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년 한국의 쌀 수량은 지난 30년 중 최고치를 보였다. 이러한 수량이 계속 될 수 있는지 아니면 일회성 사건일지에 따라서 앞으로의 식량정책의 방향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5년까지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황시험 자료와 기상청에서 제공 하는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어떤 기상 조건에서 이러한 높은 수량이 유발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고 과거에 얼마나 자주 이러한 조건이 발생했는지를 확인하여 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5 년 수준의 높은 수량은 최소한 7월 평균 일조 시간과 8월 말에서 9월 초 평균 일조 시간이 각각 5.1시간과 6시간 이상인 경우에 발생 가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과거 35년간(1981-2015) 이러한 기상 조건을 만족했던 해의 빈도를 계산한 결과 8/35 (23 %)로 비교적 자주 발생하는 사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2 년간 연속적으로 높은 수량이 발생할 수 있는 기상조건 빈도는 1/35 (2.9 %)이었으며 비교적 희박하게 발생하였다. 2015년 수준의 대풍 가능 기상이 발생한 후 향후 5 년 이내에 다시 그러한 기상이 발생할 가능성은 4/35 (11.4 %)였다. 이러한 대풍가능 기상 조건과 빈도에 대한 접근법을 이용하여 사전에 풍년 가능성에 대한 합리적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ce yield of South Korea in 2015 was the highest in last 30 years. The future direction of food policy in South Korea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the historically highest yield in 2015 can be continued or just one-off ev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ether such a high y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만일 과거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풍년이 발생한 년도의 기상학적 특징을 파악함과 동시에 그러한 기상의 발생 빈도를 찾아 낼 수 있다면 이를 통해 2015년과 같은 대풍년이 발생 확률을 통계적으로 제시하여 일정수준의 중단기 예측에 활용할 수는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어떤 기상요소가 수량 형성에 관여하는지 찾아내고 이 요소를 통해 풍년이 발생할 수 있는 기상학적 조건과 그에 대한 발생 확률을 밝혀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최대 경계선 이하의 영화수는 생육기간의 온도 등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최대영화수의 결정은 일사에 의해 결정되고 그 외의 생물학적 비 생물학적 요인들에 의해 영화수가 감소한 것으로 가정하였고 이는 Kim et al.(2001)의 최대경계선 분석에 근거한 것이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쌀 수량 분석을 위해 통계청 자료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국내 쌀 수량 분석을 위해 통계청 자료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쌀수량은 제공하지만 쌀 수량을 결정하는 수량구성요소에 대한 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작황조사시험 자료를 사용하였다.
중단기적인 수량 예측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만일 과거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풍년이 발생한 년도의 기상학적 특징을 파악함과 동시에 그러한 기상의 발생 빈도를 찾아 낼 수 있다면 이를 통해 2015년과 같은 대풍년이 발생 확률을 통계적으로 제시하여 일정수준의 중단기 예측에 활용할 수는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어떤 기상요소가 수량 형성에 관여하는지 찾아내고 이 요소를 통해 풍년이 발생할 수 있는 기상학적 조건과 그에 대한 발생 확률을 밝혀 보고자 한다.
중단기적인 쌀 수량 예측이 어려운 이유는? , 2012). 중단기적인 수량 예측이 어려운 이유는 기상예측의 불확실성과 농업적으로 필요한 기상요소 특히 일사량과 강수의 예측의 부족, 마지막으로 공간 해상력 문제 때문이다(Fodor and Kovacs, 2005; Kim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Fodor, N, and G.J. Kovacs, 2005: Sensitivity of crop models to the inaccuracy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s.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Parts A/B/C 30(1-3), 53-57. doi: 10.1016/j.pce.2004.08.020 

  2. Kim, C.K, B.W. Lee, and W.S. Han, 2001: Upper boundary line analysis of rice yield response to meteorological condition for yield prediction I. Boundary Line Analysis and Construction of Yield Prediction Model.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46(3), 241-247. 

  3. Kim, D., S. Kim, K. Moon, and J. I. Yun, 2012: An outlook on cereal grains production in South Korea based on crop growth simulation under the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3), 132-141. 

  4. Kim, J., W. Shin, P. Shin, H. Cho, M. Seo, B. Yoo, and K. Kim, 2015: Evaluation of regional climate scenario data for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rice productivity in Korea.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18(4), 257-264. 

  5. KMA, 2016: https://data.kma.go.kr/cmmn/main.do(2016.10.5) 

  6. KOSIS, 2016: http://kosis.kr/ (2016.10.5) 

  7. Lee, C., K. Kwak, J. H. Kim, J. Son, and W. Yang, 2011: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follow-up cropping season shift on growing period and temperature in different rice maturity types.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6(3), 233-243. 

  8. Lee, C. K., J. H. Kim, J. Y. Shon, W. H. Yang, Y. H. Yoon, K. J. Choi, and K. S. Kim, 2012: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rice production and adaptation method in Korea as evaluated by simulation stud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4), 207-221. 

  9. Morita, S., and H. Nakano, 2011: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ntent in the stem at full heading contributes to high performance of ripening in heat-tolerant rice cultivar Nikomaru. Crop Science 51(2), 818-828. 

  10. Park D., I. Choi, and B. Lee, 2002: Relationship of spikelet number with nitrogen content, biomass,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 accumulation during reproductive stage of ric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47(6), 486-491. 

  11. RDA, 2016: Rice yield monitoring report in 2015. (In Korean) 

  12. Shim, K., K. Roh, K. So, G. Kim, H. Jeong, and D. Lee, 2010: Assessing impacts of global warming on rice growth and production in Korea. Climate change Research 1(2), 121-131. 

  13. Yun, Y., C.K. Lee, J. Shon, J. Kim, K. Choi, and J.G. Kim, 2013: Analysis of rice yield and climatic factor in South Korea cultivation period. Spring meeting and symposium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68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