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이 노인의 하지근력과 통증,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erobic and Muscle Strength Exercises on Pain, Balance, and Muscular Strength in the Lower Extremities among Elderly Peopl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5 no.2, 2017년, pp.63 - 70  

안성자 (마산대학교 물리치료과) ,  안소윤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aged 65 and over by reducing musculoskeletal pain and increasing balance and muscular strength in their lower-extremities through aerobic exercises and the use of Thera-Bands and gym balls. Method : Fifteen out of 30 w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각각 적용하여 결과를 도출해 낸 연구는 많았으나, 유산소운동과 공, 세라밴드를 병행한 근력운동을 비교한 논문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을 비교하여 노인의 하지근력과 통증,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력밴드의 장점은 무엇인가? 그리고 탄력밴드와 체중을 이용한 훈련은 무릎의 폄근을 6-13 % 증가시키고, 특히 외측광근의 속근(fast twitch)을 증가시킨다(Aniansson 등, 1984)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탄력밴드는 운동 강도를 조절하기가 쉽고, 비용이 저렴하며, 운반하기가 편리하다. 짐볼 은 불안정한 표면을 제공하여 근육이 동요에 반응하여 근육을 안정화시키고, 평형성이 향상된다고 보고 하였으며(Tinetti 등, 1997), 볼에 앉거나 엎드리는 등 다양한 자세로 근육 운동과 평형감각 훈련을 할 수 있다.
균형을 위한 Timed Up and Go test 실시는 무엇을 측정하는 것인가? 균형을 위해 Timed Up and Go test(TUG)를 실시하였다.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일어나 3 m 거리를 왕복하고 의자에 앉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초시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총 검사는 2회이며, 평균값을 사용하였다(Podisadlo & Richardson, 1991).
유산소운동의 장점은 무엇인가? 유산소운동은 퇴행성관절염이나 요통의 예방치료에 효과가 입증되었고, 심폐기능뿐만 아니라 골관절염 증상이 감소하며, 일상생활이 향상된다고 보고하였다(양윤준, 2014). 유산소운동은 노인의 상지와 하지의 근력 및 근지구력, 전반적인 신체활동능력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고 보고하였다(김덕중 등, 2010). 유산소운동은 쉬운 동작들로 구성하여 근력과 체력을 증진시키고, 흥미와 즐거움을 주는 운동프로그램으로(Shigematsu 등, 2002), 따라부르기 쉬운 노래에 율동을 더하여 체력, 지구력, 순발력을 증진시키고, 음악을 이용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권민정(2015).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 능력과 우울감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덕중, 이병기, 김주호 등(2010). 탄성밴드를 이용한 저강도 저항성 운동프로그램 적용이 노인의 체력요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학회지, 8(2), 381-396. 

  3. 김선호(2012). 탄력밴드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 여성의 일상생활 체력, 근육량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14(1), 67-77. 

  4. 김희걸, 남혜경(2011). 세라밴드 운동이 여성노인의 유연성, 평형성, 근력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2(4), 451-457. 

  5. 김희은(1997), 규칙적인 유산소 조깅운동이 여성의 신체적 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1(1), 89-101. 

  6. 보건복지부(2014). 노인실태조사. 

  7. 양윤준(2012). 근골격계 통증의 운동요법. 대한가정의학회지, 4(1), 186-193. 

  8. 여형남, 김영경, 강미애 등(2015). 탄성밴드운동이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통증, 관절가동범위, 낙상두려움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21(2), 266-275. 

  9. 이창석(2009). 탄성밴드운동프로그램이 여성고령자의 신체 조성과 생활체력 및 균형감각기능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전미양, 최명애(2002).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양로원 여성 노인의 보행,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4(1), 15-23. 

  11. 최두리(2017). 탄력밴드와 짐볼을 이용한 운동프로그램이 남성노인의 건강체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통계청(2015). 인구주택총조사. 

  13. 통계청(2010). 인구주택총조사, 장래인구추계. 

  14. 하민성, 곽이섭, 지진구(2012). 유산소 운동이 근골격계질환환자들의 유연성과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1(3), 366-372. 

  15. 홍양자, 최세경(2002). 실버로빅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신체적 기능과 무력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6(1), 135-145. 

  16. 황수진, 이수영(2004). 노인의 공 운동치료가 균형과 기능적인 활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1(3), 25-32. 

  17. Aniansson A, Ljungberg P, Wettergvist H(1984). Effect of a training for pensioners on condition and muscular strength. Arch Gerontol Geriatr, 3(3), 229-241. 

  18. Bieri D, Reeve RA, Champion GD, et al(1990). The faces pain scale for the self assessment of the severity of pain experienced by children: Development, initial validation,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 for ratio scale properties. Pain, 41(2), 139-150. 

  19. Emmy KL, Wong MS, Gabriel YF (2010). Strength profiles of shoulder rotators in healthy sport climbers and nonclimbers. J Athl Train, 44(5), 527-530. 

  20. Gauchard GC, Gangloff P, Jeandel C, et al(2003). Physical activity improves gaze and posture control in the elderly. Neurosci Res, 45(4), 409-417. 

  21. Karatas M, Ctin N, Bayramoglu M, et al(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 J Physl Med Rehabil, 83(2), 81-87. 

  22. Kisner C, Colby LA(2016). Therapeutic exercise. English publisher, 5th ed, Philadelphia, F.A. Davis, pp.195-197. 

  23. Michell TB, Ross SE, Blackburn JT, et al(2006). Functional balance training, with or without exercise sandals, for subjects with stable or unstable ankles. J Athl Train, 41(4), 393-398. 

  24. Page P(2000). Developing resistive exercise programs using thera-band elastic bands & tubing. The Hygenic Corporation, pp.48-60. 

  25. Podsiadlo D, Richardson S(1991).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39(2), 142-148. 

  26. Shigematsu R, Chang M, Yabushita N, et al(2002). Dance-based aerobic exercise may improve indices of falling risk in older women. Age Aging, 31(4), 261-266. 

  27. Steinweg KK(1997). The changing approach to falls in the elderly. Am Fam Physician, 56(7), 1815-1823. 

  28. Stephen A, Harridge WR, Kryger A(1999). Knee extensor strength, activation, and size in very elderly people following strength training. Muscle & Nerve, 22(7), 831-839. 

  29. Tinetti ME, Baker DI, Gottschalk M, et al(1997). Systematic home-based physical and functional therapy for older persons after hip fracture. Arch Phys Med Rehabil, 78(11), 1237-1247. 

  30. Topp R, Milkesky A, Dayhoff NE (1996).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strength, postural control, and gait velocity among older adults. Clin Nurs Res, 5(4), 407-427. 

  31. Williams GN, Higgins MJ, Lewek MD(2002). Aging skeletal muscle: physiologic changes and the effects of training. Phys Ther, 82(1), 62-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