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상체질에 따른 여대생의 월경전 증후군 양상에 관한 연구
Study of Premenstration Syndrome of Female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원문보기

JSCM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v.29 no.2, 2017년, pp.104 - 115  

이수진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menstrual symptom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and to utilize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asang constitution. Methods Thirty one femal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Sasang Constitution and patter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DSM-IV에 기반을 둔 월경전 증상 선별 검사 도구인 PSST(Premenstrual Symptoms Screening Tool)를 활용하여 월경전 증상에 대하여 접근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상체질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널리 활용되고 있는 PSST를 활용하여 월경전 증상을 조사하고, PSST에 기반하여 월경전 증후군을 세 단계로 구분하며, 이 결과와 사상체질 판별 검사인 QSCC-II(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그리고 소증 설문지 등을 활용하여 사상 체질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의 양상을 조사하여 그 차이점을 발견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사상체질에 따른 여대생의 월경전 증후군의 양상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여자 대학생 31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사상체질분류 설문지와 월경전 증상 선별 검사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상체질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과 건강상태 및 체질량지수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2014년 10월 한 달 동안 대학교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였다. 본 연구는 OO대학교 부속 한 방병원의 임상연구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SJ IRB14-001) 시행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모집은 교내 외 게시판에 연구에 관한 내용을 게재하여 피험자를 모집하였으며 취약한 피험자를 제외하기 위하여 연구자와 어떤 방식으로든 관련이 있는 경우 피험자에 포함하지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DSM-IV 진단기준을 바탕으로 개발된 도구로 여러 해 동안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어 이미 월경전 증상에 관한 선별 검사 도구로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으며 국내에서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그 타당도가 입증된 바 있는16 PSST를 월경전 증상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하여 월경전 증상 및 그 증상이 기능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고, 이를 사상체질 및 사회 인구학적 정보와 함께 분석 함으로써 체질에 따른 월경전 증상과 기능 활동 변화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체질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의 양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상체질 설문도구 및 월경전 증상 선별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월경전 증후군의 특징은? 월경전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PMS)은 월경 주기의 후기 황체기 동안 정서, 행동, 신체적 증상이 발생했다가 월경이 시작된 지 수일 이내에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월경전 증후군은 매우 흔해서 가임기 여성의 80-90% 정도가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4, 우리나라 여고생의 76.
사상체질에 따른 여대생의 월경전 증후군의 양상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 연구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어떠한 결과를 얻었는가? 1. 연구 참여자의 사상체질은 소양인 38.7%, 태음 인 29.0%, 소음인 32.3%로 소양인, 소음인, 태음인 순의 분포를 보였다. 2. 연구 참여자의 PSST 진단 기준에 따른 분포는 정상/경도의 PMS 군이 67.7%, 중등도에서 중증의 PMS 25.8%, 월경전 불쾌증상 군이 6.5%의 분포를 보 였다.  3. 사상체질과 PSST 진단 기준에 따른 월경전 증상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사상체질에 따른 월경전 증상 정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태음인의 경우 정상/경도의 PMS 군보다 심한 PMS 군에서 더 높은 체질량지수를, 소양인과 소음인의 경우 더 낮은 체질량지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PMS로 인하여 체질별로 나타나는 증상과 기능 저해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태음인의 경우 ‘우울감이 나 절망감’, ‘학업에 대한 흥미 감소’ 등이 주로 나타났으며, 소양인은 ‘가정 활동에 대한 흥미 감소’, 소음인은 ‘사회 활동에 대한 흥미 감소’가 주로 나타났고, 소양인에게서는 ‘통제하기 어려움’, ‘불면증’의 경향이, 태음인과 소음인은 ‘수면(욕구)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6. 심한 PMS 군에서 사상체질별로 나타나는 증상 및 그로 인한 기능 저해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사상 체질의 희노애락의 차이가 PMS라는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드러내는 증상과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월경전 증후군을 겪는 비율은? 월경전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PMS)은 월경 주기의 후기 황체기 동안 정서, 행동, 신체적 증상이 발생했다가 월경이 시작된 지 수일 이내에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월경전 증후군은 매우 흔해서 가임기 여성의 80-90% 정도가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4, 우리나라 여고생의 76.3%가 월경곤란증을 경험한다고 하는데5 대다수의 여성이 월경전 증후군을 경험하다 보니 좀 더 심한 통증이 있더라도 제대로 진단이나 치료를 받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 유병율이 줄어들지 않는 경향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TH, Kim JY, Cho HB, Kim JH, Yoo SK. A gynecological study on the Chong and Ren channels. J Orient Gynecol. 2001;14(1):125.(Korean) 

  2. Barsom SH, Dillaway HE, Koch PB, Ostrowski ML, Mansfield PK. The menstrual cycle and adolescent health. Ann N Y Aca Sci. 2008;1135:52-57. 

