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행동치료기법을 활용한 청소년의 우울 정서 측정 및 관리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Depressive Emotion in Adolescents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8 no.3, 2017년, pp.443 - 455  

유정선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청소년상담 전공) ,  이경선 (순천향대학교 컴퓨터공학 전공) ,  권정아 (순천향대학교 청소년교육상담학과)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우울증 측정 및 관리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개발(박정선 외, 2016) 연구의 후속 연구로, 인지행동치료이론에 기반하여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했다. 이 앱은 우울증에 대한 분석과 간편하고 연속적인 자기점검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우울의 단발적 분석 및 진단이 위주였던 이전 앱과 달리 심리 상태의 지속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더불어 실질적인 상담 서비스가 연계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청소년 우울증에 대한 선행연구 뿐만 아니라, 우울증 관련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조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Smart-phone Application Content Development for the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Adolescents' Depression(J. S. Park et al., 2016), that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his app facilitates analysis of de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어플리케이션은 청소년의 기호, 흥미를 고려하여 일상성을 바탕으로 한 지속적 활용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으며, 구체적 어플리케이션 구성은 정서관리와 불안 및 긴장이완, 부정적 사고 바꾸기, 상담 연계로 이루어져있다. 각 영역은 우울 정서 관리라는 하나의 활동 안에서 상호 보완적으로 이용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우울증이 청소년 정신건강의 중요한 문제로 떠오른 만큼 병리진단 중심의 어플리케이션이 아니라 우울 성향이 있는 청소년들도 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4]에서 제작한 프로토 타입의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던 BDI-Ⅱ(우울 척도 테스트)를 제외하였는데, 검사 결과에 관해 즉각적인 피드백 없이 점수만 아는 것은 이용 청소년들에게 정서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우울 점수가 높은 청소년들만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다는 선입견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우울 정서 관리어플리케이션의 개발 연구로, 사용자가 제한적이지 않고 편안한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자신의 정서를 관리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병리진단에서 벗어나 일상에서도 우울증에 대한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분석과 함께 간편하고 연속적인 자기 점검을 가능하게 하였고, 활용도 높은 대처방안과 실제적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여 청소년의 우울증 예방 및 관리에 도움을 주는 안드로이드 환경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구현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 첫째는 프로토타입의 콘텐츠 개발이기 때문에 실제 상담 장면에서 바로 사용하기가 어려웠고, 둘째는 집단상담의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발했기에, 모든 청소년들이 개별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제한점들을 보완하여, 청소년 정신건강의 핵심적 문제로 떠오른 우울증에 대한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분석과 함께 간편하고 연속적인 자기점검과 실제적 상담서비스를 연계하여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도움을 주고자, 안드로이드 환경 기반의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에 관심을 가진 대학생 7인에게 개발된 콘텐츠를 이용해 보도록 하고 30분간 비구조화 면담과 설문조사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 비용 발생이나, 상담실 방문이 부담스러울 수 있는 청소년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저작물이용 허락을 받아 전화 상담과 사이버 상담 연계를 본 어플리케이션에추가하였다. 사이버 상담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의 프로그램 저작물이용 허락에 따랐고, 전화 상담은 ‘충청남도청소년상담복지센터’ 138의 저작물이용 허락에 따랐다.
