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묘지의 잔디 관리 실태 조사 연구
Survey of Current Status of the Graveyard Lawn Maintenance in Korea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6 no.2, 2017년, pp.130 - 135  

장석원 (한국골프대학교 골프코스매니지먼트과) ,  이정호 (한국골프대학교 골프코스매니지먼트과) ,  권병석 (한국산림복지진흥원) ,  홍점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원예학과) ,  박소준 (한국골프대학교 골프코스매니지먼트과) ,  변재복 (한국골프대학교 골프코스매니지먼트과) ,  지재욱 (한국골프대학교 골프코스매니지먼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묘지 잔디 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등록된 묘지 관리 대행 업체, 산림조합중앙회, 농협(단위 농협)으로부터 묘지관리에 대한 정보를 직접 받거나 설문을 통해 자료를 얻은 다음 정리, 분석하였다. 조사한 모든 지역에서 개인 및 가족 묘지는 $66m^2$ (20 평)을 기준으로 관리되었다. 묘지 관리는 연 1~5회 이루어졌고, 1회 관리(벌초)가 가장 많았으며, 횟수가 늘어날수록 관리 비용도 높아졌다. 벌초는 주로 추석 직전에 이루어졌다. 벌초 비용은 지역별로 경기도가 가장 높았으며, 전라도가 가장 낮았다. 산림조합중앙회와 농협 자료를 토대로 벌초 대행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해가 갈수록 의뢰 횟수는 늘었고, 가격도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연도에 관계없이 경남 > 경북 > 전남 순서로 의뢰 횟수와 금액이 많았다. 벌초의 의뢰는 의뢰자가 묘지로부터 멀리 살기 때문인 이유가 대부분이었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봉분의 방향은 매우 다양하였다. 묘지의 잔디는 들잔디(Zoysia japonica)였으며, 시도별 묘지의 잔디 밀도는 35.4~71.9% 범위였다. 많은 묘지에서 잔디 밀도가 낮은 이유는 잡초나 낙엽 등에 대한 주기적 관리가 미흡했기 때문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묘지 잔디 관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urrent study, we surveyed the status of graveyard lawn maintenance in Korea. The lawn maintenance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vicarious companies registered on the internet portal site and the Forestry Federation of Korea, and the questionnaire investigation from Primary Agricultural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최근에 묘지는 유적지를 중심으로 국내외를 막론하고 학생들의 학습장소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Boeden, 2006; Lee and Oh, 201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아직까지 파악되지 않은 묘지 잔디 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 및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묘지 잔디 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등록된 묘지 관리 대행 업체, 산림조합중앙회, 농협(단위 농협)으로부터 묘지관리에 대한 정보를 직접 받거나 설문을 통해 자료를 얻은 다음 정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묘지 형태의 변화는? 우리나라는 봉분묘를 설치하는 장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묘지의 대부분은 잔디로 피복되어 있고 주로 산에 소재하고 있다(Cho and Lim, 2009). 최근 묘지 형태가 봉분에서 수목장 등으로 바뀌고 있음에도 매장 묘를 포함한 대부분의 공동 묘지, 가족 묘지, 개인 묘지는 잔디로 식재되어 있다(Cho et al., 2008).
벌초의 믜미는? 벌초는 돌아가신 조상을 기리기 위해 전국적으로 행하는 미풍양속 중 하나이다. 보통 추석 전 후손들이 찾아와서 조상의 묘지에 자란 잔디를 깎고 풀을 제거하며 묘지 주위를 정리하는 것으로 일부 지역에선 금초(禁草)라 부르기도 한다 (Cho and Lim, 2009).
우리나라의 지역별 묘지 잔디 관리 실태는? 조사한 모든 지역에서 개인 및 가족 묘지는 $66m^2$ (20 평)을 기준으로 관리되었다. 묘지 관리는 연 1~5회 이루어졌고, 1회 관리(벌초)가 가장 많았으며, 횟수가 늘어날수록 관리 비용도 높아졌다. 벌초는 주로 추석 직전에 이루어졌다. 벌초 비용은 지역별로 경기도가 가장 높았으며, 전라도가 가장 낮았다. 산림조합중앙회와 농협 자료를 토대로 벌초 대행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해가 갈수록 의뢰 횟수는 늘었고, 가격도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연도에 관계없이 경남 > 경북 > 전남 순서로 의뢰 횟수와 금액이 많았다. 벌초의 의뢰는 의뢰자가 묘지로부터 멀리 살기 때문인 이유가 대부분이었다. 실태조사에 따르면, 봉분의 방향은 매우 다양하였다. 묘지의 잔디는 들잔디(Zoysia japonica)였으며, 시도별 묘지의 잔디 밀도는 35.4~71.9% 범위였다. 많은 묘지에서 잔디 밀도가 낮은 이유는 잡초나 낙엽 등에 대한 주기적 관리가 미흡했기 때문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묘지 잔디 관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hn, B.J. and Choi, J.S. 2013. Effect of turfgrasses to prevent soil erosion. Weed Turf. Sci. 2:381-386. (In Korean) 