  3. Halbreich U. The diagnosis of premenstrual syndromes and promenstrual dysphoric disorder-clinical procedures nd research perspectives. Gynecol Endocrinol 2004;19:320-334. 

  4. Angst J, Sellaro R, Stolar M, Merikangas KR, Endicott J. The epidemiology of perimenstrual psychological symptoms. Acta Psychiar Scand 2001;104:110-116. 

  5. Kim MY, Jung MS, Chung KA. Degree of dysmenorrhea and self-management of dysmenorrhea in the high-school girl-student. Kor J Women Health and Nurs. 2000;6(3):413-426. 

  6. Yonkers KA, O'Brien PMS Eriksson E. Premenstrual syndrome. Lancet. 2008;371:1200-1210. 

  7. Steiner M. Macdougall M, Brown E. The premenstrual symptoms screening tool (PSST) for clinicians. Arch Womens Ment Health. 2003;6:203-209. 

  8. Chaug HJ, Jeong HG, Ko YH, Han CS, Joe SH. Frequenc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rrelates of premenstrual syndrome in high school students. Kor J Psychosom Med. 20136;21(1):44-54. 

  9. Sung J, Korea MBTI laboratory. The comparative questionnaire study of the spirit of Sasang Constitution with the MBTI classification of character.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 Med. 2001;13:156-64. (Korean) 

  10. Kim G, Kim B, Kim J, Whang W.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sang constitution with TAS-20K. J Orient Neuropsychiatry. 2000;11:113-22. (Korean) 

  11. Hong JM, Yoon YS, Choi SM. Sasang constitution.body composition, eating habits, energy expenditure in physical activity, dietary intake. Kor J Community Nutr. 2002;7:67-75. 

  12. Lim SR, Kim K, Oh SY, Kwon Y, Joo JC. Clinical study of menstruation pattern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al diseases. J Sasang Constitution Med. 2009;21(1):217-226. (Korean) 

  13. Lee IS, Cho HS, Kim JW. A clinical research on the health condition and the etiology in oriental medicine of the high school girls menstrual disorders by Sasang constitution. J Kor Obstet Gynecol. 2014;27(3):41-65. 

  14. Kim SH.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QSCC II [dissertation].[Seoul]:Kyunghee University;1996. 81p. 

  15. Choi J, Baek JY, Noh J, Kim JS, Choi JS, Ha K et al. Association of seasonality and premenstrual symptoms in bipolar I and bipolar II disorders. J Affect Disor. 2011;129-313-316. 

  16. Yang J, Joe SH, Lee MS, Kim SH, Jung IK. Survey of premenstrual symptom severity and impairment in Korean adolescents: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subthreshol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nd premenstrual syndrome.Asia-Pacific Psychiatry. 2014;6:135-144. 

  17. Lee SY, Cho HB, Kim SB, Choe CM, Park KH, Choi CW.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MMPI profile and Sasang constitutional on dysmenorrhea patients. J Orient Obstet Gynecol. 2007;20(3):137-154 

  18. Cho HS, Kim SH, Kim JW, Lee IS. Relationships of high school girls menstrual disorders with the inbody test results by Sasang Constitutionsstudy. J Kor Obstet Gynecol. 2013;26(4):150-168.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Geneva: WHO Western Pacific Region. 2000. 

  20. Chung WS, Choi GY, Song MY, Shin HD.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 distribution and menstrual disorder in obese premenopausal Korean women. J Kor Orient Assoc Study Obes. 2004;4(1):23-31. (Korean) 

  21. Song IB, Lee MJ. Stud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J Kor Orient Med. 1995;16(1):42-45. 

  22. Kim WC, Kim KS, Kim KO. The study of emotion traits in Sasang constitution by several mood scale. J Orient Neuropsychiatr. 2011;22(4):63-75. (Korean) 

  23. Choi EY, Chang BS.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stress response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s. Kor J Orient Prevent Med Soc. 2008;12(3):175-183. (Korean) 

  24. Cho Y, Baik YS, Jeong CH. A study on changes in the size of the four internal organs in Taesoeumyang person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energy of sorrow, anger, joy and pleasure. J Kor Med Classic. 2006;19(3):100-127. (Korean) 

  25. Sok SH, Kim KB. A comparative study on sleep state, satisfaction of sleep,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ly living with family by Sasangin constitution. J Kor Psychiatr Ment Health Nurs Acad Soc. 2009;18(3):341-50. 

  26. Kim JJ, Lee YS, Park SS. A clinical study of sleeping, stool, urine according to Taeyangsoyangin (Yangin) and Taeumsoeumin (Eumin). J Sasang Constitution Med. 2005;17(3):82-90. (Korean) 

  27. Choi JY. The study on the ordinary symptoms based on Sasang constitution using logistic regression. Doctoral thesis. Dongkuk University 2004:1-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