  • 더불어 ‘이완’과 ‘사고전환’을 하단 부분에 추가해 자신이 대처한 방식 이외에 어떠한 대처방법이 있는지를 바로 찾아볼 수 있게끔 하였다. 선행 연구[4]에서는 우울증 발생 주요 원인으로 대인간 소통의 비중을 중요하게 여겨서 의사소통기술 점검과 긍정활동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포괄적인 상황과, 상황에 대한 청소년 본인의지각이 어떠한지, 그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대처를 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의사소통을 포함한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호흡에 대한 마음챙김을 통해 마음이 안정될 수 있고, 마음이 안정되면 호흡이 안정될 수 있다[14]. 이를 통해 본 어플리케이션은 신체와 정서를 이완하여 인지적 기능의 촉진을 돕고자 하였다.
  • 그날 느꼈던 정서를 추가하면 주별, 월별로 유리병에 담긴 감정 이모티콘을 통해 자신의 주기적인 정서 상태 평가와 이를 축적한 정서의 흐름 파악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자신의 우울과 관련된 주요정서를 인식하도록 돕고, 생활 속에서 자발적이고 지속적으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위로 받고 싶었던 일’과 ‘도움 받은 경험’을 작성함으로써, 우울감을 유발하는 주된 정서 및 정도, 감정 유발 사건을 측정하여 스스로 우울감 발생 원인을 인식하고 나아가 자기조절을 실천할 수 있도록 했다.
  • 본 연구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우울 정서 관리어플리케이션의 개발 연구로, 사용자가 제한적이지 않고 편안한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자신의 정서를 관리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병리진단에서 벗어나 일상에서도 우울증에 대한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분석과 함께 간편하고 연속적인 자기 점검을 가능하게 하였고, 활용도 높은 대처방안과 실제적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여 청소년의 우울증 예방 및 관리에 도움을 주는 안드로이드 환경 기반 어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구현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음챙김 인지행동치료의 개념은? 우울 장애를 경험하는 이들을 위한 인지행동 치료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는 마음챙김 인지행동치료는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에 마음챙김 명상을 가미함으로써, 마음챙김 명상의수용에 근거한 전략과 기존의 인지행동치료에서의 변화에 근 거한 전략을 통합하는 심리치료 개념이다[10]. 인지행동치료집단과 마음챙김 인지행동치료집단을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역기능적 태도와 비합리적 신념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 지만 인지행동치료집단이 마음챙김 인지행동치료집단보다 전반적인 비합리적 사고 신념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었고,마음챙김 인지행동치료가 다양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촉진에서는 기존의 인지행동치료보다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인지행동치료에서 심리적으로 장애를 일으키는 것은 무엇인가? 인지행동치료는 심리적으로 장애를 일으키는 것이 경험에대한 개인의 해석이라는 기본 가정에서 출발한다[1]. 치료 과정은 비합리적 사고를 변화시키기 위한 설득과 논쟁을 포함하며, 주요 생활사건에 대한 개인의 잘못된 지각과 해석을수정하기 위한 구체적 행동과제의 부여로 구성된다.
인지행동치료 구성은? 인지행동치료는 심리적으로 장애를 일으키는 것이 경험에대한 개인의 해석이라는 기본 가정에서 출발한다[1]. 치료 과정은 비합리적 사고를 변화시키기 위한 설득과 논쟁을 포함하며, 주요 생활사건에 대한 개인의 잘못된 지각과 해석을수정하기 위한 구체적 행동과제의 부여로 구성된다. 인지행동 치료에서 대상자는 이러한 사고 변화 과정에서 스스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활용한 콘텐츠는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과 맞물려 치료적 효과성을 높일 것으로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O. S. Lee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Model about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lienation,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7, No. 4, pp.576-585, June 2007. 

