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the SBAR-Collaborative Communication Program on nurses'communication skills and on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doctors. Methods: From March 11 to November 11, 2013,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hospital nurse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Outcomes were measured at three time intervals; before, three and six months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Results: After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nurses'communication skills but not in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doctors. None of the participants' general categories influenced nurses'communication skills at pre-test, but age, education level, total years of working and work depart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scores at 3 and 6 months. Work department was the only category for whic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doctors at pre-test, and education level and work department were related to significant improvement at 6 months.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this program can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for nurses and also,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doctors, especially for nurses under 25 years of age. Thus nursing and hospital managers should provide SBAR-Collaborative Communication Programs to new nurses in their job training.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의료기관에서도 표준화된 의사소 통 방식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SBAR 표준모델에 간호사가 의사와 효과적, 효율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교육하고 훈련시키는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간호사-의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 그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1.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후, 간 호사 의사소통 능력은 제공받기 전에 비해 높아질 것이다.
가설 2.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후, 간호사-의사 협력은 제공받기 전에 비해 높아질 것이다.
가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간호사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가 다를 것이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으로 인한 효과 |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으로 인한 효과를 확인한 본 연구의 한계점은? |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의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모든 임상 간호사들에게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의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모든 임상 간호사들에게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아직 그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SBAR 의사소통 방식의 효과를 일부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SBAR | SBAR는 의료 기관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 |
SBAR에서 S (Situation)는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보고 자의 이름과 부서, 진료과, 환자의 이름과 현재 문제 등을 제공하고 B (Background)는 환자에 대한 배경 설명으로 입원 당시 환자의 진단명과 입원일, 병력 등을 제공하며 A (Assessment) 는 환자를 사정한 결과로 보고자가 사정한 내용, 환자문제, 가장 최근에 측정한 활력징후, 현재 시행되고 있는 치료(약물, 산소 요법) 등을 제공하며 R (Recommendations)은 환자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보고자가 추천하는 방법 등을 제공한다
이 후, 많은 의료 기관들이 SBAR를 기관의 공식 의사소통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 다[2,8]. SBAR에서 S (Situation)는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보고 자의 이름과 부서, 진료과, 환자의 이름과 현재 문제 등을 제공하고 B (Background)는 환자에 대한 배경 설명으로 입원 당시 환자의 진단명과 입원일, 병력 등을 제공하며 A (Assessment) 는 환자를 사정한 결과로 보고자가 사정한 내용, 환자문제, 가장 최근에 측정한 활력징후, 현재 시행되고 있는 치료(약물, 산소 요법) 등을 제공하며 R (Recommendations)은 환자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보고자가 추천하는 방법 등을 제공한다. 이처럼 SBAR는 최소한의 환자정보가 충분히 교환될 수 있도록[2] 인간의 인지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된 매우 효과적인 의사 소통 방법 중에 하나이다[8,9]. |
SBAR | SBAR란? |
쉽고 간결하면서도 관련된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충분히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화된 의사소통 방법 중에 하나
SBAR는 쉽고 간결하면서도 관련된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충분히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화된 의사소통 방법 중에 하나로, 다학제 간의 유기적인 의사소통이 중요한 항 공분야에서 개발된 뒤, 군대에서 사용되다가 미국의 Kaiser Permanente 병원이 처음으로 도입하였다[7]. 이 후, 많은 의료 기관들이 SBAR를 기관의 공식 의사소통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 다[2,8].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