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간호사-의사 협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BAR-Collaborative Communication Program on the Nurses'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Doctor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5, 2016년, pp.518 - 530  

현미숙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  조혜진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  이미애 (동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the SBAR-Collaborative Communication Program on nurses'communication skills and on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doctors. Methods: From March 11 to November 11, 2013,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hospital nurses working in a univer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의료기관에서도 표준화된 의사소 통 방식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SBAR 표준모델에 간호사가 의사와 효과적, 효율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교육하고 훈련시키는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간호사-의사 협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 그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후, 간 호사 의사소통 능력은 제공받기 전에 비해 높아질 것이다.
  • 가설 2.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후, 간호사-의사 협력은 제공받기 전에 비해 높아질 것이다.
  • 가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간호사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가 다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으로 인한 효과를 확인한 본 연구의 한계점은?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의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모든 임상 간호사들에게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아직 그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SBAR 의사소통 방식의 효과를 일부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SBAR는 의료 기관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 이 후, 많은 의료 기관들이 SBAR를 기관의 공식 의사소통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 다[2,8]. SBAR에서 S (Situation)는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보고 자의 이름과 부서, 진료과, 환자의 이름과 현재 문제 등을 제공하고 B (Background)는 환자에 대한 배경 설명으로 입원 당시 환자의 진단명과 입원일, 병력 등을 제공하며 A (Assessment) 는 환자를 사정한 결과로 보고자가 사정한 내용, 환자문제, 가장 최근에 측정한 활력징후, 현재 시행되고 있는 치료(약물, 산소 요법) 등을 제공하며 R (Recommendations)은 환자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보고자가 추천하는 방법 등을 제공한다. 이처럼 SBAR는 최소한의 환자정보가 충분히 교환될 수 있도록[2] 인간의 인지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된 매우 효과적인 의사 소통 방법 중에 하나이다[8,9].
SBAR란? SBAR는 쉽고 간결하면서도 관련된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충분히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화된 의사소통 방법 중에 하나로, 다학제 간의 유기적인 의사소통이 중요한 항 공분야에서 개발된 뒤, 군대에서 사용되다가 미국의 Kaiser Permanente 병원이 처음으로 도입하였다[7]. 이 후, 많은 의료 기관들이 SBAR를 기관의 공식 의사소통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 다[2,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arshall S, Harrison J, Flanagan B. The teaching of a structured tool improves the clarity and content of interprofessional clinical communication.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9;18(2):137-140. https://doi.org/10.1136/qshc.2007.025247 

  2. Leonard M, Graham S, Bonacum D. The human factor: The critical importance of effective teamwork and communication in providing safe care.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4;13(suppl 1):i85-i90. https://doi.org/10.1136/qshc.2004.010033 

  3. Lingard L, Espin S, Whyte S, Regehr G, Baker GR, Reznick R, et al. Communication failures in the operating room: An observational classification of recurrent types and effects.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4;13(5):330-334. https://doi.org/10.1136/qhc.13.5.330 

  4. The Joint Commission. Sentinel event statistics data-root causes by event type(2004-2014) [Internet]. [cited 2015 April 24]. Available from: https://www.jointcommission.org/sentinel_event_statistics 

  5. Kramer M, Schmalenberg C. Securing "good" nurse/physician relationships. Nursing Management. 2003;34(7):34-38. 

  6. Lee AK, Yeo JY, Jung SW, Byun SS. Relation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job-stress and job-satisfaction of clinical nurs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12):299-308.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99 

  7. Kaiser Permanente. SBAR technique for communication: A situational briefing model [Internet]. [cited 2015 September 29]. Available from: http://www.ihi.org/resources/Pages/Tools/SBARTechniqu eforCommunicationASituationalBriefingModel.aspx. 

  8. Woodhall LJ, Vertacnik L, McLaughlin M. Implementation of the SBAR communication technique in a tertiary center.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08;34(4):314-317. https://doi.org/10.1016/j.jen.2007.07.007 

  9. Haig KM, Sutton S, Whittington J. SBAR: A shared mental model for improving communication between clinicians.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2006;32(3):167-175. 

  10. De Meester K, Verspuy M, Monsieurs KG, Van Bogaert P. SBAR improves nurse-physician communication and reduces unexpected death: A pre and post intervention study. Resuscitation. 2013;84(9):1192-1196.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3.03.016 

  11. Beckett CD, Kipnis G. Collaborative communication: Integrating SBAR to improve quality/patient safety outcomes. Journal for Healthcare Quality. 2009;31(5):19-28. 

  12. Randmaa M, Martensson G, Leo Swenne C, Engstrom M. SBAR improves communication and safety climate and decreases incident reports due to communication errors in an anaesthetic clinic: A prospective intervention study. BMJ Open 2014;4(1):e004268. https://doi.org/10.1136/bmjopen-2013-004268 

  13. Cunningham NJ, Weiland TJ, van Dijk J, Paddle P, Shilkofski N, Cunningham NY. Telephone referrals by junior doctor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ssessing the impact of SBAR in a simulated setting.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2012;88(1045):619-626. https://doi.org/10.1136/postgradmedj-2011-130719 

  14. Cornell P, Gervis MT, Yates L, Vardaman JM. Improving shift report focus and consistency with the situation, background, assessment, recommendation protocol.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43(7-8):422-428. https://doi.org/10.1097/NNA.0b013e31829d6303 

  15. Kim EM, Yu M, Ko JW. Development of nurse's handover standards between hospital units using SBA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21(1):127-142. 

  16. Cho HJ. The effect of SBAR program education on a nurse's communication clarify and self expression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3. 

  17. Nelson GA, King ML, Brodine S.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on medical-surgical units. Medsurg Nursing. 2008;17(1):35-40. 

  18. Greenfield LJ. Doctors and nurses: A troubled partnership. Annals of Surgery. 1999;230(3):279-288. 

  19. Jang JY. The relation among nurse's assertivenes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2010. 

  20. Oh HK.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organization conflicts for nurses in hospital setting [master's thesis].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8. 

  21. Rubin RB, Martin MM, Bruning SS, Power DE, editors.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development and test of a self-efficacy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communication Association; 1991; Atlanta: GA. 

  22. Hur GH.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03;47(6):380-408. 

  23. Weiss SJ, Davis HP.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ollaborative practice scales. Nursing Research. 1985;34(5):299-305. 

  24. Coulon L, Mok M, Krause KL, Anderson M. The pursuit of excellence in nursing care: What does it me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6;24(4):817-826. 

  25. Copnell B, Johnston L, Harrison D, Wilson A, Robson A, Mulcahy C, et al. Doctors' and nurses' perceptions of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the NICU, and the impact of a neonatal nurse practitioner model of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4;13(1):105-113. https://doi.org/10.1046/j.1365-2702.2003.00827.x 

  26. Lee YK, Kim OH. Collaboration between nurse-doctor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e. Health Communication. 2009;4(1):49-57. 

  27.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s://doi.org/10.3758/brm.41.4.1149 

  28. Lee HS, Kim JK.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4):488-496. https://doi.org/10.11111/jkana.2010.16.4.488 

  29. Cornell P, Gervis MT, Yates L, Vardaman JM. Impact of SBAR on Nurse Shift Reports and Staff Rounding. Medsurg Nursing. 2014;23(5):334-342. 

  30. Hong JY, Kim OH, Lee EK. The relationship among nurse-doctor collaboratio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4):601-6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