  2. Bae, E.J., Lee, K.S., Kim, D.S., Han, E.H., Lee, S.M., et al. 2013. Sod production and current status of cultivation management in Korea. Weed Turf. Sci. 2:95-99. (In Korean) 

  3. Bowden, S.H. 2006. Here lies.... Cemetries as historical and artistic lessons for primary-age children: A teacher's K-W-L plan. Childhood Education 83:87-91. 

  4. Cho, D.Y. and Lim, R.T. 2009. A study on the funeral system in Korea. J.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1:127-142. 

  5. Cho, H.S., Sohn, H.G., Lim, S.B., Kim, S.S. and Kim, S.M. 2008. Construction of cemetery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DGPS. J.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6:49-57. (In Korean) 

  6. Choi, J.S. and Yang, G.M. 2006. Sod production in South Korea. Kor. Turfgrass Sci. 20:237-251. (In Korean) 

  7. Kim, K.U., Shin, D.H., Kwon, S.T., Park, S.J. and Lee, S.J. 1993. Weeds identified in the buryingplaces of the Kyungpook province. Kor. J. Weed Sci. 13:164-172. (In Korean) 

  8. Kim, M.T. 2009. Korean Feng-shui culture examined through folk tales showing the notion of grave Feng-shui that propitious site brings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from the viewpoint of epistemology. The Study of Practice Folkloristics. 15:5-45. (In Korean) 

  9. Lee, J.D. and Kim, M.H. 2010. Development and practicability evaluation of GIS-based cemete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or. J. Geomat. 28:225-233. (In Korean) 

  10. Lee, J.P., Kim, S.J., Seo, H.Y., Lee, S.J., Jeong, J.I., et al. 2001. Contribution of turfgrass industry to the economy in Florida state and present and future of Korea turfgrass industry. Kor. Turfgrass Sci. 15: 187-198. (In Korean). 

  11. Lee, S.M. and Oh, C.H. 2012. Use of urban cemetery for field trips. Kor. Inst. Landsc. Archit. 40:98-111. (In Korean) 

  12. Lee, S., Yu, H.C., Yoon, B.S., Oh, C.J., Yang, G.M., et al. 2013. Soi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ive zoysiagrasses by the habitats. Weed Turf. Sci. 2:55-61. (In Korean) 

  13. Park, J. and Park, J.K. 2011. Insect fauna of cemetery area in forest from Korea. Asian J. Turfgrass Sci. 25:153-159. (In Korean) 

  14. Woo, J.W., Byun, W.H., Kim, H.B., Park, W.K., Kim, M.S., et al. 2012. Converting lands that are damaged by graveyards into tree burial sites in order to restore green areas. J. Kor.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69-8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