  2. I. J. Choi, H. I. Kim, "To promote mental health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Supporting Research II: Survey result book",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seocho, Technical Report 12-R15-1, pp. 1-238, December 2012. 

  3.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CDC, The 12th Online Survey on Health Behavior of Youth, KCDC, pp. 1-391, December 2016. 

  4. J. S. Park, J. S. Cho, S. H. Ham, J. S. Park, J. A. Gwon, "Smart-phone Application Content Development for the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Adolescents Depression", Korea Society for Wellness, Vol. 11, No. 2, pp.319-329, May 2016. 

  5. KISID, KISDI STAT REPORT, KISID, pp. 1-14, November 2015. 

  6. B. Hu, B. Hu, J. Wan, M. Dennis, H. H. Chen, L. Li and Q. Zhou, "Ontology-based ubiquitous monitoring and treatment against depression", Wireless communications & mobile computing, Vol. 10, No. 10, pp.1303-1319, October 2010. 

  7. C. L. Bocktihg, G. D. Kok, L. van der Kamp, F. Smit, E. van Valen, R. Schoevers, H. van Marwijk, P. Cuijpers, H. Riper, J. Dekker and A. T. Beck, "Disrupting the rhythm of depression using Mobile Cognitive Therapy for recurrent depressi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and protocol", BMC Psychiatry, Vol. 11, No. 1, pp.12, January 2011. 

  8. T. Donker, P. J. Batterham, L. Warmerdam, K. Bennett, A. Bennett, P. Cuijpers, K. M. Griffiths and H. Christensen, "Predictors and moderators of response to internet-delivered Interpersonal Psycho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 151, No. 1, pp.343-351, October 2013. 

  9. J. H. Gwon, J. O. Le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Depressi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Korea, Vol. 1, No. 1, pp.1-22, 2013. 

  10. J. B. Kim, S. H. Lee, "New trend in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Depressive Disorder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Korea, Vol. 6, No. 2, pp.131-144, 2016. 

  11. A. T. Beck,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1979. H. T. Won(A translator),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Hakjisa, pp.1-486, 2005. 

  12. H. N. Jung, J. M. Kim,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on Adolescents with Mild Major Depressive Disord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Korea, Vol. 15, No. 1, pp. 29-55, 2015. 

  13. B. S. Yoon, "The Effect of Meditation Camp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Korean on Emotion in School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20, No. 3, pp. 229-236, 2012. 

  14. J. H. Kim, "Type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Their Implications fo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Korea, Vol. 4, No. 2, pp. 27-44, 2004. 

  15. T. Ventimiglia, Quest for Your Empowered Self (Paperback) : Life Skills to Help You Live, Thrive, and Produce Like Never Before, Author Solutions, pp. 1-348, 2014. 

  16. K. G. Suk, J. Y. Lee, H. J. Lee, "Emotional Experience Design Evaluation Factors for Smart Phone Applic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 25, No. 4, pp. 13-24, November 2012. 

  17. K. O. Kim, Y. H. Song, "A Study on Sensibility User Interface of the Mobile Phone.",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 Vol. 4, No. 1, pp. 41-58, 2006. 

  18. H. S. Gwon, Development of Emotion Card and Want Car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Empathy Enhancement Program, Ph.D. Daegu University, Daegu , 2015. 

  19. H. K. Jang, "What is MBSR and how should it be don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ol. 2, No. 1, pp. 71-81, 2011. 

  20. H. J. Yoon, J. A. Gwo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Mobile Intervention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Depression", 2016 Annual Conference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GSCO, pp.324-324, August 2016. 

  21. V. Harrison, J. Proudfoot, P. P. Wee, G. Parker, D. H. Pavlovic and V. Manicavasagar, "Mobile mental health : review of the emerging field and proof of concept study", Journal of Mental Health, Vol. 20, No. 6, pp. 509-524, October 2011. 

  22. J. Clarke, J. Proudfoot, M. R. Birch, A. E. Whitton, G. Parker, V. Manicavasagar, V. Harrison, H. Christensen and D. H. Pavlovic, "Effects of mental health self-efficacy on outcomes of a mobile phone and web intervention for mild-to-moderate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econdary analysis of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C psychiatry, Vol. 14, No. 1, pp. 272, September 2014. 

  23. N. F. BinDhim, A. M. Shaman, L. Trevena, M. H. Basyouni, L. G. Pont and T. M. Alhawassi, "Depression screening via a smartphone app: cross-country user characteristics and feasibilit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Vol. 22, No. 1, pp. 29-34, 2014. 

  24. N. Shen, M. J. Levitan, A. Johnson, J. L. Bender, M. Hamilton-Page, A. A. R. Jadad and D. Wiljer, "Finding a depression app: a review and content analysis of the depression app marketplace", JMIR mHealth and uHealth, Vol. 3, No. 1, pp. 16, February 2015. 

  25. K. N. Kim, D. S. Choi, K. M. Lee, M. J. Lee, "Analysis on Interesting Element of Mobile Application Using User Review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3, No. 3, pp. 431-438, September 2012.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