinner by food service management types in Daegu. Korean J Nutr 45(5):489-499. 

  30. Lee JA, Lee JH, Bae HJ. 2010. Evaluation of oven utilization effects at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7):1064-1072. 

  31. Ma Y, Bertone-Johnson ER, Stanek III EJ, Reed GW, Hebert JR, Cohen NL, Olendzki BC, Rosal MC, Merriam PA, Ockene IS. 2005. Eating patterns in a free-living healthy U.S. adult population. Ecol Food Nutr 44(1):37-56. 

  32. Miglio C, Chiavaro E, Visconti A, Fogliano V, Pellegrini N. 2008. Effects of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nutrition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lected vegetables. J Agric Food Chem 56(1):139-147. 

  33. Nayga RM. 1996. Dietary fiber intake away-from-home and at-home in the United States. Food Policy 21(3):279-290. 

  34. Pak S, Lee JS, Hong H. 2010. The food and nutrient intakes on weekdays and weekends among high school girls in Seoul. Korean J Nutr 43(5):513-523. 

  35.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eong YS. 2007.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12(5):545-558. 

  36. Song DY, Park JE, Shim JE, Lee JE. 2013. Trends in the major dish groups and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8-2010. Korean J Nutr 46(1):72-8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